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0건
LPGA

여자골프 김효주, 에비앙 챔피언십 파워랭킹 3위 "에비앙에서 훌륭한 성적 거뒀어"

김효주가 미국 골프 전문지가 선정한 에비앙 챔피언십(총상금 800만달러) 파워랭킹 3위에 올랐다. 미국 골프 전문지 '골프 다이제스트'는 9일(한국시간) 여자 골프 메이저대회인 에비앙 챔피언십 우승 후보(파워 랭킹) 20명을 소개했다. 에비앙 챔피언십은 10일 프랑스 에비앙레뱅의 에비앙 리조트 골프클럽(파71·6504야드)에서 막을 올린다.한국 선수 중 김효주가 가장 높은 순위인 3위에 이름을 올렸다. 매체는 김효주에 대해 "지난주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 롯데 오픈에 출전했던 그는 10년 동안 프랑스에서 훌륭한 성적을 거뒀다. 2014년 이 대회 우승으로 메이저 첫 승을 거뒀고, 2019년에는 공동 2위, 2022년엔 공동 3위에 올랐다"라고 소개했다. 이어 매체는 "올해는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에서 톱10에 네 번이나 진입했다. 포드 챔피언십에서도 우승했다. 메이저 대회인 셰브론 챔피언십에선 5인 연장전에 참가해 공동 2위를 기록했다"고 덧붙였다. US여자오픈 컷 탈락과 여자 PGA 투어 기권 전력도 함께 전했다. 1, 2위는 교포 선수 리디아 고(뉴질랜드)와 이민지(호주)가 올랐다. 1위부터 3위까지 한국계 선수들로 채워진 것이다. 지노 티띠꾼(태국)이 4위, 지난해 이 대회 우승자 후루에 아야카(일본)가 5위로 그 뒤를 이었다. 여자 골프 세계 랭킹 1위 넬리 코르다(미국)가 6위에 올랐다.한국 선수로는 고진영이 15위, 유해란이 19위로 평가됐다. 매체는 고진영에 대해 "LPGA에서 15승을 거둔 그는 2019년 이 대회 우승을 포함해 메이저 타이틀을 두 개 보유하고 있다. 이 대회에서 컷 탈락한 적이 없다"고 소개했다. 다만 "이번 시즌 고진영의 경기력은 매우 불안정했다. 파운더스컵 준우승을 포함해 톱10에 네 번이나 진입했지만, 최근 두 대회엔 컷 탈락했다"고 전했다. 유해란에 대해선 "시즌 첫 메이저 대회인 셰브론 챔피언십에선 공동 6위를 기록하고, 그 다음주 열린 블랙데저트 챔피언십에선 우승했다. 올해 세 개의 메이저 대회에서 모두 컷 통과했다"라며 "유해란은 지난해 이 대회에서 5위를 차지했고, 메이저 대회 통산 톱10을 다섯 번이나 기록했다"라고 소개했다. 윤승재 기자 2025.07.09 11:04
LPGA

