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59건
금융·보험·재테크

'해외 수수료 100% 면제·적립율 3% 추가' 여름 휴가철 '맞춤형 카드' 추천

KB국민카드가 여름 휴가철에 딱인 ‘맞춤형 카드’를 추천한다. 해외이용 수수료 100% 면제는 물론이고, 해외 적립율을 3%까지 높일 수 있는 카드도 있다. 24일 KB국민카드에 따르면 2024년 자사의 설문조사 결과 해외 여행 시 결제 예정 수단으로 ‘신용카드’를 선택한 비율이 48.4%였고, 해외여행 특화카드를 선택한 비율은 28.2%로 나타났다.이는 해외여행을 위한 특화카드를 발급받는 번거로움보다 평소 사용하는 카드를 해외에서도 이용하고 싶어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KB국민카드의 휴가 맞춤형 카드는 일상에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할 뿐 아니라 여행에서 더 빛을 발할 수 있어 관심을 끈다. 먼저 ‘KB국민 위시 트래블 카드’는 일상 6개의 영역에서 월 최대 4만원의 혜택을 제공하고, 여행 2개 영역에서 최대 2만5000원의 혜택을 제공한다. 해당 카드의 가장 큰 혜택은 전월 이용실적 조건 및 한도 없이 해외이용 수수료를 100% 면제해준다. 또 해외이용 환율 100% 우대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에 연 2회 전 세계 라운지 서비스가 제공돼 공항에서부터 해당 카드를 활용할 수 있다. 일상(국내) 생활에서 쇼핑, 여가 등 다양한 영역에서 혜택도 제공한다. 온라인쇼핑(11번가·G마켓·쓱닷컴·무신사·W컨셉·지그재그·29CM), 커피, 편의점, 영화관, 철도·고속버스에서 10% 월 최대 4만원의 할인 혜택이 가능하다. ‘KB국민 가온글로벌카드’는 국내외 전 가맹점에서 포인트리 적립서비스를 제공한다. 국내의 경우 실적 조건, 적립한도 없이 전 가맹점 이용금액의 0.3% 적립서비스가 제공된다. 특히 해외배송대행업체 5% 할인서비스를 제공해 해외 직구가 활성화 된 요즘 배송비 할인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해외 영역에서는 더 높은 적립율을 제공한다. 전월 실적 적립한도 관계없이 해외 전 가맹점의 이용금액 1.0%를 기본으로 제공하고 전월 실적 20만원 달성 시 1.0% 추가 적립을 제공한다. 또 전월 실적 50만원 달성 시 이용금액의 1.0%를 추가로 제공(이용금액 50만원 한도)해 최대 3.0%의 포인트리 적립이 가능하다. ‘KB국민 트래블러스 체크카드’는 여행이 일상인 ‘2030 프로여행러’를 위한 맞춤형 카드다. 국내에서는 연결된 계좌를 사용하고 해외에서는 KB페이를 통해 원하는 통화의 외화머니를 충전해 사용하는 국내외 올라운더 체크카드다. KB페이의 외화머니는 총 56종으로 원하는 금액만큼 충전이 가능하고 결제 시 외화머니가 부족하면 자동충전도 가능하다. 전월 이용실적 조건 및 한도 없이 해외이용 수수료를 100% 면제해준다. 또 해외 ATM 이용 수수료를 월 10회 면제해주는 혜택을 제공, 현금 인출 시 발생하는 수수료(현지ATM 수수료 제외)에 대한 부담을 덜어준다. 외화머니 충전(환전) 시에도 프로모션을 통해 100% 환율우대를 제공한다.KB국민카드 관계자는 “여름 휴가철을 맞아 소개한 이번 상품들은 해외여행에도 일상에서도 없어서는 안 될 서비스들을 담기 위해 노력했다”고 말했다. 김두용 기자 2025.07.25 06:30
금융·보험·재테크

