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14건
LPGA

'첫 우승' 이소미·'메이저 강자' 최혜진, 에비앙 챔피언십 1R 7위 선전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에서 활약 중인 이소미와 최혜진이 메이저 대회 우승에 도전한다. 이소미와 최혜진은 11일(한국시간) 프랑스 에비앙레뱅의 에비앙 리조트 골프클럽(파71)에서 열린 시즌 네 번째 메이저대회 아문디 에비앙 챔피언십(총상금 800만 달러) 1라운드에서 4언더파 67타를 쳤다. 두 선수는 6언더파 65타를 친 공동 선두 5명에 2타 뒤진 공동 7위 그룹에 이름을 올렸다. 이날 이소미는 정교한 샷을 앞세워 이글 1개와 버디 4개를 뽑아내고 보기 2개를 기록했다. 최혜진은 버디 6개와 보기 2개를 기록했다. 이소미는 지난달 LPGA 투어 '2인1조 대회'인 다우 챔피언십에서 임진희와 짝을 이뤄 생애 첫 LPGA 투어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최근 치른 5개 대회에서 상위 10위에 네 차례 들었고, 최근 3경기에서는 우승을 포함해 연속 톱10에 진입하며 상승세에 있다. 최혜진은 올해 메이저 대회에서 강세를 보인 바 있다. 올해 들어 치러진 세 차례 LPGA투어 메이저대회에서 모두 톱10에 진입했다. 1라운드 상승세를 몰아 우승에 도전한다. 지난해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 3관왕(대상·상금·최저타수)이자, 올해 LPGA 투어 신인인 윤이나는 이날 버디 5개를 잡아내며 3언더파 68타를 기록, 공동 16위에 올랐다. 윤이나는 올 시즌 14개 대회에서 한 번도 10위 이내에 오른 적이 없다. 메이저 대회인 이번 대회에서 첫 톱10을 노린다. 신지은이 2언더파 69타로 쳐 공동 23위에 올랐고 다우 챔피언십에서 이소미와 우승을 합작한 임진희는 1언더파 70타를 적어내 공동 33위에 머물렀다. 2016년 에비앙 챔피언십 우승자 전인지와 2019년 챔피언 고진영은 1언더파 70타를 쳤다. 2014년 우승자 김효주와 김아림은 이븐파 71타로 공동 43위에 그쳤다. KLPGA 선수 가운데 혼자 이 대회에 출전한 황유민은 4오버파 75타를 기록하며 공동 105위에 이름을 올렸다. 한편, 공동 선두에는 제니퍼 컵초, 앤드리아 리(이상 미국), 리오나 머과이어(아일랜드), 그리고 그레이스 김과 가브리엘라 러플스(이상 호주)가 올랐다. 세 번째 메이저대회 KPMG 여자 PGA 챔피언십에서 우승한 이민지(호주)는 이날 5언더파 66타를 기록, 1타차 단독 6위로 메이저 2연승을 정조준했다. 윤승재 기자 2025.07.11 07:37
LPGA