한조 이룬 박성현 윤이나, 다우 챔피언십 둘째날 공동 9위까지 점프

최근 부진으로 반등이 절실한 스타 박성현과 윤이나가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2인 1조 팀 대회인 다우 챔피언십 둘째 날 상위권으로 점프했다. 한조를 이룬 박성현과 윤이나는 28일(한국시간) 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의 미들랜드 컨트리클럽(파70·6287야드)에서 열린 대회 2라운드에서 10언더파 60타를 기록했다. 1라운드 2오버파 공동 38위였던 박성현-윤이나는 중간 합계 8언더파 132타가 되며 공동 9위로 올라섰다. 이 대회는 LPGA 투어에서 유일한 2인 1조 경기 방식 대회로, 1라운드와 3라운드는 공 하나로 같은 팀 선수 2명이 번갈아 샷을 하고, 2라운드와 4라운드는 2명이 각자 공으로 경기해 매 홀 더 좋은 점수를 그 팀의 성적으로 삼는다.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에서 뛰던 시절부터 장타를 앞세워 공격력을 뽐내며 팬들의 사랑을 받았던 박성현과 윤이나는 최근 LPGA 투어에선 이렇다 할 모습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LPGA 투어에서 7승을 올리고 세계랭킹 1위에도 올랐던 박성현은 최근 몇 년간 부상 여파로 슬럼프를 겪는 가운데 이번 시즌엔 10개 대회 중 3주 전 숍라이트 클래식에서만 컷을 통과해 공동 29위에 올랐다.지난해 KLPGA 투어 대상, 상금왕, 최저타수상을 휩쓸고 큰 관심 속에 미국 무대에 진출한 윤이나는 13개 대회 중 7차례 컷을 통과, 이달 초 US여자오픈 공동 14위가 최고 성적이다.좋지 않은 흐름 속에 팀으로 뭉친 이들은 2라운드 단독 선두(13언더파 127타)로 올라선 제니퍼 컵초(미국)-리오나 머과이어(아일랜드)와 더불어 데일리 베스트 스코어를 적어내며 반등의 계기를 마련했다.현재 선두에 5타 차로 밀리고 있지만, 남은 이틀 동안 몰아치기가 나온다면 역전 우승까지도 바라볼 만한 위치다.전날 공동 2위였던 이소미와 임진희는 7타를 줄이며 6위(10언더파 130타)가 됐고, 안나린은 일본의 후루에 아야카와 한 조를 이뤄 공동 9위에 이름을 올렸다.디펜딩 챔피언인 지노 티띠꾼(태국)과 인뤄닝(중국)은 이날 4타를 줄이는 데 그쳐 공동 17위(6언더파 134타)로 9계단 하락했다.전지원-이미향, 김세영-오스턴 김(미국)은 공동 28위(4언더파 136타)로 컷을 통과했다.2라운드 합계 4언더파 136타, 공동 28위까지 컷을 통과한 가운데 전인지-제니퍼 송(미국)은 공동 41위(2언더파 138타), 유해란-로즈 장(미국)은 공동 49위(1언더파 139타)로 탈락했다.이은경 기자 2025.06.28 10:05
LPGA

'무려 1208계단 올랐다' 10년 만의 준우승 이일희, 세계랭킹 1426위→218위 수직상승

무려 1208계단이나 상승했다. 이일희의 세계 랭킹이 수직 상승했다. 이일희는 10일(한국시간) 발표된 세계 여자골프 랭킹에서 지난주 1426위에서 무려 1208계단 오른 218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일희는 9일(한국시간) 미국 뉴저지주 갤러웨이의 시뷰 베이 코스(파71·6263야드)에서 열린 숍라이트 LPGA 클래식(총상금 175만달러) 3라운드에서 버디 6개와 보기 3개를 묶어 3언더파 68타를 쳤다. 최종 합계 14언더파 199타를 기록한 이일희는 15언더파를 기록한 제니퍼 컵초(미국)에게 단 한 타 차로 밀려 준우승했다.12년 만의 LPGA 우승 도전 무대에서 10년 만의 준우승을 기록했다. 이일희가 준우승한 건 지난 2014년 11월 미즈노 클래식이 마지막이었다. 2010년 LPGA 투어에서 데뷔한 그는 2013년 퓨어실크-바하마 클래식 우승 이후, 트로피와 인연을 맺지 못했다. 2016년 이후 단 한 번도 20위 내의 성적을 거두지 못했던 그는 2018년 LPGA 시드를 잃은 이후, 2020년부터 2022년까지 매년 1∼3개 대회에만 출전했다. 그동안 어깨 부상 등으로 고전했던 그는 공부를 다시 시작해 학사 학위를 따고 다른 업종에 취직도 했지만 이번 대회에서 깜짝 준우승하며 두각을 드러냈다. 유해란이 5위를 유지한 가운데, 김효주가 지난주보다 한 계단 하락한 10위에 이름을 올렸다. 고진영(12위) 양희영(22위) 윤이나(25위) 이예원(26위) 김아림(27위)이 순위를 유지한 가운데, 숖클래식에서 공동 5위로 선전한 임진희가 4계단 상승한 28위에 올랐다. 마지막날 17번 홀 홀인원과 함께 공동 3위로 대회를 마친 김세영의 순위도 4계단 올라 44위에 이름을 올렸다. 한편, 이 대회에서 우승한 제니퍼 컵초(미국)는 지난주보다 17계단 상승한 45위에 올랐다. 일본 선수들 중에선 사이고 마오가 2계단 오른 8위, 후루에 아야카가 1계단 상승한 15위에 이름을 올렸다. 윤승재 기자 2025.06.10 07:31
LPGA

