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호 CJ제일제당 식품마케팅 담당 상무가 지난달 31일 부산 사하구 장림동 CJ제일제당 햇반공장에서 열린 '햇반 R&D 세미나'를 개최하고 이같은 포부를 밝혔다.
CJ제일제당은 이날 쌀의 핵심영양성분이 담긴 쌀눈을 3배 더 키운 신품종 쌀로 '큰눈영양쌀밥'을 선보였다. 내년에는 건강곡물 및 제철재료로 만든 밥까지 가세해 '건강한 밥' 카테고리를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즉석밥'을 비상식, 일상식을 넘어 '건강식'으로 발전시키려는 CJ제일제당은 향후 4년 동안 시장 규모를 2배 키우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이를 통해 2018년 2500억원, 2025년 1조원으로 매출을 성장시킨다는 계획이다. 우선은 현재 65% 수준인 시장 점유율을 확대시키는 것이 우선이다.
‘비상식’에서 ‘일상식’을 넘어 이제는 ‘건강식’으로
햇반이 최초로 출시된 것은 1996년 12월. 당시 CJ제일제당 사내에서조차 “맨 밥을 누가 사먹겠느냐’는 반대여론이 높았다.이런 상황에서 CJ제일제당이 소비자들에게 제시한 최초의 소구점은 바로 ‘비상식’이었다. 아이들이나 남편 친구들이 집에 갑자기 들이닥쳐 밥이 모자랄 때 이를 해결하는 아이템으로 햇반을 내세웠다.
이후 2000년대 시장이 안정기에 접어들고 즉석밥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비상식이 아닌 ‘일상식’으로의 접근이 시작됐다. '엄마가 정성스럽게 지어준 것처럼 맛있는 밥’이라는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시작했다. 어린 시절부터 햇반 이용 경험이 있는 세대가 주요 소비계층 대열에 합류하고, 1인 가구가 증가하는 등 햇반의 일상식화를 추진할 수 있는 기반도 조성됐다.
햇반은 이제 ‘일상식’을 넘어 ‘건강식’으로의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큰눈영양쌀밥’은 CJ제일제당이 서울대 농대와 함께 공동 개발한 ‘큰눈영양쌀(서농 17호)’로 만든 햇반이다. 쌀의 영양이 모여있는 쌀눈 부위를 기존 쌀보다 3배 더 키우고 도정 과정에서도 떨어지지 않도록 배아 부분을 함몰형으로 만든 특수한 신 품종이다. 일반 백미로 도정해도 쌀눈이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쌀눈에 들어있는 항산화 성분 감마오리자놀과 필수 지방산 리놀렌산, 비타민, 식이섬유 등의 영양분을 그대로 담은 건강지향적인 제품이다.
‘R&D 역량’이 비결… 품종 연구까지 확대
햇반 R&D의 첫 번째 특징은 ‘당일 도정’이다. 쌀은 도정을 하는 그 순간부터 수분함량이 떨어지며 밥맛이 떨어진다. 햇반은 2010년부터 국내에서 유일하게 자체 도정 설비를 보유해 당일 도정한 쌀로 밥을 짓고 있다. 자체 도정 설비가 있기에 쌀 품종별로 맞춤도정이 가능하고, 도정 후 하루 내에 햇반을 만들어 ‘갓 지은 밥맛’을 구현할 수 있다.
밥맛을 좌우하는 쌀을 잘 고르고 보관하는 것도 핵심 포인트다. 햇반 연구진들은 매년 원료 쌀의 생육과정(모내기, 관리, 수확)을 직접 현장에서 점검 및 관리하고, 그 해에 가장 맛있는 쌀을 찾기 위한 전쟁과 같은 원료 확보 경쟁을 치른다. 양질의 쌀을 사용하되 산지의 차이가 맛 차이로 이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 다양한 조건에서도 같은 밥맛을 낼 수 있도록 모든 조건을 검증하고 있다. 수확 후에도 햅곡과 같은 품질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건조된 쌀을 15도에서 저온 보관하는 것도 차별화된 경쟁력이다.
2011년부터는 더 나아가 쌀 품종 개발에도 힘을 쏟고 있다. 농촌진흥청 및 주요 대학교와 협력해 쌀 품종부터 연구해 쌀부터 최종 제품까지 철저한 관리가 이뤄질 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CJ제일제당은 앞으로도 농촌진흥청 및 산학연계를 통해 가공밥에 적합한 맞춤형 품종, 건강기능성을 갖춘 품종 등에 대한 연구개발을 강화할 계획이다.
2018년 시장 규모 2배… 2025년 매출 1조원 목표
우리 국민의 쌀 소비는 계속 줄고 있다. 국민 1인당 쌀 소비량은 1996년 104.9kg에서 2013년 67.2kg으로 감소하고 있다. 반면, 햇반을 중심으로 하는 즉석밥 시장은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실례로, 햇반은 1996년 출시 당시 생산량이 2천톤 규모에서 지난해 3만톤을 넘어 15배 이상 성장했다. 총 누적생산량(2014년 9월 기준)만 11억개. 특히 올해 판매량은 1억 6000만개가 예상되고 있어 우리나라 인구를 5000만명으로 환산하면 1인당 햇반 3개를 섭취한 셈이다.
최근 5년간 즉석밥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은 20%에 달한다. 이 성장률 대로만 성장해도 4년 후인 2018년에는 즉석밥 시장이 현재의 두 배인 3600억원으로 커질 전망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5년에는 즉석밥의 주 소비층이라 할 수 있는 1~2인 가구가 전체 가구의 63%에 달해 한층 더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와 밥 문화가 비슷한 일본의 즉석밥 시장이 1조원 규모라는 점을 놓고 보면 국내 즉석밥 시장 역시 아직도 잠재성장 가능성은 무궁하다는 판단이다.
박 상무는 “한국의 즉석밥 문화를 만든 햇반은 앞으로도 치열한 R&D 진화와 제품 개발로 국내 즉석밥 시장을 키우고, 즉석밥 수요 확대를 통해 국내 쌀 소비 활성화에 앞장 서 농가 수익증대에 힘쓰겠다”며 “2025년까지 햇반 매출 1조원으로 확대시키는 것이 중장기 목표”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