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연예

[리뷰IS] '스타트업' 배수지♥남주혁, 두마리 토끼 잡으며 해피엔딩

'스타트업' 배수지, 남주혁이 일과 연애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았다. 결혼까지 골인, 다시 맞잡은 손을 놓치지 않았다. 6일 종영된 tvN 주말극 '스타트업'에는 배수지(서달미)와 남주혁(남도산)이 청명컴퍼니의 주력 사업인 자율주행 타잔의 기술력을 인정받고 사업적으로 투자 유치까지 성공하는 모습이 그려졌다. 배수지는 아빠를 교통사고로 잃었다. 더는 교통사고로 목숨을 잃는 사람이 없기를, 시력을 잃은 할머니도 안심하고 다니는 세상을 만들고 싶다는 목표를 밝혔다. CEO로서 뚜렷한 목표를 가지고 회사를 꾸렸고 이것은 회사를 더 크게 확장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스마트시티 자율주행 입찰에서 최종 후보 5곳에 이름을 올린 청명 컴퍼니. 배수지는 투자를 받겠다고 했다. 사업 확장을 위함이었는데, 서이숙(윤선학)이 투자하고 싶다는 바람을 밝혔다. 서이숙의 지시로 김선호(한지평)는 사심을 뺀 투자자로서 청명 컴피니와 함께하게 됐다. 배수지와 김선호의 관계는 깔끔하게 정리됐다. 마음을 정리한 김선호는 "그간 고마웠다는 말은 지칠 정도로 들었다. 이미 갚고도 남는다. 그 시절 나도 친구가 없었고 당신 편지로 위로 받았다. 고마운 건 서로 퉁치자. 난 당신의 편지를 읽고도 15년이나 당신을 찾지 않았지만 남도산은 편지 읽은 그날 바로 당신을 찾아갔다. 그러니까 그 편지의 남도산은 내가 아니다. 미안할 것도 자책할 것도 없다"라며 배수지, 남주혁의 큐피드로 남았다. 자율주행 입찰 최종 프레젠테이션을 앞둔 상황. 배수지는 기도를 했다. 이어 무지개가 떠 있는 하늘을 본 그녀는 좋은 일이 일어날 것 같다고 했다. 그리곤 남주혁에게 기습 키스를 했다. 두 사람의 변함없는 애정전선을 확인시켰다. 세상을 바꾸기 위해 배수지, 남주혁, 김선호, 강한나(원인재)가 함께했다. 네 사람이 나란히 청명 컴퍼니를 위해 의기투합, 미소를 자아내며 해피엔딩을 맞았다. 거듭된 실패 속 포기하지 않고 달려온 청춘들의 모습이 '스타트업'의 마지막을 훈훈하게 장식했다. 황소영 기자 hwang.soyoung@jtbc.co.kr 2020.12.07 07:31
생활/문화

SKT 이어 KT도 5G 장비사에서 화웨이 제외…LGU+만 유일

KT가 차세대 이동통신 5G 장비 공급사로 삼성전자와 에릭슨·노키아를 최종 선정했다. 이로써 이동통신 3개 사 중 LG유플러스만 보안 우려가 제기된 중국의 화웨이와 손잡게 됐다.KT는 5G 장비 업체로 검토했던 4개 사 중 화웨이를 제외한 삼성전자·에릭슨·노키아를 최종 선정했다고 8일 밝혔다.KT는 이번 결정에 대해 "최고 수준의 5G 서비스 제공과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기술력, 기존 LTE망과 연동, 안정적 운영, 투자 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말했다.화웨이가 탈락한 것은 기존 LTE 장비와 연동이 나머지 3개 사보다 어렵다는 점이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KT는 LTE 도입 당시 삼성전자·에릭슨·노키아 장비를 썼다. 5G는 도입 초기에 LTE망을 함께 쓰는 NSA(비단독 모드) 방식으로 구축된다.보안 논란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화웨이 5G 장비는 가격 대비 성능에서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중국 정부의 스파이 활동에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 미국과 호주에서 배제됐다. 영국 정부도 보안 문제를 이유로 화웨이를 5G 장비 입찰에서 배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업계의 한 관계자는 "5G는 LTE와 달리 자율주행차, 사물인터넷(loT), AI 등을 위한 공공·민간의 대규모 데이터 및 정보가 흘러 다니는 도로"라며 "국가 차원에서 보안이 더 중요해진 것이다. 그래서 '국민 기업'이라고 할 수 있는 KT가 보안 논란이 있는 화웨이를 선택하는 것이 어려웠을 것"이라고 말했다.SK텔레콤은 지난 9월 일찌감치 5G 장비사로 삼성전자·에릭슨·노키아를 선정했다.LG유플러스는 삼성전자·에릭슨·노키아에 화웨이를 추가해 4개 사의 장비를 쓰기로 했다. LG유플러스는 이통 3개 사 중 유일하게 화웨이의 LTE 장비를 도입하고 있어 이와 연동성을 감안해 5G에도 화웨이 장비를 채택했다. 그러나 보안 문제가 불거지면서 향후 5G 서비스 론칭 시 불리하게 작용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이통 3개 사는 5G 주파수가 할당되는 오는 12월 1일 5G 첫 전파를 송출할 예정이며, 스마트폰을 이용한 일반 상용화는 5G폰이 나오는 내년 3월 이후가 될 전망이다. 권오용 기자 kwon.ohyong@jtbc.co.kr 2018.11.08 15:42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