이일희, LPGA 숍라이트 클래식 2R 단독 선두…12년 만에 우승 도전

이일희가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숍라이트 클래식(총상금 175만 달러) 2라운드에서 단독 선두에 올랐다. 그는 12년 만의 우승에 도전한다.이일희는 8일(한국시간) 미국 뉴저지주 갤러웨이의 시뷰 베이 코스(파71)에서 열린 LPGA 투어 숍라이트 클래식 2라운드에서 버디 5개·더블보기 1개를 묶어 3언더파 68타를 쳤다.이일희는 중간 합계 11언더파 131타를 기록, 일본의 사이고 마오, 후루에 아야카, 미국의 엘리자베스 소콜, 제니퍼 컵초(이상 미국) 등 공동 2위 그룹을 1타 차로 따돌리고 단독 선두를 차지했다. 남은 최종 라운드에서 선두를 지킨다면 2013년 퓨어실크-바하마 클래식 제패 이후 12년 만에 LPGA 투어 정상에 오를 수 있다.이일희는 지난 2018년 이후 시드가 없어 투어 대회 우승자에 주는 연간 1, 2차례 출전 기회를 활용해 선수 생활을 이어왔다. 올해도 예선을 통과해 나선 US여자오픈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 출전이다. 이번에 우승하면 투어 카드를 확보할 수 있다. 톱10에만 들어도 다음 대회에 출전할 자격을 얻는다.이일희는 전날 보기 없이 버디 9개를 쓸어 담았다. 이날도 버디 5개를 뽑아냈다. 8번 홀(파4) 더블보기가 유일한 아쉬움이었다.일본의 사이고는 6타를 줄여 이일희를 1타 차로 따라붙었다. 특히 3번 홀(파5)에서 214야드를 남기고 친 두 번째 샷이 홀에 빨려 들어가는 앨버트로스를 잡아냈다. 올 시즌 LPGA 투어에서 나온 세 번째 앨버트로스다.이정은은 5언더파 66타를 쳐 공동 6위로 순위가 올랐다. 첫날 이븐파로 공동 65위에 그쳤던 세계랭킹 1위 넬리 코르다(미국)는 5타를 줄여 공동 25위(5언더파 137타)로 올라왔다.고진영은 1타밖에 줄이지 못해 공동 52위(2언더파 140타)로 밀렸다. 윤이나는 2오버파 73타를 쳐 합계 1오버파 143타로 컷 탈락했다.김우중 기자 2025.06.08 10:00
LPGA

