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드라마

[정덕현 요즘 뭐 봐?] ‘조명가게’, 강풀이 한국형 공포물로 그려낸 휴먼드라마

삶과 죽음의 경계까지 갔다가 살아 돌아온 사람들에게는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 디즈니플러스 시리즈 ‘조명가게’의 상상력은 거기서부터 시작했을 게다. 사고로 의식을 잃었지만 중환자실에서 산소호흡기에 의지한 채 버텨내는 환자들. 그들은 무의식 속에서 불빛 하나 없는 어두운 동네를 배회한다. 그곳에는 유일하게 밤새도록 환하게 빛을 내는 조명가게가 있다. 낯선 동네를 배회하는 낯선 사람들의 발길은 저마다의 이유로 그 조명가게를 향한다.어두운 동네를 배회하는 낯선 이들의 모습은 오싹한 공포를 불러일으킨다. 누군가는 손톱이 손가락 안쪽에 붙어 있고, 누군가는 어두운 골목길에 갇혀 있으며, 누군가는 집에 갇혀 밖으로 나오지 못한다. 누군가는 밤새도록 짖어대는 개를 찾아 죽이겠다며 쫓아다니고 누군가는 하염 없이 쏟아지는 눈물에 온몸이 젖은 채 배회하는 이들을 찾아다닌다. 도대체 이들은 누구이고 이곳은 어디인가. 8부작 ‘조명가게’는 4부까지 낯선 동네와 낯선 이들의 수상한 행동들이 만들어내는 전형적인 공포물의 형태를 보여준다.하지만 4부 말미에 이르러 이들이 중환자들이었고, 이 낯선 동네가 이들이 무의식 속에서 가게 된 사후세계라는 게 밝혀지면서 이 공포의 존재들은 저마다 아픈 사연을 가진 사람들로 변모한다. 공포물은 휴먼드라마로 바뀐다. 죽은 자들과 살아남은 자들 사이의 사연이 펼쳐지고, 죽은 자들이 어떻게든 살아남은 자들을 삶으로 되돌려 보내기 위한 눈물겨운 안간힘이 그려진다. 그 어두운 동네를 지키는 조명가게에서 꺼질 듯 꺼지지 않고 가녀린 빛을 내는 전구들은 알고 보니 사후세계에 들어왔지만 여전히 죽지 않은 이들의 꺼지지 않는 삶의 빛이었다. 스스로의 의지로 혹은 누군가의 도움으로 그 삶의 빛을 찾아내는 것. 그것이 이들이 사후세계에서 돌아올 수 있는 유일한 길이었다. ‘조명가게’는 바로 사후세계를 경험한 이들의 이른바 ‘임사체험’을 소재로 가져온 작품이다. 무수한 임사체험의 이야기들이 공통적으로 담고 있는 것들, 이를테면 누군가 나타나 돌아가라고 했다거나 혹은 밝은 빛을 봤다는 식의 신비로운 경험들을 강풀은 조명가게가 있는 낯선 동네라는 세계관으로 그려낸다. 공포물로 시작하던 작품이 휴먼드라마로 바뀌는 건 그래서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다. 삶과 죽음을 넘나드는 이야기가 아닌가. 삶과 죽음 사이의 경계에 서 있는 상황이 공포물의 전형을 그려낸다면, 그들이 죽음을 깨치고 나와 삶의 빛에 도달하는 과정은 눈물겨운 휴먼드라마가 될 수밖에 없다. 강풀이 임사체험이라는 신비한 이야기 속에 화두처럼 던진 질문은 어떻게 의식도 없는 환자가 어떤 의지로 살아 돌아올 수 있었을까 하는 것이다. 혹자는 스스로 살고자 하는 의지 때문에 돌아오기도 하지만, 강풀은 거기에 환자만의 의지가 아닌 또 다른 누군가의 의지가 있었다고 상상한다. 어떻게든 딸을 되살리려는 엄마의 안간힘이 있었고, 사랑하는 사람을 삶으로 돌아가게 하기 위해 눈물겨운 이별을 감수하는 이가 있었으며, 죽을 때까지 주인을 살리려 자신의 체온을 나눠준 반려견이 있었다. 그들은 모두 죽은 자들이었지만 그 낯선 사후세계의 어둠 속에서 배회하던 환자들을 조명가게의 빛으로 인도해준 존재들이었다. 하지만 사후세계를 배회하던 환자들이 다시 삶으로 돌아오게 된 데는 영지(박보영) 같은 간호사의 의지도 한 몫을 차지했다. 자신 역시 사고로 사후세계를 경험했던 영지는 중환자실의 환자들이 빛을 향해 나아갈 수 있게 용기를 불어넣어 준다. 어두운 곳에서 길을 잃지 않게 하려고 음악을 들려주고 평소 좋아했던 농구공을 환자 옆에 놔준다. ‘조명가게’는 삶과 죽음의 경계를 배회하는 존재를 다룬다는 점에서 귀신이 등장하는 공포물의 양상을 담지만, 그들을 이해하게 되자 그 공포는 절절한 감동과 공감을 담은 휴먼드라마가 된다. 삶과 죽음을 별개로 보지 않고 연결돼 있는 것으로 보며, 죽은 자들의 사연을 들으려는 태도는 한국형 공포물들이 자주 보이던 특징 중 하나다. 경남 밀양을 배경으로 구전돼 내려오는 ‘아랑전설’이 그러하듯이 한국의 귀신들은 저마다 아픈 사연들이 있어 원귀로 나타나지만 그 이야기를 들어줌으로써 비로소 편안히 떠나지 않던가. ‘무빙’으로 한국형 슈퍼히어로물의 전형을 그려냈던 강풀은 ‘조명가게’로 휴먼드라마의 성격을 갖는 한국형 공포물의 전형을 그려냈다. 정덕현 대중문화 평론가 2024.12.23 05:34
무비위크