지난 20년간 신용카드 이용액 약 650조 증가...실적 1위 신한카드

지난 20년간 국내 신용카드 이용액이 약 650조원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7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최근 20년(2004∼2023년)간 국내 신용카드 산업의 성장 현황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개인 신용카드 이용 실적은 999조3730억원으로 2004년(357조4190억원) 대비 179.6% 증가했다.지난해 말 기준 국내에 발급된 신용카드 수는 1억3000만장에 육박하며 역대 최고 수준을 경신했다. 국민 1인당 보유한 신용카드 수는 2004년 3.5장에서 지난해 4.4장으로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20년 동안 이용 실적 중 일시불 거래금액은 187조9460억원에서 779조8050억원으로 314.9% 증가했고, 할부 거래금액은 41조8680억원에서 162조690억원으로 287.1% 늘었다.국내 7개 전업카드사를 놓고 보면 이용 실적 증가세는 2004년 280조5740억원에서 지난해 900조1000억원으로 220.8% 늘며 더욱 가파르게 나타났다.전업카드사 중 2004년 이용 실적이 가장 많았던 곳은 KB국민카드(90조4250억원)였지만, 지난해에는 신한카드(182조1400억원)가 1위를 기록했다.지난 20년간 전업카드사 중 이용 실적이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현대카드(142조5780억원↑)였다. 신한카드(111조1970억원↑)와 삼성카드(121조5730억원↑)가 뒤를 이었다.지난해 말 기준 국내에 발급된 신용카드 수는 1억2980만장으로,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3899만장)보다 3배 이상 늘었다. 2004년 말(8346만장)과 비교하면 55.5% 증가했다.지난해 말 기준 전업카드사의 가입자 수 규모(개인 회원 수 기준)는 카드사별 중복 회원 등을 고려하지 않은 단순 합산 기준 총 7403만1000명으로 조사됐다. 올해 5월 말 기준으로는 7465만8000명까지 늘었다.올해 5월 기준 가장 많은 회원 수를 보유한 곳은 신한카드(1438만명)다. 이는 신한카드에 인수된 LG카드가 합병 이전부터 이미 1000만명의 회원을 보유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어 삼성카드(1292만명), 현대카드(1227만3000명), KB국민카드(1221만7000명) 순으로 나타났다.해당 기간 월별 회원 수 누적 증가 인원이 가장 많은 곳은 현대카드였다. 현대카드의 2021년 11월부터 올해 5월까지 누적 회원 증가 수는 185만5000명이다.이는 현대카드가 인공지능(AI)과 데이터사이언스 기반 상업자 전용 신용카드(PLCC)로 파트너사 간 협업 마케팅을 지원하고, 국내 카드사 최초로 통합 앱을 출시하는 등 디지털 서비스를 확대해 소비자 편익을 도모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KB국민카드(136만2000명↑)도 회원 수가 100만명 이상 늘었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4.07.07 10:01
금융·보험·재테크

케이뱅크, '코드K 정기예금' 금리 연 5.0%로 인상

케이뱅크가 28일부터 '코드K 정기예금' 상품의 금리를 최대 0.5%p 인상한다고 27일 밝혔다. 지난주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정기예금 상품인 '코드K 정기예금' 상품 금리를 기간에 따라 차등 인상해 0.1%포인트~ 0.5%포인트 인상한다. 가입기간 12개월 이상 2년 미만은 연 4.6%에서 0.4%포인트 인상해 연 5.00%로 인상된다. 가입기간 6개월 이상 12개월 미만을 연 4.2%에서 0.5%포인트 올려 연 4.7%로 인상된다. 금리인상기에 목돈을 짧게 굴리는 고객 니즈에 맞춰 6개월이상 금리는 가장 높은 폭의 0.5%포인트를 올려 4%대 후반으로 올라간다. 코드K 정기예금 상품은 최초 가입 고객, 카드이용실적 등 복잡한 조건 없이 가입만 하면 최고 금리를 받을 수 있어 인기임. 최소 가입금액은 100만원이며, 최대 가입금액에는 제한없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지난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금리 인상에 따라 케이뱅크도 정기예금의 금리 인상 결정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edaily.co.kr 2022.11.27 18:13
금융·보험·재테크