현재 스코어 3대3, 미국에서 열리는 여자골프 '한일전'…한일 최강자 총출동

올해 열리는 미국 내셔널 타이틀 'US 여자오픈'이 여자골프 한일전 양상이 될 전망이다. 한국과 일본 최고의 선수들이 대거 출격하는 가운데, 누가 먼저 '시즌 4승'을 거둘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올해로 80번째를 맞는 US 여자오픈은 오는 30일(한국시간)부터 나흘간 미국 위스콘신주 에린의 에린 힐스(파72)에서 열린다. US 여자오픈은 한국 선수와 인연이 깊다. 지난 1998년 박세리가 '맨발 투혼'으로 우승을 차지한 대회가 바로 이 대회로, 무려 10명의 선수가 11번이나 이 대회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박인비가 2008년과 2013년 두 차례 우승했고, 2020년 김아림이 최근 한국인 우승자다. 다만 이후로 한국인 강세가 끊겼다. 특히 지난해에는 톱10에 단 한 명의 한국인 선수도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김효주와 임진희가 공동 12위로 선전한 것이 최고 순위였다. 그 사이 일본 선수들이 치고 올라왔다. 2021년과 2024년 사소 유카가 이 대회에서 두 번이나 우승했다. 지난해에도 시부노 히나코(2위)와 후루에 아야카(공동 6위) 코이와이 사쿠라, 타케다 리오(이상 공동 9위) 등 상위 10위에만 5명의 선수가 포함되며 강한 모습을 보였다. 올해는 한국 선수들의 '왕좌 재탈환'이 기대가 된다. 올 시즌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에서 한국인 강세가 돋보이기 때문이다. 올해 한국 선수들은 LPGA 투어에서 3승을 거두며 선전하고 있다. 김아림이 2월 개막전인 힐튼 그랜드 배케이션스 토너먼트 오브 챔피언십에서 우승했고, 김효주가 3월 포드 챔피언십에서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지난 5일엔 유해란이 블랙 데저트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면서 한국인 3승을 따냈다. 3승의 주역들이 모두 US 여자오픈에 출전한다. 특히 김효주는 지난달 메이저 대회인 셰브론 챔피언십 준우승, 지난 11일 끝난 레이디스 유러피언투어(LET) 아람코 챔피언십 2연패 등 상승세에 있어 그의 활약이 기대가 된다. 양희영과 최혜진, 윤이나, 임진희 등 올 시즌 LPGA 투어에서 활약 중인 선수들도 대거 출격을 예고하고 있다. 이 중 전인지와 박성현, 이정은, 김아림은 이 대회 우승자 출신으로 대회 두 번째 우승을 조준한다.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에서 활약하는 선수들도 대거 출전해 눈길을 끈다. 지난해 다승왕(3승)인 배소현과 마다솜, 지난해 신인왕 유현조, '돌격대장' 황유민 등도 도전장을 내밀었다. 최근 일본여자프로골프(JLPGA) 투어에서 통산 상금 1위를 달성한 신지애도 이번 대회에 출격해 개인 통산 67번째 우승을 노린다. 반면, 일본 선수들의 면면도 화려하다. 일본 역시 올 시즌 LPGA 투어에서 3승을 기록 중이다. 타케다(3월 블루베이 LPGA) 사이고 마오(4월 셰브론 챔피언십) 이와이 치사토(5월 멕시코 오픈)가 우승을 이끌었다. 이번 대회에서도 디펜딩 챔피언 사소와 함께 올해 3승을 이끈 일본 선수들이 모두 출격한다. JLPGA투어에서 활약 중인 바바 사키도 우승 도전에 나선다. 한국과 일본 선수 중 누가 먼저 '시즌 4승'을 선점하며 메이저 퀸에 오를 수 있을지 주목된다. 윤승재 기자 2025.05.29 06:04
LPGA

