지난 10일 서울 장위동의 우리은행 체육관. '호랑이' 위성우(46) 감독이 지켜보는 가운데 펼쳐진 여자 프로농구 아산 우리은행의 훈련엔 긴장감이 흘렀다. 정적을 깬 건 "쑤비(수비)! 쑤비(수비)!"라고 외치는 한 외국인 선수의 어눌한 한국말이었다. 동료들보다 머리 하나는 더 큰 그는 땀을 뻘뻘 흘리며 악착같이 수비를 쫓아가더니 멋진 블록슛을 성공시켰다. 93년생 센터 존쿠엘 존스(24·198cm)다.
"한국에서는 올해가 '치킨(닭)'의 해라면서요. 게다가 마침 저는 '치킨(닭띠)'이고요. 최근에 알았는데 너무 재밌네요. 한국 사람들 말마따나 좋은 예감도 들고요"라며 존스는 긴팔을 내밀어 악수를 청하곤 웃었다.
존스는 우리은행에 굴러 들어온 '복덩이'다. 지난 시즌 통합 4연패를 달성하며 '무적'으로 불린 우리은행은 올 시즌만큼은 고전이 예상됐다. 개막을 앞두고 주전 가드 이승아(25)가 임의 탈퇴한 데다 대체자 이은혜(28)도 부상으로 쓰러졋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난 정규 리그 최우수선수(MVP) 양지희(33)도 부상으로 시즌 초반 빠졌다. 이런 가운데 지난 시즌 득점 1위 쉐키나 스트릭렌(26·미국)을 대신해 드래프트 전체 5순위로 입단한 존스는 올 시즌 최장신이라는 사실 외엔 큰 기대를 받지 못했다.
하지만 막상 뚜껑을 열어 보니 '존스 효과'는 대단했다. 용인 삼성생명과 개막전에서 22득점, 20리바운드를 올리며 돌풍을 예고한 존스는 현재 경기당 평균 리바운드 1위를 비롯해 블록슛 1위, 득점 2위 등 공수 전 부문에 걸쳐 상위권을 달리고 있다. 그의 활약에 힘입은 우리은행은 단독 1위를 질주하며 정규 리그 우승을 눈앞에 두고 있다.
존스는 "작년에 미국여자프로농구(WNBA)에서 데뷔했다. 겨우 프로 2년 차에 한국에 와 모든 게 얼떨떨했는데 팀 동료들이 잘 도와준 덕분"이라며 "혼자 힘으로 지금 성적은 꿈도 못 꿨을 거다"고 말했다.
존스는 실력은 물론이고 성격까지 좋은 외국인 선수로 유명하다. 정장훈 사무국장은 "존스는 인성이 훌륭한 선수다. 하나라도 더 배우려는 자세가 인상적"이라고 평가했다. 인구 30만의 북중미 섬나라 바하마 출신인 존스는 어린 시절부터 혼자 지내며 특유의 친화력을 키웠다. 그는 "14세 때 미국 중학교에 스카우트돼 고향을 떠나 홀로 기숙 생활을 했다. 그 이후부터는 줄곧 혼자 살았다"며 "아마 이때부터 사람들과 잘 어울리는 법을 배운 것 같다. 게다가 8남매(2남 6녀) 중 가운데인 '넘버5(다섯째)'로 지낸 덕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존스도 처음으로 적응하지 못한 게 있다. 바로 위 감독의 호통이다. 존스는 "처음엔 감독님이 화를 내시는 줄 알고 놀랐다"면서 옆에 서 있던 위 감독의 눈치를 슬쩍 봤다. 이어 "하지만 알고 보니 감독님의 스타일이었다. 시키는 대로 열심히 훈련한 덕분에 한 단계 성장한 것을 느낀다"며 웃었다.
인터뷰를 마치며 '닭띠' 존스는 새해 소망을 밝혔다. 그는 "득점왕은 욕심 안 나요. 대신 리바운드왕과 블록슛왕은 꼭 하고 싶어요. 득점은 누구나 할 수 있지만 리바운드와 블록슛과 같은 궂은일은 팀에 꼭 필요한 일을 했다는 뜻이 잖아요"라며 미소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