김강우 "무서워서 화장실도 못 가"…'귀문'의 체험 공포[종합]

영화 '귀문'이 색다른 체험 공포를 선사한다. 19일 오전 '귀문' 온라인 제작보고회가 진행됐다. '귀문'은 1990년 집단 살인 사건이 발생한 이후 폐쇄된 귀사리 수련원에 무당의 피가 흐르는 심령연구소 소장과 호기심 많은 대학생들이 발을 들이며 벌어지는 극강의 공포를 그린 영화. 프로덕션 단계부터 2D와 ScreenX, 4DX 버전을 동시 제작한 최초의 한국 영화이자 국내뿐 아니라 미국, 캐나다, 유럽, 동남아 등 전 세계 약 2000여 개 관에서 동시 개봉 예정인 글로벌 프로젝트다. 김강우, 김소혜, 이정형, 홍진기가 출연하고, 신예 심덕근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김강우는 '귀문'으로 최초 공포 연기에 도전한다. 무당인 어머니의 피를 물려받아 영적 능력을 지닌 심령연구소 소장으로, 괴담이 끊이지 않는 폐쇄된 귀사리 수련원에 들어가 실체를 파헤치는 인물 도전을 연기한다. "공포물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잘 보지 못한다. 긴장감을 이겨내지 못한다. 귀신을 정말 무서워한다"는 김강우는 "체험 공포물들이 근래에 많이 나왔는데, 이 영화의 시나리오는 거기에 클래식한 공포물이 더해진 느낌을 받았다. 무섭지만 해볼 만하다고 생각했다"며 출연 이유를 설명했다. 이어 "세트가 아닌 실제 폐건물에서 찍어서 정말 무섭고 추웠다"면서 "진짜 무서웠다. 화장실 가기가 너무 무섭더라. 3층이나 4층에서 찍으면 2층에서 몰래 볼일을 해결하기도 했다. 그 정도로 촬영 현장이 무서웠다. 건물 안이 밖보다 따뜻해야 하는데, 거기는 건물 안이 밖보다 추웠다"며 촬영 비하인드를 전했다. 김강우와 호흡을 맞추는 배우는 아이오아이 출신에서 배우로 자리잡은 김소혜다. 김소혜는 호러 영상 공모전의 상금을 타기 위해 섬뜩한 괴담이 끊이지 않는 귀사리 폐수련원을 찾은 대학생들의 리더 혜영 역을 맡았다. 김소혜는 "감독님이 좋은 기회를 주셔서 참여할 수 있었다. 대본을 봤을 때 귀문에 들어가기 전과 후 캐릭터들의 심리가 굉장히 다르더라. 극한의 상황에 몰리면서 그려지는 그 변화가 매력적이었다"면서 "귀신을 무서워하고 밤에 혼자 자는 것도 무섭다. 영화 속 인물은 실제 나와 상반된 성격의 캐릭터라서, 어떻게 보여줘야할지 고민이었다"고 털어놓았다. 생애 처음으로 공포 장르 연기에 도전한 김강우와 신예 김소혜의 호흡은 어땠을까. 김강우는 김소혜의 연기를 "신인답지 않다"고 극찬했고, 김소혜는 김강우를 향한 존경심을 표했다. 김강우는 "처음 호흡을 맞췄는데, 김소혜의 전작을 봤다. 마스크가 신선하고 신인 같지 않은 당당하고 노련한 연기를 하더라. 공포영화가 쉽지 않다. 리액션을 어마하게 해야 하고 호흡이 살아있어야 한다. 현장에서 완벽하게 소화하더라. 처음엔 걱정도 많이 했는데, 기우였다. 완벽하게 소화해서 멋있었다"고, 김소혜는 "첫 촬영이 아직 기억에 많이 남는다. (김강우가) 카메라 구도에 맞춰 연기를 다르게 하더라. 저는 아직 부족해서 '여기 카메라가 있구나' 정도를 알고 연기한다면, (김강우는) 다 계산해서 연기하는 모습이 신기했다. 배워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했다. 두 배우의 활약과 함께 특별한 체험 공포가 '귀문'의 장점으로 꼽힌다. 2D는 물론 스크린X와 4DX 등 다양한 포맷으로 관객의 오감을 자극할 예정. 정면을 넘어 좌우 측면까지 스크린을 확장한 특별관 ScreenX를 위해 세계 최초로 전 구간 8K Full 촬영을 진행했다. 기획 및 편집 단계에서부터 시나리오에 맞춰 계획하에 제작된 4DX는 20여가지의 다양한 효과와 함께 공포의 분위기를 고조시킨다. 특별관(ScreenX, 4DX, 4DX Screen) 버전과 2D 버전의 편집을 다르게 해 영화의 결말마저도 바꾸는 파격적인 시도를 했다 이에 대해 심덕근 감독은 "처음 제안을 받았을 때는 부담이 심했다. 모니터 하나 보기만 해도 벅찬데, 스크린X를 위해 양옆 모니터도 봐야 했다"며 "다행히 촬영 감독님의 도움을 받았고, 기술적인 서포트를 잘 받았다. 연출적으로 조금 다른 방향성을 잡았다. 전통적인 상영 방식인 2D로는 공포와 인물의 심리에 집중했고, 스크린X와 4DX는 귀신의 집에 놀러온 것과 같은 체험에 집중했다. 실제 수련원에서 뛰어놀듯 연출했다"고 설명했다. 김강우는 "굉장히 힘든 해다. 우리 영화가 청량제가 됐으면 한다. 시원함을 선사했으면 한다"고 밝혔다. 이러한 김강우의 바람이 현실이 될지 관심이 쏠린다. '귀문'은 8월 개봉 예정이다. 박정선 기자 park.jungsun@joongang.co.kr 사진=CJ CGV 2021.07.19 12:13
무비위크

