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산업

SK이노베이션, 10GWh ESS 공급 논의...배터리 사업은 아직 적자

SK이노베이션이 석유 사업 흑자 전환 등에 힘입어 2개 분기 만에 흑자 전환했다. 미국 시장에서 최대 10GWh 규모의 ESS(에너지저장장치) 공급 계약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SK이노베이션은 31일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5735억원으로 지난해 동기(영업손실 4233억원)와 비교해 흑자 전환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매출은 20조5332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6.3% 증가했다. 순손실은 943억원으로 적자 폭이 축소됐다.SK이노베이션은 "유가 및 정제마진 상승에 힘입은 석유 사업의 흑자 전환과 LNG 발전소 계절적 성수기 효과에 따른 SK이노베이션 E&S 사업의 견조한 실적이 더해지며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했다"고 말했다.사업별로 보면 석유 사업은 매출 12조4421억원, 영업이익 3042억원을 기록했다. 정제마진 개선과 유가 상승에 따른 재고 관련 효과로 전 분기 대비 영업이익이 7705억원 증가했다.배터리 사업은 매출액 1조8079억원, 영업 적자 1248억원을 기록했다. SK온 통합법인으로는 영업이익 179억원을 달성하며 2분기 연속 흑자를 이어갔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상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규모는 1731억원이었다. 올해 누적 AMPC 수혜 규모는 6173억원이다.SK온은 지난 9월 미국 재생에너지 기업인 플랫아이언과 1GWh 규모의 ESS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2026년에 플랫아이언이 추진하는 메사추세츠주 프로젝트에 파우치형 LFP 배터리가 탑재된 ESS 제품을 공급할 에정이다.SK이노베이션 화학 사업은 매출 2조4152억원·영업손실 368억원, 윤활유 사업은 매출 9805억원·영업이익 1706억원, 석유개발 사업은 매출 3200억원·영업이익 893억원, 소재 사업은 매출 235억원·영업손실 501억원을 각각 기록했다.SK이노베이션 E&S는 매출 2조5278억원, 영업이익 2554억원을 올렸다. 4분기에는 OPEC+ 증산에 따른 유가 하락 가능성이 있으나, 주요 산유국의 지정학적 불확실성 우려가 상존해 정제마진은 견조하게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배터리 사업은 미국 전기차 수요 둔화 및 신규 공장 초기 비용 부담 등으로 불확실성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이에 미국 시장 중심의 ESS 사업 확장에 역량을 집중해 가동률 향상과 수익성 방어에 노력한다는 방침이다.SK이노베이션은 이날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SK온은 플랫아이언과 추가적으로 2030년까지 최대 6.2GWh 규모의 ESS 우선협상권을 확보했다"고 말했다.이어 "미국에서 다수의 고객들과 최대 10GWh 이상 규모의 ESS 공급계약 논의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SK온 기존 미국 공장의 전기차용 배터리 라인을 ESS로 전환하고 북미 지역 헤드쿼터 등 현지 운영 체계를 구축해 미국 ESS 시장 확대에 대응할 계획이다.김두용 기자 2025.10.31 14:01
자동차

