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경제

최태원 "2021년 파이낸셜 스토리로 SK 신뢰 높이는 원년" 강조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021년을 ‘파이낸셜 스토리’로 신뢰를 높이는 원년으로 삼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최 회장은 23일 SK그룹 계열사 최고경영자(CEO)들에게 각 회사가 만든 '파이낸셜 스토리'에 시장의 신뢰와 사회의 공감이 더해질 때만 기대 수준을 뛰어넘는 기업 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SK CEO들은 내년을 각 사가 제시한 파이낸셜 스토리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신뢰를 높이는 원년으로 삼고, 재무제표 중심의 성장 전략을 신뢰와 공감 중심의 성장 전략으로 바꿔나가기로 했다. 최 회장은 23일 제주 디아넥스호텔에서 막을 내린 SK그룹의 '2020 CEO 세미나'에서 "매출과 영업이익 등 종전 재무성과를 중심으로 한 기업가치 평가 방식은 더는 유효하지 않다"며 "이제는 매력적인 목표와 구체적 실행 계획이 담긴 파이낸셜 스토리가 시장에서 신뢰를 얻어야 기업가치가 높아지는 시대로 변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 회장이 강조하는 파이낸셜 스토리는 고객과 투자자, 시장 등 파이낸셜 소사이어티를 대상으로 SK 각 회사의 성장 전략과 미래 비전을 제시해 총체적 가치를 높여 나가자는 경영전략이다. 최 회장은 "기업가치 공식이 바뀌고 있는 만큼 CEO들은 고객, 투자자, 시장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에 적합한 각 사의 성장 스토리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신뢰와 공감을 이끌어 내야 한다"며 "한발 더 나아가 CEO들은 파이낸셜 스토리를 실행하면 더 큰 성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이제 스스로 입증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번 세미나에는 최 회장을 비롯해 최재원 SK 수석부회장, 최창원 SK디스커버리 부회장, 조대식 의장과 7개 위원회 위원장, 주요 관계사 CEO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SK그룹에서 계열 분리됐지만 브랜드와 기업문화(SKMS)를 공유하고 SK 경영활동에 협력하기로 합의한 SK해운과 SK증권 CEO도 작년에 이어 참석했다. 나머지 임원들은 온라인으로 함께 했다. 한편 SK그룹은 이번 세미나 이후 본격적으로 CEO와 임원 인사 평가에 돌입한다. 정기 인사 결과는 12월 초에 발표할 예정이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0.10.24 12:03
경제

최태원, CEO들에게 "기업가치 성장 스토리 만드는 스토리텔러 되어야"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계열사 수장들에게 고유의 기업가치 성장 스토리를 만들 것을 주문했다. 최 회장은 23일 경기 이천 SKMS연구소에서 열린 ‘2020 확대경영회의’에서 “우리가 키워가야 할 기업가치는 단순히 재무성과ㆍ배당정책 등 경제적 가치만이 아니라 지속가능성ㆍESGㆍ고객신뢰와 같은 사회적 가치, 지적재산권ㆍ일하는 문화와 같은 유ㆍ무형자산을 모두 포괄하는 토털밸류(Total Value)”라면서 “각 사 CEO들은 이 같은 기업가치 구성 요소를 활용해 시장, 투자자, 고객 등과 소통하고 신뢰를 확보할 수 있는 자신만의 성장 스토리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재무성과 중심의 성장을 넘어 ESG(환경ㆍ사회ㆍ지배구조), 일하는 문화 혁신, 사회적 가치 제고 등을 통해 고객과 사회로부터 신뢰까지 얻는 스토리 생성 주문이다. 이날 확대경영회의에는 최 회장을 비롯해 최재원 SK 수석부회장, 최창원 SK디스커버리 부회장, 조대식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및 7개 위원회 위원장, 주요 관계사 CEO 등 30여 명이 참석, 기업가치 제고 방안을 집중 토론했다. 최 회장이 주관하는 미래 전략을 세우는 경영 회의에서 SK 계열사 CEO들은 각 사별 성장을 가로막았던 장애물을 극복할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기업가치를 높여 나갈 각자의 스토리를 만들어 시장과 투자자, 고객 등에게 끊임없이 설득하고, 소통하는 방식으로 기업가치를 키워 나간다는 게획이다. 최 회장은 CEO 역할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그동안 우리의 성장을 가로막아 왔던 구조적 한계를 어쩔 수 없는 ‘주어진 환경’이 아니라 ‘극복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발상의 전환이 이뤄져야 딥체인지(Deep Change)도 가능하다”면서 “무엇보다 CEO들은 이 같은 구조적 장애물을 해결하기 위한 자신만의 성장 스토리를 준비하고 출사표를 던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CEO 스스로가 스토리텔러가 되어야 한다고 역설하기도 했다. 그는 “CEO들이 중장기 비전(되고 싶은 나)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거둔 경제적 성과를 시장에 알리는 데 그치지 않고 여러 이해관계자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하고, 신뢰를 얻어야 모두가 공감하는 스토리가 완성될 수 있다”고 밝혔다. 주주, 기관투자자, 연기금, IB 등 파이낸셜 소사이어티를 구성하는 여러 이해관계자는 물론 고객과 사회 등과 긴밀하게 소통하면서 신뢰를 확보하는 스토리텔러로서의 CEO 역할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올해 확대경영회의는 집단지성을 활용, 기업가치 제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패널토론 방식으로 진행됐다.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 두기 방침을 고래해 최 회장과 CEO 등 최고 경영진들만 오프라인으로 개최된 패널 토론에 참석하고 다른 경영진들은 온라인으로 회의를 지켜봤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0.06.23 17:3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