김아림·김효주-다케다·사이고 '나란히 2승', LPGA 한일전 서막 올랐다

김아림과 김효주, 다케다 리오와 사이고 마오(이상 일본). 올 시즌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에서 우승한 아시아 선수들이다. 한국 2승, 일본 2승. 최근 LPGA 투어에서 아시아 선수들의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한일전'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사이고 마오는 28일(한국시간) 미국 텍사스주 우들랜즈의 더 클럽 칼턴 우즈(파72·6911야드)에서 열린 LPGA 투어 시즌 첫 메이저 대회인 셰브론 챔피언십(총상금 800만 달러)에서 최종 합계 7언더파 281타를 기록, 이어진 1차 연장전에서 김효주와 인뤄닝(중국) 아리야 쭈타누칸(태국) 등을 제치고 우승했다. 23세의 사이고는 일본여자프로골프(JLPGA) 투어에서 6승을 거둔 뒤 지난해 LPGA 투어에 데뷔해 우승 없이 신인왕에 올랐던 선수로, 미국 무대 첫 승의 기쁨을 메이저 대회에서 누렸다. 일본 선수 첫 셰브론 챔피언십 우승자로 이름을 올렸다. 사이고는 지난 3월 블루 베이 LPGA 우승자 다케다 리오에 이어 올 시즌 두 번째 일본인 우승자가 됐다. 김아림(2월 힐튼 그랜드 배케이션스 토너먼트 오브 챔피언십) 김효주(3월 포드챔피언십) 등 2승을 거둔 한국과 어깨를 나란히 한 것이다. 올 시즌 LPGA 투어 각종 개인 지표에서도 한, 일 선수가 상위권에 올라있다. 김효주가 CME 글로브 포인트 1위에 오른 가운데, 사이고가 이번 우승으로 21계단 오른 4위까지 치고 올라왔다. 올해의 선수상 점수는 사이고 마오(68점)가 김효주(59점)를 제치고 1위로 올라섰다. 일본 선수의 강세는 지난해부터 이어지고 있다. 일본은 지난해 사소 유카(US여자오픈)와 후루에 아야카(에비앙 챔피언십) 등 메이저 우승을 두 차례 했고, 토토 재팬 클래식에서 우승한 다케다 리오까지 총 3명의 선수가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여기에 사이고 마오가 신인왕을 차지하면서 일본인 강세를 보였다. 한국도 지난해 3승을 거뒀다. 지난해 6월 메이저 대회 KPMG 여자 PGA 챔피언십에서 양희영이 시즌 첫 승을 신고한 데 이어, 9월 FM 챔피언십에서 유해란이 시즌 2승을 거뒀다. 11월 뒤늦게서야 김아림(롯데 챔피언십)이 우승을 추가하며 3승을 달성했다. 올해도 일본과 나란히 2승을 거두면서 일본인 강세의 유일한 대항마로 꼽히고 있다. 윤승재 기자 2025.04.29 08:11
LPGA

윤이나, LPGA투어 포드 챔피언십 2R 공동 6위

첫날 공동 3위에 오르며 선두권을 바라보던 윤이나가 둘째날 공동 6위로 상승세를 더 끌어올리지 못했다. 윤이나는 윤이나는 29일(한국시간) 미국 애리조나주 챈들러의 월윈드 골프클럽(파72)에서 열린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포드 챔피언십(총상금 225만달러) 2라운드에서 3언더파 69타를 쳤다. 첫날 7타를 줄였던 윤이나는 중간합계 10언더파 134타로 김세영, 후루에 아야카(일본)와 함께 공동 6위를 기록했다. 김세영 역시 첫날 7언더파, 둘째날 3언더파의 성적을 냈다. 선두는 이날 8타를 줄이며 무서운 상승세를 탄 릴리아 부(미국)가 차지했다. 부는 중간합계 14언더파 130타로 순위를 10계단 끌어올렸다. 공동 2위 그룹에는 네 명의 선수가 포진해 본격적인 선두 경쟁을 이어가게 됐다. 세계랭킹 1위 넬리 코다(미국)과 2위 지노 티띠꾼(태국)이 각각 7타, 8타를 줄이면서 중간합계 12언더파 132타로 공동 2위에 자리했다. 이들과 함께 난나 쾨르츠 마센(덴마크), 찰리 헐(잉글랜드)이 나란히 중간합계 12언더파 132타로 공동 2위 그룹에 합류했다. 윤이나는 6개의 버디를 낚았으나 보기 3개를 기록해 2라운드 3언더파를 기록했다. 10번홀에서 경기를 시작해 12번홀(파5)에서 첫 버디를 신고했고, 14번홀(파4)에서 첫 보기가 나왔다. 이후 4번홀(파4)까지 버디 4개를 추가했지만, 6번홀(파3)과 8번홀(파4)에서 보기가 나왔다.이은경 기자 2025.03.29 11:19
LPGA

