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 사이 사업에 실패한 기업인의 재기를 위한 환경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중소기업청에 따르면 정부 지원을 받아 재창업에 성공한 기업은 2013년 244개에서 지난해 466개로 3년 새 2배 가까이 늘어났다.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등 정책금융기관의 창업자 연대보증 면제도 지난 2013년 대비 1200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2013년에는 5개사가 19억원의 연대보증 면제 혜택을 받은 뒤 올해 9월 기준으로 6000개사가 1조9000억원의 면제를 받았다.
중기청은 연대보증 면제 확대, 조세부담 완화, 채무조정범위 확대(50%→75%), 신용정보 공유 제한 등 창업 기업인이 사업 실패 시 재도전의 걸림돌을 제거하는 사업이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기청은 이 외에도 재도전종합지원센터 설치, 재창업 자금 확대, 재도전성공패키지 지원 사업 추진 등 실패 기업인의 재창업을 지원하는 사업도 대폭 확충했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중기청은 상담 및 정책자금 연계지원 등 재창업을원스톱으로 지원하는 재도전종합지원센터를 지난해 3곳에서 올해 7곳으로 확충했다. 기술력과 경험이 있으나 실패로 인한 신용 하락으로 민간 자금 이용이 곤란한 재창업자를 지원하기 위한 재창업 자금도 2013년 400억원에서 올해 1000억원까지 확대했다. 재창업 성공률 제고를 위해 교육에서 멘토링, 사업화까지 일괄 지원하는 재도전성공패키지 사업과 재창업자 전용 기술개발 사업도 추진했다.
중기청은미래창조과학부와 시중 금융기관과 함께 실패 기업인에 대한 재도전 인식 개선 사업도 추진했다. 올 7월에는 성실경영평가제도를 도입하는 등 정직한 실패가 용인되는 문화확산에도 주력했다.
성녹영중기청 재도전성장과장은 “정부는 앞으로도 성실한 실패를 용인하고 재기를 북돋아 주는 재도전 환경 조성을 위해 재정적 지원을 확대하고 관련 제도를 꾸준히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