한조 이룬 박성현 윤이나, 다우 챔피언십 둘째날 공동 9위까지 점프

최근 부진으로 반등이 절실한 스타 박성현과 윤이나가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2인 1조 팀 대회인 다우 챔피언십 둘째 날 상위권으로 점프했다. 한조를 이룬 박성현과 윤이나는 28일(한국시간) 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의 미들랜드 컨트리클럽(파70·6287야드)에서 열린 대회 2라운드에서 10언더파 60타를 기록했다. 1라운드 2오버파 공동 38위였던 박성현-윤이나는 중간 합계 8언더파 132타가 되며 공동 9위로 올라섰다. 이 대회는 LPGA 투어에서 유일한 2인 1조 경기 방식 대회로, 1라운드와 3라운드는 공 하나로 같은 팀 선수 2명이 번갈아 샷을 하고, 2라운드와 4라운드는 2명이 각자 공으로 경기해 매 홀 더 좋은 점수를 그 팀의 성적으로 삼는다.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에서 뛰던 시절부터 장타를 앞세워 공격력을 뽐내며 팬들의 사랑을 받았던 박성현과 윤이나는 최근 LPGA 투어에선 이렇다 할 모습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LPGA 투어에서 7승을 올리고 세계랭킹 1위에도 올랐던 박성현은 최근 몇 년간 부상 여파로 슬럼프를 겪는 가운데 이번 시즌엔 10개 대회 중 3주 전 숍라이트 클래식에서만 컷을 통과해 공동 29위에 올랐다.지난해 KLPGA 투어 대상, 상금왕, 최저타수상을 휩쓸고 큰 관심 속에 미국 무대에 진출한 윤이나는 13개 대회 중 7차례 컷을 통과, 이달 초 US여자오픈 공동 14위가 최고 성적이다.좋지 않은 흐름 속에 팀으로 뭉친 이들은 2라운드 단독 선두(13언더파 127타)로 올라선 제니퍼 컵초(미국)-리오나 머과이어(아일랜드)와 더불어 데일리 베스트 스코어를 적어내며 반등의 계기를 마련했다.현재 선두에 5타 차로 밀리고 있지만, 남은 이틀 동안 몰아치기가 나온다면 역전 우승까지도 바라볼 만한 위치다.전날 공동 2위였던 이소미와 임진희는 7타를 줄이며 6위(10언더파 130타)가 됐고, 안나린은 일본의 후루에 아야카와 한 조를 이뤄 공동 9위에 이름을 올렸다.디펜딩 챔피언인 지노 티띠꾼(태국)과 인뤄닝(중국)은 이날 4타를 줄이는 데 그쳐 공동 17위(6언더파 134타)로 9계단 하락했다.전지원-이미향, 김세영-오스턴 김(미국)은 공동 28위(4언더파 136타)로 컷을 통과했다.2라운드 합계 4언더파 136타, 공동 28위까지 컷을 통과한 가운데 전인지-제니퍼 송(미국)은 공동 41위(2언더파 138타), 유해란-로즈 장(미국)은 공동 49위(1언더파 139타)로 탈락했다.이은경 기자 2025.06.28 10:05
LPGA

'무려 1208계단 올랐다' 10년 만의 준우승 이일희, 세계랭킹 1426위→218위 수직상승

무려 1208계단이나 상승했다. 이일희의 세계 랭킹이 수직 상승했다. 이일희는 10일(한국시간) 발표된 세계 여자골프 랭킹에서 지난주 1426위에서 무려 1208계단 오른 218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일희는 9일(한국시간) 미국 뉴저지주 갤러웨이의 시뷰 베이 코스(파71·6263야드)에서 열린 숍라이트 LPGA 클래식(총상금 175만달러) 3라운드에서 버디 6개와 보기 3개를 묶어 3언더파 68타를 쳤다. 최종 합계 14언더파 199타를 기록한 이일희는 15언더파를 기록한 제니퍼 컵초(미국)에게 단 한 타 차로 밀려 준우승했다.12년 만의 LPGA 우승 도전 무대에서 10년 만의 준우승을 기록했다. 이일희가 준우승한 건 지난 2014년 11월 미즈노 클래식이 마지막이었다. 2010년 LPGA 투어에서 데뷔한 그는 2013년 퓨어실크-바하마 클래식 우승 이후, 트로피와 인연을 맺지 못했다. 2016년 이후 단 한 번도 20위 내의 성적을 거두지 못했던 그는 2018년 LPGA 시드를 잃은 이후, 2020년부터 2022년까지 매년 1∼3개 대회에만 출전했다. 그동안 어깨 부상 등으로 고전했던 그는 공부를 다시 시작해 학사 학위를 따고 다른 업종에 취직도 했지만 이번 대회에서 깜짝 준우승하며 두각을 드러냈다. 유해란이 5위를 유지한 가운데, 김효주가 지난주보다 한 계단 하락한 10위에 이름을 올렸다. 고진영(12위) 양희영(22위) 윤이나(25위) 이예원(26위) 김아림(27위)이 순위를 유지한 가운데, 숖클래식에서 공동 5위로 선전한 임진희가 4계단 상승한 28위에 올랐다. 마지막날 17번 홀 홀인원과 함께 공동 3위로 대회를 마친 김세영의 순위도 4계단 올라 44위에 이름을 올렸다. 한편, 이 대회에서 우승한 제니퍼 컵초(미국)는 지난주보다 17계단 상승한 45위에 올랐다. 일본 선수들 중에선 사이고 마오가 2계단 오른 8위, 후루에 아야카가 1계단 상승한 15위에 이름을 올렸다. 윤승재 기자 2025.06.10 07:31
LPGA

