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산업

SK 오너가 3세들 해외 실무경험 쌓기 한창...경영 수업 본격화

SK그룹 오너가 3세들의 경영 승계 수업이 본격화되고 있다. 최근 해외 실무경험 쌓기에 중점을 두고 있는 모양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장남 최인근 SK E&S 매니저가 올해부터 북미 사업 총괄 조직인 패스키에서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패스키는 미국 뉴욕에 거점을 둔 SK E&S의 북미 법인이다. 최 매니저는 패스키에서 글로벌 에너지 사업 관련 업무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 회장의 장남은 2020년 SK E&S 서울 본사 전략기획팀에 신입사원으로 입사한 바 있다. SK E&S는 에너지 계열사로 신재생에너지 사업과 에너지저장시스템(ESS), 가장발전소 등 에너지솔루션 사업을 하고 있다. 최 매니저는 신재생 등 SK그룹이 힘을 주고 있는 친환경 에너지 분야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패스키는 SK E&S의 미국 에너지솔루션 사업을 담당하는 투자회사다. SK그룹 북미 법인의 핵심 중 하나다. 최 회장의 동생인 최재원 SK온 수석부회장이 패스키의 이사회 의장 겸 최고투자책임자여서 조카 최 매니저를 챙기는 등 실무경험을 쌓는 데 도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 회장의 세 자녀는 나란히 세계 최대 시장인 북미 시장에서 실무경험을 쌓고 공부를 하며 경영 승계를 준비하고 있다. 최 매니저는 2014년 미국 브라운대를 졸업했고, 보스턴컨설팅그룹 인턴십을 거치며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장녀 최윤정 SK바이오팜 전략투자 팀장도 유학파다. 베이징국제고를 졸업한 그는 미국 시카고대에서 생물학 학사를 마쳤다. 2019년 휴직 후 미국 스탠포드대 생명정보학 석사 과정을 마치고 지난해 복직했다. SK바이오팜의 핵심인 전략투자팀장을 맡은 그는 실질적인 신약 개발 태스크포스(TF)에도 합류했다. SK바이오팜은 지주사 SK와 제약·바이오 분야에서 시너지 효과를 겨냥하며 신약개발 TF를 만들었다. 장동현 SK 부회장이 TF장을 맡았다. 아직 초기 단계라 신약개발의 방향이 정해지지 않았지만 생물학과 생명정보학 등을 전공하며 관련 지식이 풍부한 최 팀장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차녀 차민정 SK하이닉스 팀장은 베이징대 경영대 출신이다. 그는 현재 휴직을 하면서 미국 원격의료 스타트업의 자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군 사관후보생으로 자원입대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던 그는 창업과 인수합병 프로젝트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세계 최대 전자·IT 전시회인 ‘CES 2022’에서는 SK하이닉스를 대표해 연설도 하고 투자자들도 두루 만났다. 3세들이 경영 승계 수업을 받고 있는 가운데 최태원 회장도 세 자녀에게 승계 기회를 주고 있다. 그는 BBC코리아와 인터뷰에서 후계자 문제와 관련해 “아직 결정된 건 없다. 경영 승계에는 큰 책임이 따른다”며 “결국 자녀의 선택”이라며 기회를 줄 것임을 밝혔다. 재계 관계자는 3세 승계와 관련해 “최태원 회장은 자식들에게 자율적으로 맡기는 유형인 것으로 알려졌다”며 “3세 경영 여부는 본인들의 선택에 따라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3.04.18 06:58
경제

최태원, 후계자에 대한 생각 "아들 선택에 달렸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자녀의 경영 승계에 대한 생각을 공개적으로 언급했다. 최태원 회장은 6일 BBC코리아와의 인터뷰에서 후계자 문제와 관련해 “아직 결정된 게 없다”고 밝혔다. 인스타그램에 아들과 함께 찍은 사진을 올린 것에 대해 얘기를 하다 후계자 승계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졌다. 최태원 회장은 이에 대해 “아이들이 아직 어리다. 본인의 삶을 살 것이며 강요하진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경영 승계에 대한 무게감도 설명했다. 그는 “(경영 승계에는) 큰 책임이 따른다. 동전의 양면 같을 것”이라며 “좋은 점도 있지만 나쁜 점도 많다. 아들의 선택이다”고 밝혔다. 자녀의 경영 승계 기회는 얼마든지 있다. 그는 “기회는 전문경영인 등 모든 사람에게 열려 있고, 제 자녀도 그렇다”고 덧붙였다. 장남 최인근 씨는 지난해 9월 SK그룹의 에너지부문 계열사인 SK E&S 전략기획팀에 신입사원으로 입사했다. 재생에너지 친환경 분야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알려진 최 씨는 수소 등 핵심 사업 분야에서 경영 수업을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최태원 회장의 경우 자식에게 자율적으로 맡기는 유형으로 알려졌다. 장남이 향후 3세 경영을 할지는 본인의 선택에 따라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최태원 회장의 장녀 최윤정 씨와 차녀 민정 씨도 각각 SK바이오팜과 SK하이닉스 소속으로 일하고 있다. 그리고 이날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과 인스타그램을 비교하는 질문도 나왔다. 정용진 부회장과의 경쟁의식에 대한 질문에 최 회장은 “그런 생각을 안 해봤다. 인스타그램 활동을 정말 즐기고 있고 (팔로어에 대한)경쟁의식은 전혀 없다”고 대답했다. 최 회장의 팔로어는 6만명인데 반해 ‘재계 핵인싸’인 정 부회장의 팔로워는 72만명을 넘어섰다. 활발한 경영 활동을 펼치고 있는 ‘재계 맏형’ 최 회장은 지난 5일 미국으로 출국했다. 미국 워싱턴DC 교외 샐러맨더에서 열리는 국제 포럼인 '트랜스 퍼시픽 다이얼로그'(TPD) 참석해 한미일 석학들과 머리를 맞댄다. 이 포럼은 그간 범태평양 지역의 민간 외교와 정책 공조 필요성을 강조해온 최 회장이 해당 지역의 지정학적 위기 해법을 찾고 경제·외교적 대안을 마련하고자 직접 만든 것이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12.06 18:28
경제