이미향, 블루베이 LPGA 3R 공동 9위…윤이나는 11위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이미향(32)이 블루베이 LPGA(총상금 250만 달러) 3라운드에서 공동 9위에 올랐다. 같은 대회에 나선 윤이나(22)는 공동 11위에 이름을 올렸다.이미향은 8일 중국 하이난성 젠레이크 블루베이 골프코스(파72·6712야드)에서 열린 블루베이 LPGA 3라운드에서 버디 3개를 기록, 3언더파 69타를 쳤다.이미향은 중간 합계 5언더파 211타를 기록, 전날 공동 15위였던 순위를 6계단 올리며 3라운드를 마무리했다. 단독 선두인 일본의 다케다 리오(9언더파 207타)와는 단 4타 차다.이미향은 지난 2014년 미즈노 클래식, 2017년 7월 스코틀랜드 여자오픈에서 정상에 올라 LPGA 투어 2승을 기록 중이다. 이번 시즌에는 3개 대회에 출전했다. 지난주 HSBC 위민스 월드 챔피언십의 공동 21위가 최고 성적이다.김아림은 3라운드 공동 11위(4언더파 212타)를 기록했다. 그는 1라운드 공동 선두였다가, 2라운드에서 5타를 잃고 30위권까지 추락한 바 있다. 이날은 버디 6개·보기 1개를 묶어 5언더파를 올렸다.김아림은 이번 시즌 개막전인 힐튼 그랜드 배케이션스 토너먼트 오브 챔피언스에서 LPGA 통산 3번째 우승을 차지한 바 있다. 올해 출전한 4개 대회 연속 톱10 진입 가능성을 높였다.신예 윤이나도 김아림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그는 지난 시즌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 3관왕 출신이다.윤이나는 LPGA 투어 데뷔전인 지난달 파운더스컵에서 컷 탈락했다. 그는 데뷔 이후 처음 치른 주말 경기에서 2타를 줄였다.이소미는 공동 20위(2언더파 214타), 임진희는 공동 23위(1언더파 215타), 전지원은 공동 31위(1오버파 217타)에 자리했다.올해 미국 무대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다케다는 오스틴 김(미국) 등 공동 2위에 2타 차로 앞서며 우승 기회를 잡았다. 이민지(호주)와 지노 티띠꾼(태국), 후루에 아야카, 사이고 마오(이상 일본)는 공동 5위(6언더파 210타)다.김우중 기자 2025.03.08 20:00
LPGA

김아림의 상승세냐 윤이나의 반등이냐, '아시안 스윙' 블루베이 LPGA서 웃을 선수는?

김아림의 상승세냐, 윤이나의 반등이냐.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아시안 스윙'의 마지막 대회, 블루베이 LPGA(총상금 250만 달러)에서 한국 선수들이 나흘 동안 경쟁을 펼친다. 블루베이 LPGA가 6일부터 9일까지 중국 하이난성 젠레이크 블루베이 골프코스(파72·6712야드)에서 열린다. 지난달 20~23일 태국에서 열린 혼다 LPGA 타일랜드와 2일 싱가포르에서 끝난 HSBC 위민스 월드 챔피언십에 이은 아시안 스윙 세 번째이자 마지막 대회다. 총 108명의 선수가 컷 없이 경쟁을 펼치는 가운데, 한국 선수 12명의 한국 선수가 출전해 우승에 도전한다. 선봉에 선 선수는 김아림이다. 김아림은 지난달 3일 열린 LPGA 투어 2025시즌 개막전 힐튼 그랜드 베케이션스 토너먼트 오브 챔피언십에서 우승한 바 있다. 지난해 11월 롯데 챔피언십 우승에 이어 2개월 만에 2승을 기록한 김아림은 올해 개막전 우승에 이어 혼다 타일랜드 6위, HSBC 월드 챔피언십 7위 등 출전한 세 차례 대회에서 모두 톱10에 들며 상승세를 탔다. 현재 그는 CME 글로브 레이스(706점)와 올해의 선수 포인트(39점) 1위, 상금은 2위(41만7천640달러)를 달리고 있다. 김아림은 이번 대회에서 통산 3승과 시즌 2승에 도전한다. 이번 시즌 다른 대회 우승자들이 출전하지 않는 이번 대회에서 '2승 선착'을 노린다. 지난해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 3관왕(대상 포인트·상금·평균타수)의 주인공 윤이나의 '반등'도 주목된다. 윤이나는 지난달 파운더스컵에서 LPGA 데뷔전을 치렀지만, 1, 2라운드에서 연속 오버파 스코어를 작성하며 90위권에 머물러 컷 탈락했다. 윤이나는 이후 레이디스 유러피언투어(LET) PIF 사우디 레이디스 인터내셔널에 출전해 4위에 올라 분위기를 반전했다. 이번 대회를 통해 LPGA 투어에 한 달 만에 복귀한 윤이나가 상위권 성적을 거둘 수 있을지 주목된다. 임진희와 박성현, 지은희, 이미향, 이소미, 이정은, 장효준, 전지원, 박금강, 주수빈 등의 한국 선수들도 함께 대회 우승에 도전한다. 세계랭킹 2위 지노 티띠꾼(태국)과 4위 인뤄닝(중국), 7위 후루에 아야카(일본), 11위 셀린 부티에(프랑스)과 함께 우승 경쟁을 펼친다. 윤승재 기자 2025.03.06 06:04
LPGA