'학위 따고 취직까지' 다사다난했던 12년…이일희, LPGA 숍라이트 클래식 준우승 "놀라웠던 한 주"

12년 만의 마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우승을 노린 이일희가 아쉽게 한 타 차 준우승을 차지했다. 이일희는 9일(한국시간) 미국 뉴저지주 갤러웨이의 시뷰 베이 코스(파71·6263야드)에서 열린 숍라이트 LPGA 클래식(총상금 175만달러) 3라운드에서 버디 6개와 보기 3개를 묶어 3언더파 68타를 쳤다. 최종 합계 14언더파 199타를 기록한 이일희는 15언더파를 기록한 제니퍼 컵초(미국)에게 단 한 타 차로 밀려 준우승했다.1타 차로 최종 라운드를 시작한 이일희는 초반 7번 홀(파3)까지 보기만 3개를 기록할 정도로 크게 흔들렸다. 하지만 9~11번 홀에서 3연속 버디에 성공하며 기사회생했고, 14번 홀(파3)과 17번 홀(파3)에서도 타수를 줄이면서 한 타 차 2위를 유지했다. 18번 홀(파5)에선 세컨드 샷이 프린지에 멈추면서 투온그린에 성공, 이글 기회도 잡았다. 하지만 이글 퍼트가 빗나가면서 버디와 준우승에 만족해야 했다. 이일희는 이번 대회에서 12년 만의 LPGA 우승을 노렸다. 2010년 LPGA 투어에서 데뷔한 그는 2013년 퓨어실크-바하마 클래식 우승 이후, 트로피와 인연을 맺지 못했다. 2016년 이후 단 한 번도 20위 내의 성적을 거두지 못했던 그는 2018년 LPGA 시드를 잃은 이후, 2020년부터 2022년까지 매년 1∼3개 대회에만 출전했다. 올해는 이번 대회 전까지 단 1개 대회에만 출전한 바 있다. 마지막 준우승도 지난 2014년 11월의 미즈노 클래식이었다.그동안 부상도 겹쳤다. 2019년 어깨를 다치고 골프를 그만두려고도 생각했다. 공부를 다시 시작해 학사 학위를 따고, 다른 업종에 취업도 했다. 이일희는 "'파이낸셜 포럼'이라는 곳에서 100일 정도 일하고 나와서 '아, 나는 골프를 잘하지'라고 깨닫고 가르치기 시작했다"며 파트타임 레슨과 부상 치료를 병행해왔다고 밝혔다. 그는 "로스앤젤레스에 저를 기다리는 제자가 몇 명 있다. 다음 주에 그들을 보러 간다"라고 말했다.아쉬운 준우승이지만, 이일희는 미소를 잃지 않았다. "컵초가 경기하는 걸 보는 게 무척 즐거웠다. TV로만 보던 선수였는데 옆에서 함께 하게 됐고, 그의 플레이를 지켜보는 건 정말 멋졌다"라고 말한 그는 "많은 사람이 소셜 미디어(SNS) 메시지를 보내줬다. 제가 다른 이들에게 얼마나 영감을 줬는지에 대한 것"이라며 "정말 놀라웠다. 제가 하고 싶은 일이고, 계속 그렇게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가장 친한 친구인 신지애에게 "넌 내게 영감을 줬어"라는 말을 들었다는 그는 "나는 모든 사람이 골프를 즐기기를 바란다. 그게 제가 바라는 전부"라고 말했다. 윤승재 기자 2025.06.09 09:17
LPGA

