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스타일' 싸이(35 박재상)의 올해 매출이 최소 810만 달러(약 87억6천만원)에 달할 것으로 AP 통신이 5일 보도했다.
AP는 각종 자료와 음악 산업계 관계자들의 전망을 근거로 이같이 전했다.
AP는 싸이의 수입원을 유튜브 광고와 음반 및 음원 판매, TV 광고 등 크게 세 가지로 분류했다.
동영상 트래픽 조사업체인 튜브모굴(TubeMogul)에 따르면 싸이와 소속사 YG엔터테인먼트는 유튜브 광고('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에 붙는 광고 수익)로 87만 달러(약 9억4천만원)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추산된다.
'강남스타일' 패러디 영상에 붙는 광고 수익까지 합하면 매출은 더 늘어난다. '강남스타일'은 현재까지 유튜브에서 약 8억9천만 건의 조회 수를 기록 중이다.
또 AP는 미국 음반판매량 집계 기관인 닐슨사운드스캔의 집계를 인용, '강남스타일'이 미국에서만 290만 건의 다운로드를 기록했다면서 '강남스타일'의 음원 가격이 1.29 달러이고, 이 중 30%가량은 아이튠스 운용사인 애플에 돌아간다는 점을 감안하면 싸이와 소속사의 몫은 약 260만 달러(약 28억1천만원)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음원 정액제 등으로 생산자의 몫이 훨씬 적은 한국에선 약 6만1천 달러(약 6천600만원)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집계했다. 공인 음악 차트인 가온차트 집계에 따르면 '강남스타일'은 지난달까지 약 360만 건의 다운로드와 4천만 건의 스트리밍(재생)을 기록했다.
CD 판매 수익은 크지 않다. AP는 한국음악저작권협회 자료를 인용해 '강남스타일'이 수록된 싸이의 정규 6집 파트1 '싸이육갑'이 한국에서 10만2천 장 가량 팔렸으며, 매출은 5만 달러(약 5천400만원) 정도 될 것으로 추산했다.
매출에 가장 크게 기여한 항목은 TV 광고다. 교보증권에 따르면 싸이는 올해 TV 광고로만 50억원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집계됐다.
AP는 또 싸이가 글로벌 스타로 부상하면서 싸이의 아버지가 운영하는 반도체 장비 전문 업체 '디아이'도 주가 상승효과를 누렸다고 덧붙였다.
AP는 싸이가 '강남스타일'만으로는 영국 팝스타 아델처럼 엄청난 스타로 자리잡기 힘들 거라면서 싸이의 미래는 후속작에 달렸다고 강조했다.
유아정 기자 poroly@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