케이뱅크, '파킹통장' 금리 연 2.7%로 인상

케이뱅크가 27일부터 파킹통장인 ‘플러스박스’의 금리를 0.2%p 올려 업계 최고 수준인 연 2.7%로 인상했다. ‘플러스박스’는 케이뱅크의 파킹통장으로 돈을 보관하고 언제든지 빼서 예적금, 투자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상품이다. 하루만 맡겨도 연 2.7%의 금리 이자가 적용되고 매월 넷째주 토요일 쌓인 이자를 받을 수 있으며 최대한도는 3억원이다. 1000만원을 예치하면 한 달 이자로 1만 9000원(세후)을 받게 된다. ‘용돈 계좌’, ‘비상금 계좌’ 등 용도별로 통장을 쪼개 최대 10개까지 만들 수 있다는 점도 특징이다. 또 정기예금 상품인 ‘코드K 정기예금’ 금리도 최대 1.0%포인트 인상했다 가입기간 3개월 이상 6개월 미만은 연 2.9%에서 1.0%포인트 올려 연 3.9%로 인상된다. 가입기간 1개월 이상 3개월 미만까지는 연 2.80%에서 연 3.10%으로, 6개월 이상에서 12개월 미만은 연 4.10%에서 연 4.20%로 인상된다. 이어 ‘코드K 정기예금’은 별도 복잡한 조건 없이 최고 금리가 적용되고, 금리보장서비스 혜택도 준다. 최초 가입 고객, 카드이용실적 등 복잡한 조건 없이 가입만 하면 최고 금리를 받을 수 있어 인기다. 최소 가입금액은 100만원이며, 최대 가입금액에는 제한이 없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파킹통장 플러스박스의 금리를 지난 5일 0.2%포인트 인상한 데 이어 이달에만 두 차례 인상해 업계 최고 수준 금리를 제공한다”며 “단기 예금을 선호하는 트렌드를 반영해 가입기간 1년 미만 예금상품의 금리 혜택도 대폭 강화했다”고 말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edaily.co.kr 2022.10.27 16:43
금융·보험·재테크

천정부지 '기름값'에 대중교통 탄다…할인받는 '이 카드'

기름값이 급등하면서 자차 출퇴근을 하던 직장인들이 대중교통을 타고 있다. 경제적 부담에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이들이 늘면서 덩달아 대중교통 비용을 할인해주는 신용카드가 주목받고 있다. 27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6월 넷째 주(6월 19∼23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은 L(리터)당 2115.8원으로, 전주보다 34.8원 올랐다. 지난 5월부터 유류세 인하 폭이 기존 20%에서 30%로 확대되고 5월 첫째 주 휘발유 가격이 직전 주보다 44.2원 내렸지만, 이후로는 기름값이 7주 연속 오르고 있다. 기름값이 치솟으면서 실제로 자가용 대신 지하철·버스 등 대중교통으로 발걸음을 돌리는 시민들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후인 지난 3월 1억5734만명이었던 서울 지하철 1~8호선 수송 인원은 4월 1억7661만명으로 늘더니 지난달에는 1억9468만명을 기록했다. 하루 평균 수송 인원 역시 3월 507만명에서 5월 628만명으로 두 달 사이 24% 급증했다. 이런 최근의 상황을 겨냥하듯 이날 신한카드는 스마트한 이동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티머니와 모빌리티 특화 PLCC(상업자표시신용카드)인 '티머니 Pay & GO 신한카드'(이하 티머니 신한카드)를 출시했다. 일반적으로 지난 정부에서 출시된 '알뜰교통카드'가 대중교통비를 최대 30%까지 절감해줘 대표 대중교통 할인카드로 알려져 왔는데, 그에 필적하는 대중교통 특화카드가 나온 것이다. 티머니 신한카드는 버스와 지하철에서 30% 할인을 받을 수 있으며, 고속·시외버스, 택시(티머니onda), 전동 킥보드(씽씽), 서울시 공유 자전거(따릉이)를 이용할 때에도 20%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전월 이용실적에 따른 월간 통합 할인 한도는 30만원 이상 50만원 미만 이용 시 7000원, 50만원 이상 100만원 미만 이용 시 1만2000원, 100만원 이상 이용 시 1만8000원이 적용된다. 통상적으로 신용카드사가 제공하는 대중교통 할인율은 10%에 할인 한도는 5000원 수준이다. 삼성카드의 ‘삼성 iD MOVE 카드’는 젊은 세대 직장인들을 주 타깃으로, 교통비 10% 결제일 할인 혜택을 넣었다. 대중교통과 택시 이용 건에 대해 전월 실적에 따라 월 최대 1만2000원까지 결제일 할인이 제공된다. 또 삼성카드의 대표적인 신용카드 '탭탭 오' 상품도 대중교통 10% 할인 혜택을 주고 있다. 최근 NH농협카드가 농협금융 출범 10주년을 맞아 내놓은 '올바른지구카드'는 고객들이 탄소 중립 실천과 친환경 소비, 환경보호 활동에 동참할 수 있도록 기획돼 대중교통과 공유모빌리티, 전기차 충전 시 7% 청구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할인해주는 카드는 최근 환경보호 등 ESG 트렌드와 관련해 카드업계도 주목하고 있는 혜택 중 하나"라고 말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edaily.co.kr 2022.06.28 07:00
경제