이일희, LPGA 숍라이트 클래식 2R 단독 선두…12년 만에 우승 도전

이일희가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숍라이트 클래식(총상금 175만 달러) 2라운드에서 단독 선두에 올랐다. 그는 12년 만의 우승에 도전한다.이일희는 8일(한국시간) 미국 뉴저지주 갤러웨이의 시뷰 베이 코스(파71)에서 열린 LPGA 투어 숍라이트 클래식 2라운드에서 버디 5개·더블보기 1개를 묶어 3언더파 68타를 쳤다.이일희는 중간 합계 11언더파 131타를 기록, 일본의 사이고 마오, 후루에 아야카, 미국의 엘리자베스 소콜, 제니퍼 컵초(이상 미국) 등 공동 2위 그룹을 1타 차로 따돌리고 단독 선두를 차지했다. 남은 최종 라운드에서 선두를 지킨다면 2013년 퓨어실크-바하마 클래식 제패 이후 12년 만에 LPGA 투어 정상에 오를 수 있다.이일희는 지난 2018년 이후 시드가 없어 투어 대회 우승자에 주는 연간 1, 2차례 출전 기회를 활용해 선수 생활을 이어왔다. 올해도 예선을 통과해 나선 US여자오픈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 출전이다. 이번에 우승하면 투어 카드를 확보할 수 있다. 톱10에만 들어도 다음 대회에 출전할 자격을 얻는다.이일희는 전날 보기 없이 버디 9개를 쓸어 담았다. 이날도 버디 5개를 뽑아냈다. 8번 홀(파4) 더블보기가 유일한 아쉬움이었다.일본의 사이고는 6타를 줄여 이일희를 1타 차로 따라붙었다. 특히 3번 홀(파5)에서 214야드를 남기고 친 두 번째 샷이 홀에 빨려 들어가는 앨버트로스를 잡아냈다. 올 시즌 LPGA 투어에서 나온 세 번째 앨버트로스다.이정은은 5언더파 66타를 쳐 공동 6위로 순위가 올랐다. 첫날 이븐파로 공동 65위에 그쳤던 세계랭킹 1위 넬리 코르다(미국)는 5타를 줄여 공동 25위(5언더파 137타)로 올라왔다.고진영은 1타밖에 줄이지 못해 공동 52위(2언더파 140타)로 밀렸다. 윤이나는 2오버파 73타를 쳐 합계 1오버파 143타로 컷 탈락했다.김우중 기자 2025.06.08 10:00
LPGA

윤이나 LPGA 데뷔전 첫날 3오버파 공동 72위 부진, 임진희 공동 3위

윤이나(22)가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데뷔전 첫날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윤이나는 7일(한국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브레이든턴의 브레이든턴 컨트리클럽(파71)에서 열린 LPGA 투어 파운더스컵(총상금 200만달러) 1라운드에서 버디 3개, 보기 4개를 묶어 1오버파 72타를 쳤다. 윤이나는 공동 72위로 컷 통과를 걱정해야 하는 처지다. 공동 선두에 오른 제니퍼 컵초(미국)와 나나 마센(덴마크·이상 6언더파 65타)와는 7타 차이다. 윤이나는 지난해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 대상과 상금왕, 최저타수상 등 3관왕을 석권했다. 이후 LPGA Q시리즈에 출전해 풀시드권을 확보했다. 이번 대회는 윤이나의 LPGA 데뷔전이다. 윤이나는 자신의 강점인 장타력을 앞세워 267야드의 평균 드라이브를 기록했다. 그러나 비거리와 달리 페어웨이를 10차례나 놓치는 등 티샷의 정확도가 떨어졌다. 퍼트 정확도 역시 낮은 편이었다. 윤이나는 6번 홀(파5)에서 버디를 잡았지만 8번 홀(파5)과 9번 홀(파3)에서 연속 보기를 범했다. 11번 홀(파3) 버디 이후 12번 홀과 14번 홀(이상 파4)에서 보기가 나왔다. 윤이나는 15번 홀(파3)에서 버디를 따낸 뒤 더 이상 타수를 줄이지 못했다. 윤이나의 신인상 경쟁자인 야마시타 미유(일본)는 3언더파 68타, 다케다 리오(일본)는 2언더파 69타로 각각 공동 9위, 공동 14위에 자리했다. 반면 일본의 쌍둥이 자매 신인인 이와이 치사토는 2오버파, 아키에 치사토는 5오버파로 하위권에 그쳤다. 지난해 LPGA 투어 신인왕을 아깝게 놓친 임진희가 첫날 버디 7개, 보기 2개로 5언더파 66타를 쳐 선두에 한 타 뒤진 공동 3위에 올랐다. 한국 선수 중 가장 좋은 성적이다. 지난해 사이고 마오(일본)에게 밀려 신인왕 경쟁 2위를 차지한 그는 이번 대회 산뜻한 출발로 LPGA 데뷔 첫 승을 정조준한다. 고진영은 보기 없이 버디만 4개를 따내 이정은6과 이미향과 함께 공동 선두에 2타 뒤진 공동 6위에 올랐다. 박성현은 1년 4개월 만의 복귀전에서 3언더파 68타로 공동 12위를 기록했다. 세계랭킹 1위 넬리 코르다(미국)도 공동 12위에 자리했다. 이형석 기자 2025.02.07 09:49
LPGA

