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일반
배두나 “’어느 가족’, 너무 특별하고 눈물..연기자로서 자극 받아” [IS추천]
스타들은 쉬면서 뭘 볼까요? 배우들과 가수들이 시청자로서 빠진 작품은 무엇일까요? 넘쳐나는 콘텐츠에 뭘 봐야 할지 고민하는 독자들에게 스타들이 추천하는 작품들을 소개합니다.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작품들을 다 봤는데 ‘어느 가족’은 정말 너무나 감동적이다. 너무 특별하다.” 배우 배두나는 지난 2018년 일본 거장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어느 가족’이 우리나라 개봉 당시 추천 영상을 통해 이 같은 감상평을 전했다. 이어 “무겁지 않게 계속 흘러가면서도 감독 특유의 메시지에 눈물이 날 정도였다”고 호평을 쏟아냈다. 배두나는 “내가 감히 평가하지 못할 정도로 모든 배우들의 연기가 훌륭하다”면서도 “극중 노부요 역을 맡은 안도 사쿠라의 연기를 보고 깜짝 놀랐다. ‘연기는 저렇게 하는 거구나’를 보여주는 것 같았다. 연기자로서도 관객으로서도 커다란 감명과 신선한 자극을 받았다”고 전했다.
배두나가 극찬한 ‘어느 가족’은 한국에도 익히 잘 알려진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작품이다. 제71회 칸국제영화제에서 최고 영예인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 영화는 할머니의 연금과 훔친 물건으로 살아가는 가족이 우연히 길에서 떨고 있는 다섯 살 소녀를 데려와 함께 살게 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다.원제는 일본어로 ‘좀도둑’이라는 뜻의 ‘만비키(万引き)’다. 영화는 수퍼마켓에서 오사무(릴리 프랭키)가 망을 보면 소년 쇼타(죠 카이리)가 잽싸게 훔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이들은 ‘작업’이 끝나면 아버지와 아들처럼 다정하게 고로케를 나눠 먹으며 집으로 돌아간다. 훔친 물건들을 한가득 안고 집에 들어가면 젊은 여성 노부요(안도 사쿠라)와 흰머리의 하츠에(키키 키린)가 “제대로 된 걸 훔쳐오라”며 타박 아닌 타박을 늘어놓는다. 평범하지만 평범하지 않는, 가족 같은 모습이 연이어 펼쳐진다.
그러던 어느 날 오사무와 쇼타는 길가에 홀로 앉아있는 유리(사사키 미유)를 우연히 마주치고 발을 떼지 못한다. 훔치기 전문인 이들이 유리를 자신들의 집으로 데려오는 건 어쩌면 자연스러운 일이다. 따뜻한 밥을 먹인 뒤 유리의 가족을 찾아나서지만 막상 유리를 돌려보내는 건 쉽지 않다. 온몸에 구타 자국이 남아있는 다섯 살 아이의 몸, 그리고 폭력에 노출된 가정환경을 마주하자 끝내 유리를 집으로 돌려보내지 못한다. 한 지붕 아래에서 자그마한 몸에 약을 발라주고, 머리카락을 단정히 잘라주고, 예쁜 새 옷을 입히며 유리를 자신들의 ‘식구(食口)’로 품는다. 사실 이들 모두는 피를 나눈 사이가 아니다. 유리가 ‘어쩌다’ 이들을 만난 것처럼 하츠에, 오사무, 노부요, 아키(마츠오카 마유), 쇼타 모두 가장 연장자인 히츠에의 성(姓)을 지니고 있지만 어쩌다 모인 사람들이다. 거동도 쉽지 않을 정도로 나이 들었지만 누구 하나 돌봐줄 사람이 없는 하츠에, 월급도 제대로 받지 못하는 일용직 노동자 오사무 등 각자의 사연을 지닌 인물들이 낡은 기와 지붕 아래서 함께 밥을 나눠 먹고 일상을 공유한다.
영화는 이러한 관계를 서서히 드러내면서 ‘이들이 가족일까’라는 질문을 던지고, 전하려는 메시지를 향해 차근차근 달려나간다. 그 과정에서 혈연 가족에게 버려지고, 사회에서도 버림 받은 사람들의 모습이 공감을 자아내고 노인 문제, 불안한 고용시장, 가정폭력 등 일본뿐 아니라 현대 사회의 어두운 이면을 녹여낸다. 고레에다 감독이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2013), ‘바닷마을 다이어리’(2015) 등에서 던진 ‘가족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문제의식이 섬세하게 담겼고, 사회 문제에 대한 예의 날카로운 시선도 깊이 담겼다.
배우들의 연기는 빈틈이 없다. 릴리 프랭키, 키키 키린 등 고레에다 감독의 페르소나로 불리는 배우들이 전작들과 비슷하면서도 또 다른 매력을 보여준다. 무엇보다 배두나가 배우로서 자극 받았다는 안도 사쿠라의 연기는 무척이나 강렬해서 눈을 뗄 수 없게 한다. 영화 말미 2분 30초 가량 원테이크에서 펼쳐지는 상실감, 슬픔 등 복합적인 표정 연기는 그야말로 눈부시다. 제 71회 칸영화제 심사위원장이었던 배우 케이트 블란쳇이 “앞으로 우리가 찍는 영화에 우는 장면이 있다면 안도 사쿠라를 흉내 냈다고 생각하면 된다”고 높이 평가할 만하다.유지희 기자 yjhh@edaily.co.kr
2023.05.20 1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