저신용자도 신용카드 쓴다… '햇살론카드' 할인 큰 곳 삼성카드

7개 전업 카드사에서 27일 저신용자도 발급 가능한 '햇살론카드'가 출시된다. 이 가운데 연회비가 가장 낮은 곳은 롯데카드고, 할인이 가장 큰 곳은 삼성카드다. 26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카드는 27일 정책서민금융상품인 햇살론카드를 출시한다. 하나카드의 햇살론카드는 다음 달 중순 나온다. 대부분의 카드가 생활편의업종에서 할인 혜택을 강조하고 나선 가운데, 가장 높은 할인율을 내세운 곳은 삼성카드다. 삼성카드는 이날 햇살론카드를 통해 쇼핑(온라인쇼핑몰·올리브영 등), 생활 편의 영역(커피전문점·편의점·배달앱 등), 의료에서 각각 최대 15%, 월 최대 7000원의 결제일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전월 실적에 따라 30만원 이상 시 7%, 60만원 이상 시 15% 할인을 제공한다. 삼성카드 관계자는 "신용카드 발급이 어려운 고객의 금융상품 선택권 확대라는 정부 취지에 동참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신한카드가 동네 슈퍼, 잡화점 등 생필품 구매가 가능한 중소형 생활유통점에서 이용금액의 7%를 할인해준다. 커피, 제과점 업종에서는 10%를 할인받을 수 있으며, 주말에는 복합쇼핑몰 및 3대 마트(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에서도 10%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월 할인 한도는 전월 이용실적에 따라 차등 적용되며, 전월 30만원 이상 이용 시 1만2000원, 전월 60만원 이상 이용 시 2만원이 적용된다. KB국민카드와 우리카드는 적립 혜택에 중점을 둔 햇살론카드를 내세웠다. KB국민카드는 전 가맹점 0.5% 적립에 전월 실적 30만원 이상 시 슈퍼·마트·편의점에서 0.5% 추가 적립 혜택을 제공한다. 월 적립 한도는 기본·추가적립 합쳐 2만점이다. 우리카드는 이동통신·대중교통·커피·영화 3% 적립, 백화점·할인점·온라인쇼핑·주유 1% 적립, 그 외 가맹점 0.8% 적립 혜택을 준다. 전월 실적 30만·60만·120만원에 따라 각각 1만·2만·5만점을 제공한다. 이밖에 롯데카드는 온라인 업종에서 1% 할인, 기타 업종에서 0.5% 할인을 제공하며, 하나카드는 모든 가맹점 0.7%을, 디지털 페이 결제 1.0% 적립을 해준다. 연회비에서는 7개 카드사 가운데 롯데카드가 2000원으로 가장 낮다. 이어 신한·삼성카드가 5000원이고 나머지 카드사는 1만원의 연회비를 받는다. 정부가 최저신용자의 금융 활동 지원을 위해 추진한 햇살론카드는 소득 증빙(가처분소득 연 600만원 이상)이 가능하다는 전제하에 신용평점 하위 10% 이하 사람이 신용관리교육을 3시간 이상 들으면 신청할 수 있다. 서민금융진흥원 앱을 통해 보증신청·심사를 거쳐 보증 승인되면 햇살론카드 필수교육을 이수한 뒤 보증약정 체결 후 7개 카드사에 카드 신청·발급이 가능하다. 이용 한도는 최대 월 200만원이다. 단, 1인당 1개 카드만 허용되며 현금서비스나 카드론 등 카드 대출과 단란주점, 카지노 등 유흥·사행업종 등에선 이용이 제한된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oongang.co.kr 2021.10.27 07:00
경제