'베테랑' 강혜지-김인경조, LPGA '2인1조' 대회 공동 3위로 기분 좋은 마무리

여자골프 베테랑 김인경(36)과 강혜지(33)가 2인 1조로 나선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다우 챔피언십 대회(총상금 300만 달러)를 공동 3위로 마쳤다.김인경-강혜지 조는 1일(한국시간) 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의 미들랜드 컨트리클럽(파70)에서 열린 대회 4라운드에서 버디 5개로 5언더파 65타를 쳤다. 최종 합계 19언더파 261타를 작성한 김인경-강혜지 조는 나나 마센-니콜 에스트루프(이상 덴마크) 조와 공동 3위에 올랐다.김인경은 2019년 11월 타이완 스윙잉 스커츠(공동 8위) 이후 4년 8개월 만에 10위 내에 들었다. 강혜지도 2022년 7월 이 대회에서 티파니 챈(홍콩)과 공동 4위에 오른 후 2년 만의 톱 10에 진입했다. 김인경은 LPGA투어에서 통산 7승을 올렸고 강혜지는 아직 우승이 없다.이 대회는 2인 1조로 치러졌다. 1·3라운드는 두 선수가 공 하나를 번갈아 치는 포섬 방식으로, 2·4라운드는 각자의 공으로 경기해 매 홀 더 좋은 점수를 팀의 성적으로 삼는 포볼 방식으로 진행됐다.우승은 이날 버디 8개를 몰아치며 최종 합계 22언더파 258타를 기록한 인뤄닝(중국)-아타야 티띠꾼(태국) 조가 가져갔다. 2022년 데뷔해 각각 2승씩 올린 두 선수는 통산 3승째를 합작했다. 3라운드 선두였던 앨리 유잉-제니퍼 컵초(이상 미국)는 단독 2위(21언더파 259타)로 대회를 마쳤다.교포 선수인 그레이스 김(호주)-오스턴 김(미국) 조가 공동 5위(18언더파 262타)에 올랐고, 하타오카 나사(일본)과 손잡은 고진영은 성유진-사이고 마오(일본)조, 김아림-노예림(미국)조와 함께 공동 8위(16언더파 264타)에 올랐다. 이소미-유해란 조는 공동 23위(13언더파 267타)로 마무리했다.윤승재 기자 2024.07.01 08:47
LPGA

'호흡 착착 이글쇼' 김인경-강혜지, 다우 챔피언십 3R 2위 '8승+첫 승 노린다'

김인경(36)과 강혜지(33)가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다우 챔피언십(총상금 300만 달러) 셋째 날 선두권에 안착했다. 김인경-강혜지 조는 30일(한국시간) 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의 미들랜드 컨트리클럽(파70)에서 포섬 방식(같은 팀 2명의 선수가 공 하나를 번갈아 치는 방식)으로 열린 대회 3라운드에서 이글 1개, 버디 4개, 보기 1개를 묶어 5언더파를 기록했다. 중간합계 14언더파 196타를 작성한 김인경-강혜지 조는 아타야 티띠꾼(태국)-인뤄닝(중국) 조와 함께 공동 2위에 올랐다. 10번 홀에서 출발한 김인경-강혜지 조는 전반에 버디 3개와 보기 1개로 2타를 줄였다. 3번 홀(파5)에서도 버디를 추가한 김인경-강혜지 조는 짧은 파4 홀인 5번 홀에서 이글을 기록했다. 강혜지가 티샷을 그린 위에 올렸고, 김인경이 퍼트로 마무리해 이글을 잡아냈다.선두는 15언더파 195타를 친 앨리 유잉-제니퍼 컵초(이상 미국) 조다. 교포 선수인 그레이스 김(호주)-오스턴 김(미국) 조는 13언더파 197타로 공동 4위에 올랐다.일본의 하타오카 나사와 팀을 이룬 고진영은 이번 라운드에서 버디 5개와 보기 3개로 중간합계 10언더파 200타, 공동 10위로 순위를 끌어 올렸다. 성유진은 사이고 마오(일본)와 팀을 이뤄 이븐파를 작성, 전날 9위에서 10위(10언더파 200타)로 한 계단 떨어졌다. 이소미-유해란 조는 3타를 잃어 공동 24위(7언더파 203타)로 밀렸다.이 대회는 1, 3라운드는 포섬 방식, 2, 4라운드는 포볼 방식(같은 팀 2명의 선수가 각자의 공으로 경기해 더 좋은 성적을 기록하는 방식)으로 열린다.우승에 도전하는 김인경은 LPGA 투어에서 7승을 올린 바 있다. 강혜지는 2009년 LPGA 투어에 데뷔했지만 아직 우승이 없다. 윤승재 기자 2024.06.30 10:34
LPGA