'귀문' 김강우 "귀신 무서워 해..공포영화 못 본다"

영화 '귀문'의 배우 김강우가 공포물을 잘 보지 못하면서도 공포 영화에 출연한 이유를 전했다. 김강우는 19일 오전 진행된 '귀문' 온라인 제작보고회에서 "공포물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잘 보지 못한다. 긴장감을 이겨내지 못한다. 귀신을 정말 무서워한다"고 말했다. 이어 "체험 공포물들이 근래에 많이 나왔는데, 이 영화의 시나리오는 거기에 클래식한 공포물이 더해진 느낌을 받았다. 무섭지만 해볼 만하다고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김강우와 호흡을 맞춘 김소혜는 영화 출연 이유에 대해 "감독님이 좋은 기회를 주셔서 참여할 수 있었다. 대본을 봤을 때 귀문에 들어가기 전과 후 캐릭터들의 심리가 굉장히 다르더라. 극한의 상황에 몰리면서 그려지는 그 변화가 매력적이었다"고 답했다. '귀문'은 1990년 집단 살인 사건이 발생한 이후 폐쇄된 귀사리 수련원에 무당의 피가 흐르는 심령연구소 소장과 호기심 많은 대학생들이 발을 들이며 벌어지는 극강의 공포를 그린 영화. 프로덕션 단계부터 2D와 ScreenX, 4DX 버전을 동시 제작한 최초의 한국 영화이자 국내뿐 아니라 미국, 캐나다, 유럽, 동남아 등 전 세계 약 2000여 개 관에서 동시 개봉 예정인 글로벌 프로젝트다. 김강우, 김소혜, 이정형, 홍진기가 출연하고, 신예 심덕근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8월 개봉. 박정선 기자 park.jungsun@joongang.co.kr 사진=CJ CGV 2021.07.19 11:15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