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경식 CJ그룹 회장(왼쪽)과 제이 모나한 PGA투어 부커미셔너는 24일 서울 중구 CJ인재원에서 ‘더 CJ컵@나인브릿지’의 한국 개최 협약서에 사인했다. 사진=CJ그룹 제공 내년부터 한국에서 총상금 925만 달러(약 105억원) 규모의 미국프로골프(PGA)투어 정규 대회가 열린다.
CJ그룹은 24일 서울 중구 CJ인재원에서 2017년 10월 PGA투어 사무국과 정규 대회 개최를 위한 협약식을 갖고 2026년까지 10년간 국내에서 PGA투어 '더 CJ컵@나인브릿지'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대회는 내년 10월 16~22일까지 4라운드 72홀 스트로크플레이로 펼쳐진다. 장소는 확정되지 않았지만 CJ그룹이 운영하는 제주 클럽나인브릿지 또는 경기도 여주의 해슬리 나인브릿지에서 열릴 예정이다.
참가 선수는 78명으로 컷오프 없이 진행되며, 페덱스컵 포인트 상위 랭커 60명과 한국프로골프(KPGA) 코리안투어 선수 등 18명이 출전한다. PGA투어 사무국과 CJ 측은 상호 협의를 통해 최소 10명 이상의 한국 선수들이 대회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내년 첫 대회는 총상금 규모 925만 달러로 확정됐다. 하지만 향후 다른 PGA투어 대회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점차적으로 증액할 계획이다. 우승자에게는 페덱스컵 포인트 500점, 2년간 PGA투어 출전권이 주어진다.
개최 비용은 수천억원에 달한다. 연간 105억원씩 10년 동안의 산술적 계산만도 1000억원이 넘는다. 여기에 총상금을 순차적으로 증액하겠다는 방침인 만큼 그 액수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또 운영 경비는 총상금의 1~2배가 소요되기 때문에 아무리 적게 잡아도 대회당 100억원 정도는 집행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그렇게 되면 10년간 최소 2000억원의 비용이 든다. 올 시즌 치르고 있는 KPGA 코리안투어의 13개 대회 총상금 규모가 95억원인 것을 감안하면 천문학적인 금액이다.
경욱호 CJ그룹 마케팅 부사장은 "이번 대회는 국내 남자 골프 유망주들이 세계 무대 도전의 꿈을 이루는 기회의 장이 되고 지역경제 활성화와 관련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제이 모나한 PGA투어 부커미셔너는 "이 대회 개최로 '아시안 스윙'이 완성돼 전 세계 10억 가구에 중계되는 엄청난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모나한 부커미셔너의 얘기처럼 내년 10월 12일부터 CIMB 클래식(말레이시아)-더 CJ컵@나인브릿지(한국)-WGC HSBC 챔피언스(중국)로 이어지는 '아시안 스윙'을 완성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1~5위까지 톱랭커들이 몇 명이나 참가할지는 미지수다. 23일 끝난 CIMB 클래식에서는 세계 랭킹 1~4위가 아무도 나오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