베테랑 김인경·강혜지, LPGA 다우 챔피언십 3R 공동 2위···선두와 1타차

한국 여자골프의 베테랑 김인경과 강혜지가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다우 챔피언십(총상금 300만 달러) 셋째 날 선두권으로 뛰어올랐다.김인경-강혜지 조는 30일(한국시간) 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의 미들랜드 컨트리클럽(파70)에서 포섬 방식(같은 팀 2명의 선수가 공 하나를 번갈아 치는 방식)으로 열린 대회 3라운드에서 이글 1개, 버디 4개, 보기 1개를 묶어 5타를 줄였다.중간 합계 14언더파 196타를 친 김인경-강혜지 조는 아타야 티띠꾼(태국)-인뤄닝(중국) 조와 함께 공동 2위에 올랐다. 선두 앨리 유잉-제니퍼 컵초(15언더파 195타)와는 한 타차다. 이 대회는 1·3라운드는 포섬 방식, 2·4라운드는 포볼 방식(같은 팀 2명의 선수가 각자의 공으로 경기해 더 좋은 성적을 기록하는 방식)으로 열린다.36세의 김인경은 LPGA 투어에서 7승을 올린 베테랑이다. 33세의 강혜지는 2009년 LPGA 투어에 데뷔했고, 아직 우승 경험은 없다. 235야드의 5번 홀(파4)에서는 강혜지가 티샷을 그린 위에 올리고, 김인경이 퍼트로 마무리해 이글을 잡아내는 환상의 호흡을 자랑했다. 일본의 하타오카 나사와 팀을 이룬 고진영은 버디 5개와 보기 3개로 2타를 줄여 중간 합계 10언더파 200타, 공동 10위로 올라섰다. 이형석 기자 2024.06.30 08:57
LPGA

韓 선수 첫 승 도전…안나린, LPGA 마이어 클래식 1R 공동 2위

안나린이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마이어 클래식(총상금 300만 달러) 1라운드에서 공동 2위에 자리했다. 안나린은 14일(한국시간) 미국 미시간주 벨몬트의 블라이더필즈 컨트리클럽(파72·6천638야드)에서 열린 대회 첫날 1라운드에서 보기 없이 버디만 5개를 골라 5언더파 67타를 쳤다. 안나린은 브룩 헨더슨(캐나다) 제니퍼 컵초(미국)과 함께 공동 2위에 올랐고, 선두 앨리슨 리(미국)와 2타 차다. 앨리슨 리는 이글 1개, 버디 7개, 보기 2개를 묶어 7언더파 65타를 적어냈다. 지난 4월 매치플레이 대회에서 4강에 진출했던 안나린은 LPGA 투어 첫 승을 노린다. 또한 올 시즌 14개 대회에서 한국 선수가 단 한 번도 우승하지 못했는데, 이번에 첫 승을 할지가 관심사다. 김인경은 4언더파 68타를 쳐 공동 11위에 자리했다. 이정은과 전지원, 최혜진은 공동 22위로 2라운드를 맞이하게 됐다. 세계랭킹 12위인 김효주는 2오버파 74타에 그쳐 공동 107위로 1라운드를 마쳤다.김희웅 기자 2024.06.14 11:08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