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산업

임원당 직원 수 최대 증가 1위 신세계...KT·카카오 되레 감소

지난해 국내 30대 그룹에서 실무 중심 인력 재편이 두드러진 가운데 임원당 직원 수가 가장 많이 늘어난 그룹은 신세계인 것으로 조사됐다. 1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30대 그룹 중 사업보고서를 제출한 235개 계열사의 고용 변화 현황을 분석한 결과, 작년 기준 임원 1인당 직원 수는 전년보다 평균 2.4명 증가했다. 전체 직원 수는 98만3517명으로 1.7%(1만6361명) 증가했지만, 임원 수는 9746명으로 0.7%(71명) 감소했다.신세계는 지난해 직원 수가 4.2%(1379명) 늘고 임원 수는 10.2%(17명) 줄면서 임원 1인당 직원 수는 197명에서 228.5명으로 평균 31.5명 많아졌다.현대자동차그룹은 임원 1인당 직원 수가 10.3명 늘었다. 직원이 16만2100명으로 1.7%(2743명) 증가하고, 임원은 1087명으로 5.3%(61명) 줄었다.유통과 건설 업종을 중심으로 일부 기업은 직원과 임원 수가 모두 줄었으나 임원 감소 폭이 더 커 임원 1인당 직원 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DL이앤씨를 보유한 DL그룹이 대표적이다. DL그룹은 전체 직원 수가 3.9%(323명) 감소하고 임원 수는 21.2%(25명) 줄면서 임원 1인당 직원 수가 15.5명 증가했다.롯데그룹은 직원 수(-0.1%)와 임원 수(-9.6%) 모두 감소했으나 임원 감소 폭이 커서 임원 1인당 직원 수가 102.5명에서 113.2명으로 평균 10.7명 늘었다. 반면 임원 1인당 직원 수가 감소한 그룹도 일부 있다. HDC그룹은 직원 수가 3.2%(246명) 늘었는데 임원 수는 51.2%(21명) 증가했다. 이에 따라 임원 1인당 직원 수가 평균 59.7명 감소했다.KT는 지난해 대규모 인원 감축을 단행해 직원 수가 6.7%(2581명) 줄었으나 임원 수는 8.9%(18명) 늘었다. 이에 따라 임원 1인당 직원 수는 190.6명에서 163.2명으로 평균 27.3명 줄었다.카카오는 직원 수가 2.9%(246명) 늘고 임원 수는 35.9%(51명) 증가해 임원 1인당 직원 수가 14.5명 감소했다.리더스인덱스는 "경기 침체와 구조조정 흐름 속에서 대기업들이 실무 중심 인력을 확대하고 상대적으로 비용 부담이 큰 임원 자리는 축소했다"고 분석했다.김두용 기자 2025.04.01 09:12
산업

현대차 1년 새 직원 가장 많이 증가...쿠팡·LG·GS는 감소

대기업집단 중 현대차그룹의 직원 수가 최근 1년 새 1만4000명으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 반면 쿠팡은 직원 수가 가장 많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8일 공정거래위원회가 올해 지정한 82개 대기업 집단의 공시를 토대로 한 고용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82개 대기업 집단 내 국내 계열사 3076곳의 직원 수는 2021년 말 171만9410명에서 2022년 말 176만2391명으로 4만2981명(2.5%) 늘었다.조사 대상 중 대기업 집단에 새롭게 편입된 그룹을 제외하면 1년 새 직원 수가 늘어난 그룹은 52곳이고, 줄어든 그룹은 22곳이었다.고용 인원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현대차그룹이었다. 직원 수는 2021년 말 17만4952명에서 지난해 말 18만8891명으로 1만3939명이나 증가했다. 1만명 이상 직원이 증가한 건 현대차가 유일했다. 5000명 이상 증가한 기업은 삼성과 SK, CJ 3곳이었다. 삼성은 직원 수가 26만6854명에서 27만4002명으로 7148명 늘었다. SK는 11만7438명에서 12만4499명으로 7061명이 증가했다. CJ는 5만2931명에서 5만8347명으로 5416명이 늘어났다. 2021년 대비 2022년 고용 증가율로 보면 KG모빌리티(옛 쌍용자동차)를 품은 KG그룹이 1위를 차지했다. KG그룹의 직원 수는 6706명에서 1만1056명으로 66.4%나 증가했다.같은 기간 쿠팡은 직원이 7만2763명에서 5만2551명으로 2만212명 줄었다. 대기업 중에는 LG와 효성, GS의 직원 수도 감소했다. LG는 2016명, 효성은 1959명, GS는 1345명이나 감소세를 보였다. 세아(1268명↓)그룹도 2021년 대비 2022년에 1000명 넘게 고용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단일 계열사별로 작년 말 기준 직원 수가 1만명을 넘는 회사는 삼성전자(11만5832명), 현대차(7만2654명), LG전자(3만6093명), 기아(3만5684명), SK하이닉스(3만1374명) 등 27곳이었다.오일선 한국CXO연구소장은 “대기업 등에 각종 혜택을 주면 고용 창출 등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기대하지만 실질적인 효과는 크지 않다”며 “장기적으로 국내 고용을 크게 늘리려면 30명~100명 사이 직원 수를 둔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정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3.06.08 14:21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