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H&A(홈어플라이언스&에어솔루션) 사업본부장 송대현 사장은 5일(현지시각) 세계 최대 가전 전시회 'CES 2017'이 열리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사업 전략을 공개했다. LG전자 H&A 사업본부장 송대현 사장. 송대현 사장은 “홈 IoT와 로봇을 중심으로 미래 사업을 철저히 준비하고 프리미엄 브랜드와 혁신 기술에 대한 꾸준한 투자와 마케팅으로 LG전자 생활가전의 글로벌 위상을 지속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LG전자는 이번 CES 2017에서 가전 제품이 고객 생활 패턴 및 주변 환경을 학습해 스스로 작동하는 딥 러닝 기반의 생활가전을 선보이며 ‘인공지능 가전’을 화두로 던졌다. 스마트홈 서비스 ‘스마트씽큐’와 연계해 고객들의 삶의 질을 높여주는 로봇도 공개했다.
LG전자는 인공지능 가전을 준비하기 위해 지난 해 말 홈 IoT 및 로봇 관련 조직들을 통합해 ‘H&A스마트솔루션BD’을 신설했다. 이 조직을 중심으로 전사 역량을 투자해 새로운 스마트홈 서비스, 가정용 로봇, 상업용 로봇 등의 개발에 주력할 계획이다.
LG전자는 통신 기술과 딥 러닝 기술을 융합한 인공지능 가전을 꾸준히 선보여 스마트홈 시장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LG전자는 올해 출시하는 모든 가전제품에 무선인터넷을 지원해 생활가전의 IoT를 가속화한다. 또 독자 개발한 딥 러닝 기술 ‘딥씽큐’를 탑재한 스마트 가전을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출시할 계획이다.
최근까지는 일부 가전제품, 스마트폰 등이 서로 정보를 교류하고 동작을 제어했던 데 비해 인공지능 가전은 모든 제품이 서로 연결돼 고객의 제품사용 패턴 및 주변 환경을 스스로 학습해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한다.
LG전자는 지난 해 ‘스마트씽큐 센서’, ‘스마트씽큐 허브’ 등 스마트홈 액세서리를 출시하며 ‘일반 가전의 스마트화’를 선언했고, 올해 ‘웹OS’ 탑재 스마트 냉장고 등 스마트 가전 라인업을 확대하며 ‘스마트씽큐’의 저변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가정용 허브 로봇. LG전자는 향후 스마트홈과 연계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로봇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든다. 로봇청소기, 홈 IoT 등을 통해 축적해온 인공지능 및 자율주행 기술을 활용해 가정용 및 상업용 로봇 개발에 적극 나선다.
LG전자가 이번에 공개한 가정용 허브 로봇은 집안 곳곳에 위치한 미니 로봇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행동과 음성을 실시간으로 파악,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인터넷을 통해 TV, 냉장고, 에어컨 등의 가전제품은 물론 조명과 보안시스템까지 제어한다.
사용자 옆에서 동화를 들려주거나 음악을 틀어주고, 사진을 찍어 즉석에서 화면으로 보여준다. 로봇 얼굴의 LCD 화면으로 웃음, 슬픔, 놀람 등의 감정을 표현하며 사용자와 감정을 교감한다.
LG전자는 상업용 로봇 시장에도 진출해 로봇제품의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한다.
이번 전시회에 공항 방문객에게 항공기 탑승 시간·체크인 장소 등 각종 정보를 화면 및 음성으로 안내하는 ‘공항 안내 로봇’, 스스로 청소가 필요한 곳을 찾아가 청소해주는 ‘공항 청소 로봇’, 스스로 잔디를 주기적으로 관리해주는 ‘잔디깎이 로봇’ 등을 선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