토스·카카오페이 편하긴 한데…간편송금 착오송금 5년새 130억원

지난 5년간 간편송금으로 발생한 착오송금이 약 130억원(5만6000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윤관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토스·카카오페이·네이버페이 등 간편송금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 발생한 착오송금이 2017년 2억6379만원(2197건)에서 지난해 53억2334만원(2만1595건)으로 금액 기준 19.2배, 건수 기준 8.8배로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간편송금이란 모바일을 통해 보안카드나 OTP 없이 비밀번호 등 간편 인증수단을 이용해 송금하는 서비스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간편송금 하루 평균 이용실적은 4819억원(407만건)으로 2017년 상반기 대비 21배(건수 대비 7배) 증가했다. 간편송금이 늘어남에 따라 착오송금 발생률도 늘었다. 5년간 발생한 착오송금 129억4174만원, 5만5506건 중 95억3319만원(74%), 4만2316건(76%)이 주인에게 돌아가지 못했다. 착오송금이란 개인이 실수로 수취금융회사, 수취인 계좌번호 등을 잘못 입력해 이체된 거래다. 업체별로는 2015년 간편송금 시장에 처음 들어온 토스(비바리퍼블리카)의 경우, 5년간 85억3786만원, 3만6450건의 착오송금이 발생했다. 이 중 63억7422만원(75%), 2만9368건(81%)은 미반환됐다. 2017년 2억6379만원, 2197건이던 착오송금은 지난해 34억7911만원, 1만3670건으로 각각 12.2배, 5.2배 증가했다. 카카오페이의 경우에는 4년간 43억701만원, 1만8799건의 착오송금이 발생했고 31억1382만원(72%), 1만2811건(68%)은 미반환됐다. 2018년 3억6504만원, 1980건이던 착오송금은 지난해 11억5541만원, 4375건으로 각각 3.9배, 2.9배 늘었다. 네이버페이(네이버파이낸셜)은 2년간 9686만원, 257건의 착오송금이 발생했고, 이 중 4514만원(47%), 136건(53%)이 미반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oongang.co.kr 2021.10.04 15:38
경제