최태원 회장 세 자녀 모두 SK 계열사 입사, 경영수업 본격화

“최태원 SK 회장의 장남이 계열사에 입사했다는 건 후계 경쟁도 시작됐다는 의미다.” 재계 관계자들은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장남 인근 씨가 SK E&S에 입사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이렇게 입을 모았다. 지난 21일 수시채용으로 전략기획팀 신입사원으로 입사한 인근 씨는 아버지가 수장인 SK그룹 계열사에서 첫 사회생활을 시작하게 됐다. SK 측에서도 “외부에서 후계 구도에 대한 시선이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다. 신입사원으로 입사한 만큼 사원급 처우가 적용된다”고 말했다. 최 회장의 세 자녀가 모두 SK 계열사에 근무하게 되면서 SK그룹의 후계 구도 경쟁도 막이 올랐다. 이혼 소송 중인 최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은 슬하에 1남 2녀를 두고 있다. 최 회장은 과거 인터뷰에서 자녀들의 경영 참여에 대해 “회사 경영을 하든, 다른 일을 하든 간섭할 일은 아니다. 만약 회사 경영에 참여를 원한다면 냉정하게 평가할 것”이라고 했다. 3명 모두 SK 계열사에 입사하면서 3세 경영에 대한 의지도 엿보이고 있다. 최 회장이 남녀 차별을 두지 않고 냉정하게 평가한다는 입장이라서 후계 구도가 어떻게 전개될지 관심이 높다. 최 회장은 세 자녀를 국내외 포럼에 데리고 다니며 자연스럽게 ‘경영 수업’을 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또 SK 주력 계열사에 자녀들이 배치되고 업무를 익힘으로써 그룹 경영 전반의 이해도를 높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장녀 윤정 씨는 지난 2017년 바이오 기업인 SK바이오팜에 입사해 책임 매니저로 업무를 수행했다. SK바이오팜은 선대 회장 때부터 공들여온 신약 개발을 하는 바이오 기업으로, SK의 미래 먹거리 사업을 담당하고 있다. 올해 코스피에 상장하면서 기대를 받았고, 한국 바이오기업 최초로 미국식품의약국(FDA) 승인 혁신 신약 2개를 보유하고 있다. 2017년 결혼한 윤정 씨는 지난해 미국 스탠퍼드대 석사 과정을 밟기 위해 잠시 휴직을 한 뒤 유학길에 올랐다. 바이오인포매틱스(생명정보학) 과정이라 바이오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결정으로 평가받고 있다. 차녀 민정 씨는 2019년 SK하이닉스에 대리급으로 입사했다. 대외협력총괄 산하 인트라(INTRA) 조직에 있는 민정 씨는 현재 미국 워싱턴DC에서 글로벌 이슈 대응 업무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SK하이닉스는 삼성전자에 이어 시가총액 2위로 최 회장이 주도한 인수합병 중 가장 성공적인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민정 씨는 집안의 반대에도 총수 자녀로는 처음으로 해군 장교로 자진 입대해 화제를 모은 바 있다. 해군 중위로 전역한 뒤 SK하이닉스에 입사해 경영수업을 받는 모양새다. 장남 인근 씨는 SK그룹의 에너지 계열사인 SK E&S에 자원해서 입사한 것으로 알려져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SK E&S는 신재생에너지 사업과 에너지저장시스템(ESS), 가상발전소(VPP) 등의 사업 포트폴리오를 갖고 있다. 최근 새만금 수상태양광 사업을 민간 최대 규모로 수주하긴 했지만 SK그룹의 핵심 계열사는 아니다. 미국 브라운대에서 물리학을 전공했고, 보스턴컨설팅그룹 인턴십을 거친 인근 씨는 ‘친환경 에너지’ 사업을 선택한 셈이다. 김동관 한화솔루션 부사장이 '친환경 사업'으로 두각을 나타내고 있듯이 인근 씨도 SK E&S에서 실전 경험 쌓은 뒤 향후 SK그룹에서 힘을 주고 있는 친환경 에너지 신사업을 주도할 가능성이 있다. 1998년 최종현 SK그룹 선대회장이 타계한 뒤 최 회장이 총수로 취임한 지 올해로 22주년이 됐다. SK 관계자는 “최태원 회장이 1960년생으로 여전히 정정하고 건재해 경영권 후계 이야기를 할 단계는 아니다”고 말했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0.09.24 07: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