'지긋지긋한 전기차 화재'...배터리 내재화 속도 내는 현대차

현대차그룹이 배터리 내재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잇따른 전기차 화재로 배터리에 대한 불안감이 고조되는 가운데, 직접 배터리를 만들어 안전도를 높이고 비용도 줄이겠다는 심산이다.12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2026년까지 배터리 기술 내재화가 포함된 연구개발 분야에 31조1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현대차그룹은 앞서 2020년 남양기술연구소에 배터리 연구조직을 만들었으며, 지난해 7월에는 서울대와 배터리 공동연구센터를 설립했다. 지난해 8월에는 싼타페 하이브리드에 자체적으로 개발한 하이브리드 전용 배터리를 장착하기도 했다.현대차그룹은 무엇보다 차세대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공을 들이고 있다. 전고체 배터리는 기존 배터리의 단점인 화재 위험성을 해결하고 배터리 용량을 비약적으로 늘린 '꿈의 배터리'로 불린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그룹은 이미 전고체 배터리 샘플 개발에 착수했으며, 성과도 서서히 나오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현대차 관계자는 "여러 업체들과의 협업으로 기술력과 제조 경쟁력을 확보해 2025년 전고체 배터리 탑재한 전기차를 시범적으로 선보일 것"이라며 "2030년부턴 대규모로 양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더 나아가 현대차그룹은 배터리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를 확보하는 데도 공을 들이고 있다. 실제로 현대차그룹은 배터리 원료망 확보를 위해 이달 중순 세계 2위 리튬 생산 업체인 칠레 SQM과 수산화리튬 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올해 초에도 중국의 성신리튬, 간펑리튬에너지와 각각 4년간 수산화리튬 구매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리튬은 전기차용 배터리에 사용되는 주요 원료 중 하나다. 현대차그룹은 배터리 내재화에 앞서 기존 배터리 회사와의 협력도 강화하고 있다. 완전한 배터리 내재화 전 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배터리 기술 일부도 공유 받기 위해서다. LG에너지솔루션과 인도네시아에 합작 배터리공장인 'HLI그린파워'를 완공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곳에서 생산한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는 최근 출시된 '캐스퍼(EV)일렉트릭'에 탑재됐다. 조만간 판매에 들어가는 기아의 'EV3'에도 합작공장에서 만든 배터리가 들어갈 예정이다.현대차그룹이 이처럼 배터리 내재화를 서두르는 가장 큰 이유는 가격 경쟁력과 납기 안정성에 있다. 전기차는 원가의 40% 이상을 배터리가 차지하는 만큼 배터리 가격이 차량 소매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전기차 캐즘의 해법으로 저가형 전기차 전략이 힘을 받는 만큼, 배터리 공급망 안정화는 필수적이다. 여기에 최근 발생한 벤츠 전기차 화재와 같은 대형 사고가 발생했을 때 책임 소재도 명확해질 수 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 화재가 잇따르며 배터리 안전성이 다시금 부각되고 있다"며 "자동차 기업이 안전성과 더불어 가격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선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배터리 시장에 뛰어들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4.08.13 07:00
경제

정의선·구광모 '배터리 회동' 성과물…인도네시아 배터리 공장 합작

LG에너지솔루션과 현대자동차가 손잡고 인도네시아에 전기차용 배터리셀 공장을 짓는다. 자카르타 외곽에 설립되는 이 공장은 현대차 전기차의 동남아시아 거점이 될 전망이다. 26일 CNBC인도네시아 등에 따르면 바흐릴 라하달리아 투자부 장관은 "국영 인도네시아 배터리 코퍼레이션(IBC)과 한국의 LG가 12억 달러(1조3388억원)를 투입해 서부자바 브카시 델타마스에 10GWh(기가와트) 규모 배터리공장을 곧 착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바흐릴 장관은 "여기서 생산한 배터리는 현대차 전기차에 들어간다"고 덧붙였다.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은 현대차 공장 인근에 전기차용 배터리공장 후보지를 정하고, 인도네시아 정부와 막바지 조율 중이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6월에는 서명한다"고 밝히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과 현대차의 인도네시아 전기차 배터리 합작법인 설립은 지난해부터 이야기가 나왔다. 지난해 6월 정의선 현대차 회장과 구광모 LG그룹 회장이 LG화학 오창공장에서 만나 이와 관련된 다양한 협력 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이를 기점으로 합작법인 설립에 속도가 붙은 것으로 보인다. 인도네시아 정부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한국을 방문 중인 루훗 판자이탄 해양·투자조정부 장관은 지난 24일 김종현 LG에너지솔루션 사장, 정의선 현대자동차 그룹 회장을 각각 면담하며 이와 관련한 얘기를 나눴다. 현대차는 이미 인도네시아 서부자바 브카시에 완성차 공장 건설을 마치고 시험생산을 거쳐 올 연말부터 내연기관차부터 양산한다는 계획이다. 또 전기차 생산을 위해 개별소비세(사치세) 개정, 현지화율 조건 조정 등의 숙제를 풀어가고 있다. 루훗 판자이탄 장관은 26일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면담하며 양국 간 투자 확대 및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배터리와 신재생에너지 등 양국이 중점 추진 중인 신산업·그린뉴딜 관련 분야의 협력 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05.26 11:19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