'차+신용카드' 줄줄이 등장

다양한 방식으로 자동차를 이용하고 있는 소비자를 위한 '차 특화' 카드들이 줄줄이 등장하고 있다. 7일 현대카드는 럭셔리 자동차 브랜드인 제네시스와 손잡고 제네시스 오너에 최적화한 프리미엄 혜택을 담은 ‘GENESIS CARD(이하 제네시스 카드)’를 선보였다. ‘제네시스 카드’는 제네시스 오너가 보유한 차량에 따라 모빌리티 서비스와 EV 서비스 중 하나를 선택해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먼저 모빌리티 서비스를 선택하면 월 사용금액에 따라 전 가맹점에서 사용한 금액의 1.5%를 블루멤버스 포인트로 적립해 준다. 또 차량 정비와 주유 등 차량 유지관리 업종을 이용하면 최대 4.5%, 모빌리티 업종을 이용하면 최대 3%를 적립 받을 수 있다. EV 서비스를 선택하면 월 사용금액에 따라 전기차 충전 금액의 100%까지 블루멤버스 포인트로 적립 받을 수 있다. 전 가맹점에서 사용한 금액의 0.75%를 블루멤버스 포인트로 적립 받을 수도 있으며 주차, 세차 등 차량 유지관리 업종은 최대 4.5%, 모빌리티 업종은 최대 3% 적립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여행·항공·호텔·백화점·골프 등 업종 이용 시에는 5%를 블루멤버스 포인트로 적립해 주는 등 특별 적립 혜택도 강화했다. 공항 라운지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고 커피전문점 할인, 주말 무료 주차 등 현대카드 플래티넘 서비스가 더해졌다. 현대카드 관계자는 "신차 구매 시에는 1.5% 특별 적립 혜택까지 있다"고 말했다. 특정 자동차 브랜드와의 협업뿐만 아니라, 현대카드는 공유 차량을 이용할 수 있는 브랜드 '쏘카'와 신용카드를 만들기도 했다. 쏘카 카드로 쏘카를 이용하면 월 쏘카 결제금액 30만원까지 결제금액의 3%를 쏘카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쏘카 크레딧'으로 적립해준다. 특히 여행할 때 주로 쏘카를 이용하는 소비자를 위해서는 외식이나 커피, 호텔, 영화, 택시, 아웃렛 등에서 결제해도 이용금액의 30만원까지 5% 적립해준다. 그 외 일반 가맹점에서는 결제금액의 1%가 쏘카 크레딧으로 쌓인다. 게다가 올해까지는 2% 추가 적립 혜택도 주어져 최대 5%의 쏘카 크레딧이 적립된다. 자동차 장기 렌트를 이용하는 소비자를 위해서는 신한카드가 SK렌터카와 함께 'SK렌터카 신한카드 마이카'를 내놨다. SK렌터카 신한카드는 장기 렌트 계약 시 현금으로 납부하는 보증금을 카드로 결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카드로 SK렌터카 온라인 다이렉트 계약 고객은 연 4.9%로 24개월 또는 36개월 장기할부를 이용할 수 있다. 렌털료를 매달 결제하는 고객에게는 렌털료 할인 혜택도 제공한다. 또 보증금 할부를 이용하는 고객은 전월 이용실적이 120만원 미만일 경우 1만5000원을 할인받을 수 있으며, 120만원 이상 이용할 경우에는 3만원을 할인해준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oongang.co.kr 2021.07.08 07:01
경제

'배달앱 카드' 다음은 '골프 카드'다

최근 골프에 특화된 신용카드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골프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MZ세대도 운동으로 골프를 즐기는 트렌드가 퍼져서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우리카드는 전날 골프 특화 혜택을 담은 ‘홀인원 카드'를 출시했다. 이 카드는 골프 경기장·스크린골프·골프연습장·골프용품 등 골프 업종에서 이용금액의 5%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고, 국내 지정 골프장 무료 커피 및 골프연습장 무료 타석권(월 1회, 연 4회)을 이용할 수 있다. 우리카드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증가하는 전 연령층 골퍼들을 겨냥해 골프 시장 트렌드를 반영한 골프 관련 서비스를 집중적으로 탑재했다"고 설명했다. 대형 카드사들의 골프 특화 카드는 최근 출시가 잇따르고 있다. KB국민카드는 골프 관련 가맹점 이용 시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KB국민 그린재킷 체크카드'를 내놨다. 전월 이용실적이 30만원 이상이면 골프연습장과 스크린골프는 물론 골프의류나 용품, 골프관광(그린재킷투어) 등에서 월 최대 10만원까지 5%가 할인된다. 비슷하게 신한카드도 지난 4월부터 골프 특화 카드인 '라베(LABE)'를 판매 중이다. 카드 이용고객은 국내 골프장 및 골프연습장 10만원 이상 결제할 경우 5만원 할인(연 3회)이나 골프존 모바일 골프문화상품권(17만원, 연 1회), 부쉬넬 골프 거리측정기 바우처(20만원, 연 1회) 등 매년 3가지 기프트 옵션 가운데 한 가지를 선택해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또 골프용품을 사거나 골프 레슨을 받을 경우 10% 할인서비스도 제공한다. 현대카드는 이르면 이달 중 서울 강남구 신사동에 '골프 스페이스'를 연다. 이곳은 프리미엄 카드 고객을 대상으로 골프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곳이다. 레슨비를 내면 프로 골프 선수로부터 골프 레슨과 피팅 관련 컨설팅 등을 받을 수 있다. 카드사가 골프에 초점을 맞춰 상품을 내놓는 움직임은 코로나19로 MZ세대의 비대면 소비가 더욱 활발해지면서 올해 초 카드사가 '배달앱' 특화 카드에 공을 들인 것과 궤를 같이한다. 현대카드는 '배달의민족'과 손잡고 PLCC 카드를, 신한카드와 삼성카드는 '요기요'와 제휴카드를 선보인 바 있다. 골프 역시 MZ세대를 중심으로 관심이 커지고 신규 입문자가 증가하면서 관련 특화 카드가 나오고 있다는 얘기다. 이달 초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가 발표한 'KB 자영업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골프장 이용객 수는 최근 5년간 연평균 약 5.4%씩 증가했다. 특히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으로 퇴근 후 여가가 확보되면서 20·30세대가 골프에 새롭게 투자하기 시작했다고 분석했다. 오상엽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연구원은 “MZ 세대 중심으로 신규 골프 입문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골프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아져 골프연습장과 스크린골프장 산업은 지속해서 성장할 전망이다”고 말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최근 골프장 예약이 어려울 정도로 골프가 대중적으로 인기"라며 "입문자들이 골프장 예약이나 골프용품을 구매할 때 카드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상품을 내놓으며 신규 고객을 확보하고 있다"고 말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oongang.co.kr 2021.06.23 07:00
경제