리디아 고 시즌 첫 승, LPGA HSBC 월드 챔피언십 우승…임진희 공동 4위, 김아림·김효주 공동 7위

리디아 고(뉴질랜드)가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시즌 첫 승을 거뒀다. 임진희(공동 4위)와 김아림·김효주(이상 공동 7위) 등 한국 선수들도 톱10에 이름을 올렸다.리디아 고는 2일(한국시간) 싱가포르 센토사 골프클럽(파72·6779야드)에서 열린 LPGA 투어 HSBC 위민스 월드 챔피언십(총상금 240만달러) 4라운드에서 3언더파 69타를 기록, 최종 합계 13언더파 175타로 정상에 올랐다. 우승 상금은 36만 달러(약 5억 3000만원).리디아 고가 우승을 차지한 건 지난해 9월 크로거 퀸시티 챔피언십 이후 5개월여 만이다. 지난 파운더스컵에선 공동 48위에 그쳤지만 세 번째 출전 대회에서 정상에 오르는 데 성공했다. LPGA 투어 통산 승수는 23승으로 늘렸다.리디아 고에 이어 지노 티띠꾼(태국)과 후루에 아야카(일본)가 9언더파 279타로 공동 2위에 올랐다. 리디아 고와 격차는 4타 차.이날 리디아 고는 6번 홀(파4)부터 8번 홀(파5)까지 3연속 버디를 잡아내며 타수를 줄였다. 11번 홀(파4)에서 첫 보기를 범했지만, 13번 홀(파5)에서 버디를 잡으며 분위기를 바꿨다.15번 홀(파3)에서도 1타를 줄인 리디아 고는 17번 홀(파3)에서 보기를 기록했지만, 이미 2위권과 격차가 크게 벌어진 뒤였다. 임진희는 이날 5타를 줄이며 최종 합계 7언더파 281타를 기록, 찰리 헐(잉글랜드), 가비 로페스(멕시코)와 공동 4위에 이름을 올렸다. 2라운드까지 단독 선두를 질주하던 김아림은 이날 이븐파에 그치면서 최종 합계 6언더파 282타로 공동 7위를 기록했다. 이번 시즌 세 대회 연속 톱10이다. 이날 4타를 줄인 김효주도 김아림과 함께 공동 7위로 대회를 마쳤다.이밖에 최혜진은 최종 합계 5언더파 283타로 공동 11위, 고진영·유해란은 최종 합계 3언더파 285타로 공동 18위에 포진했다. 이미향·양희영은 공동 21위(2언더파 286타)로 대회를 마쳤다.김명석 기자 2025.03.02 16:39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