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경제

미, 러시아 원유 수입 중단…한국경제 타격 불가피

미국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를 경제적으로 압박하기 위해 러시아산 원유 수입 금지라는 강도 높은 카드를 꺼내 들었다. 이번 결정으로 국제유가가 크게 흔들리면서 한국경제도 적지 않은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8일(현지시간) 대국민 연설에서 러시아산 원유와 가스, 석탄의 수입을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동참 여부는 각국이 알아서 결정할 사안이라는 입장이다. 영국도 연말까지 러시아산 석유 수입을 단계적으로 중단한다고 밝혔다. 러시아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원유 수출국이다. 하루 약 450만 배럴의 원유와 약 250만 배럴의 원유 관련 상품을 수출한다. 이날 미국과 영국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 금지 소식에 국제유가는 오름세를 보였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4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한때 배럴당 129.44달러까지 올랐다가 123.7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전장보다 4.30달러(3.6%) 올랐다. 종가 기준 2008년 8월 이후 최고치다. 원유 전량을 해외에서 들여오는 우리나라의 유가에도 이런 추세가 고스란히 반영됐다.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사이트 오피넷에 따르면 9일 오후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은 전날보다 27.01원 오른 리터당 1887.62원으로 집계됐다. 2014년 3월 이후 8년 만에 최고가다. 이미 휘발유 가격이 2000원을 넘은 주유소도 있다. 제주와 서울의 평균 휘발유 판매가격은 각각 1973원, 1958원으로 나타났다. 항공·해운업계는 연료비 상승을, 전자·반도체·배터리업계는 물류비 부담을 걱정하는 상황이다. 화학 원재료를 다루는 기업들도 비상이다. 한국무역협회 자료를 보면 지난해 우리나라가 러시아로부터 가장 많이 수입한 품목은 나프타(25.3%)와 원유(24.6%)다. 원유에서 추출하는 나프타는 휘발유나 석유화학 등의 원료로 쓰인다. 국제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최근 가격이 20% 이상 급등했다. 키움증권은 "미국 정부는 러시아에 대한 에너지 수입 의존도를 낮추면서 다른 산유국들 및 자체 생산으로 원유 공급 차질 문제를 완화하는 것을 우선순위로 두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속 글로벌 경기 위축 우려로 하방 압력을 받을 전망이다"고 분석했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2.03.09 17:35
경제

다우 0.74% 상승 마감, 3월 통화정책 추가 부양 가능성

다우 0.74% 상승 마감했다는 소식이 전해져 이슈가 되고 있다.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경기 부양을 위해 기존 통화완화 정책을 재검토할 수 있다는 마리오 드라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의 발언으로 국제유가 약세가 진정된 덕분에 상승했다.21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 산업평균은 전날보다 0.73% 상승한 1만5882.27에 거래를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은 0.52% 상승한 1868.98에 마쳤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0.01% 오른 4472.06에 거래를 마감했다.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9.66포인트(0.52%) 높아진 1,868.99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0.37포인트(0.01%) 상승한 4,472.06에 장을 마감했다.이날 증시는 장 초반과 거래 후반 상승과 하락을 반복했다. 증시가 오름세로 마무리한 것은 ECB 마리오 드라기 총재의 부양 관련 발언과 국제 유가 상승의 영향이다. 앞서 유럽중앙은행(ECB)의 마리오 드라기 총재는 통화정책회의를 마치고 가진 기자회견에서 “다음 3월 회의에서 통화정책 스탠스를 다시 한번 고려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3월 추가 부양 가능성을 언급했다.연준은 지난해말 9년여 만에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한 후 올해 4번 더 올리겠다는 입장이지만 이와 달리 시장은 연간 2차례 인상 정도만을 예상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연준은 다음주인 26-2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개최하며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은 오는 2월10-11일 미국 의회에서 미경제와 통화정책에 대해서 증언할 예정이다.국제 유가도 상승했다. 저가 매수세가 유입된 데다, 리비아 교전으로 중동 지역 지정학적 위기감이 커진 영향이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3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 가격은 전날보다 4.2% 상승한 배럴당 29.53달러를 기록했다.온라인 일간스포츠'다우 0.74% 상승 마감' 2016.01.22 11:25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