삼성카드, 창립 33주년 기념 '삼삼 페스티벌' 진행

삼성카드가 창립 33주년을 기념하여 고객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담아 '삼삼 페스티벌'을 통해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한다. 먼저 오는 31일까지 삼성카드 앱에서 룰렛 이벤트를 진행한다. 추첨을 통해 총 33만명에게 사은품과 포인트를 제공하는 룰렛 이벤트는 하루에 한 번 참여할 수 있으며, 숫자 '3'이 들어가는 날짜에는 세 번까지 참여할 수 있다. 또 오는 31일까지 카드 이용실적에 따라 선물을 제공하는 빙고 이벤트도 진행된다. 빙고 1줄 완성 시 카카오 이모티콘을 제공하고 2줄 이상 완성 시 추첨을 통해 스타벅스커피 모바일 쿠폰, 100만원 캐시백 등을 제공한다. 창립 33주년을 기념해 88년생 또는 생년월일에 '3'이 포함된 회원이 빙고 이벤트 응모시 추첨을 통해 총 2만 4천명에게 스타벅스커피 모바일 쿠폰을 추가로 증정한다. 이외에도 오는 9일까지 33주년 에피소드 이벤트에 참여한 고객 중 추첨을 통해 '위너스 기프트카드', '신세계 이마트 쿠폰' 등을 제공한다. 공차, 편의점, SSG닷컴 등에서도 삼성카드 창립 33주년을 기념한 이벤트를 진행한다. 공차에서는 오는 9일까지 베스트 메뉴 2종을 삼성카드로 결제하면 3300원의 행사가로 구입할 수 있다. 이마트24에서는 오는 14일까지 진로두꺼비 콜라보 제품을 포함한 화이트데이 행사 상품을 삼성카드로 1만원 이상 구매하면 33% 할인을 받을 수 있다. 또 오는 31일까지 모닝세트 행사상품을 삼성카드로 결제하면 커피 증정 및 추가 500원 할인을 제공한다. 모닝세트 행사는 행사 기간 중 매일 오전 7시부터 10시까지 3시간 동안 진행된다. 미니스톱에서는 오는 14일까지 페레로로쉐 행사 상품을 3300원의 행사가로 구입할 수 있다. GS25에서는 오는 31일까지 삼성카드로 카카오톡 주문하기 1만원 이상 결제 시 5천원 할인을 제공하고, 매주 금요일과 토요일에 안주 행사상품을 삼성카드로 결제하면 1+1 혜택을 제공한다. SSG닷컴에서는 오는 31일까지 숫자 '3'이 들어가는 날짜(3, 13, 23, 30, 31일)에 삼성카드로 7만원 이상 결제하면 5% 결제일 할인을 최대 5만원까지 제공한다. 삼성카드는 오는 15일에 창립 33주년 이벤트 시즌2를 추가로 공개할예정이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oongang.co.kr 2021.03.03 09:24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