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국정농단 사태'로 얼룩진 전경련, 쇄신 외쳤지만 김병준 직무대행 '정경유착' 논란
‘국정농단 사태’로 위상이 떨어진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정경유착 고리’를 끊는 등 쇄신을 다짐했다. 국정농단은 삼성과 SK, 현대차, LG 등 국내 4대 그룹의 전경련 탈퇴를 불러온 사태였다. 김병준 전경련 회장 직무대행은 23일 박근혜 정부 국정농단 사태 등에서 전경련이 비판받은 이유가 된 정경유착의 고리를 끊어내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김 직무대행은 이날 전경련 총회에서 이달 임기 만료인 허창수 회장을 대신해 회장 직무대행으로 공식 선출됐다. 김 직무대행은 지난 대선에서 윤석열 후보 캠프에 몸담았다.김 자신의 정치적 경력이 전경련에서 정경유착 논란을 불러올 수 있지 않느냐는 질문을 받았다. 이에 그는 "나는 스스로 정치인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데 누가 '전형적 정치인'이라고 하더라"며 "나는 대학에서 34년간 봉직한 학자이고, 학자로서 사회에서 필요할 때마다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이어 "전경련에서 나에게 이런 일을 해달라고 한 이유가 대통령과의 관계 등을 보고 한 게 아니라 내가 갖고 있는 자유민주주의와 자유시장경제에 관한 소신과 철학을 본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자유시장경제의 가장 기본은 소위 유착의 고리를 끊는 데서 시작한다"고 했다.김 직무대행은 다만 자신의 정치적 경력을 부정하거나 부끄러워하지는 않는다면서 "나름 우리 사회에서 할일을 했다고 생각하고 자랑스럽게 여긴다"고 말했다. 그는 "이게 정경유착이라고 하면 나는 그 고리를 끊자고 왔지 고리를 단단하게 하려고 온 게 아니다"라고 강조했다.이날 전경련은 국민 간 소통 강화 등을 포함한 '뉴 웨이' 구상이 발표했다. 김 직무대행은 "일반 시민의 의식수준과 소비자 권리의식이 매우 높아져 대기업이든 중소기업이든 지금은 국민과 소통하지 않으면 존립할 수 없다"며 "성공을 이룬 기업들이 젊은 세대와 대화하고 토론하면서 기업의 사회적 기여 부분에 지금보다 좀 더 관심을 갖고 참여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그는 정식 회장이 아닌 직무대행으로 전경련에 참여하게 된 이유에 대해 "나는 비상시국에 들어왔지만 전경련의 주인은 여전히 기업들이라 생각한다"며 "전경련이 정상화되고, 하루라도 빨리 내가 돌아가고 기업인들이 직접 운영하는 게 맞다고 생각해, 회장보다는 직무대행이 옳다고 본다"고 답했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3.02.23 14: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