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737건
메이저리그

‘지명타자 그만’ NYY 스탠튼, 2년 만에 외야수로 출전 전망

미국 메이저리그(MLB) 뉴욕 양키스 지안카를로 스탠튼(36)이 2년 만에 외야수로 복귀할 전망이다.9일(한국시간) 미국 매체 ESPN은 이날 휴스턴 애스트로스와의 정규리그 경기를 앞둔 애런 분 뉴욕 감독의 발언을 조명했다.눈길을 끈 대목은 스탠튼의 외야수 출전과 관련한 내용이었다. 지명타자인 스탠튼은 이날을 포함해 3경기 연속 선발에서 제외됐다. 오른 팔꿈치 염좌에서 회복 중인 애런 저지가 지명타자 자리를 차지한 탓이다. 하지만 분 감독은 “내일(9일) 스탠튼을 볼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지명타자가 아닌, 외야수 출전을 예고한 것이다.ESPN에 따르면 스탠튼이 마지막으로 외야수로 출전한 건 지난 2023년 9월 14일 보스턴 레드삭스와의 원정 경기였다.양키스타디움에서의 경기로 범위를 좁힌다면 같은 해 9월 9일 밀워키 브루워스전이었다. 무려 2년 만에 외야수로 출전할 가능성이 제기된다.강타자 스탠튼이 최근 지명타자로만 출전한 건 고질적인 부상 여파다. 매체는 “스탠튼은 시즌 첫 70경기를 양 팔꿈치 건 염증으로 결장한 뒤, 지명타자로 32경기에 선발 출전했다. 저지가 부상에서 복귀한 이후 유일한 출전은 화요일 9회 대타로 나와 병살타를 친 것”이라고 돌아봤다.분 감독은 스탠튼에 대해 “그는 항상 좋은 외야수”라며 “범위가 당연히 제한되겠지만, 필요한 플레이는 해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스탠튼이 건강함을 유지할 수 있을지가 관심사다. 스탠튼은 지난 2017년 12월 마이애미 말린스를 떠나 뉴욕에 트레이드됐는데, 이후 단일 시즌 중 단 한 차례도 외야수로 72경기 이상을 소화한 적이 없다. 2022시즌 이후 외야수 출전 경기는 단 71경기. 고질적인 부상으로 인해 풀 시즌을 소화한 적도 없다. 그는 2019시즌 이후 뉴욕의 940경기 중 364경기를 결장했다. 2019년 이두근, 오른 무릎 후방십자인대 부상, 2020년 햄스트링, 2021년 왼쪽 대퇴사두근, 2022년 오른 발목과 왼 아킬레스건염 등 각종 부상이 문제였다. 지난 2년 역시 왼 햄스트링 부상으로 자주 전열에서 이탈한 아픔이 있다.한편 올 시즌 스탠튼은 8일까지 37경기 타율 0.268 10홈런 28타점을 기록 중이다.김우중 기자 2025.08.09 08:15
메이저리그

저지가 11일 만에 돌아왔다, '위기의 양키스' 4연패 탈출 이끌까

팔꿈치 부상을 당한 애런 저지(33⋅뉴욕 양키스)가 돌아왔다. 저지는 6일(한국시간) 미국 텍사스 알링턴의 글로브 라이프 필드에서 열리는 텍사스 레인저스와 원정 경기에 3번 지명타자로 출장한다. 저지가 선발 명단에 이름을 올린 건 지난 26일 필라델피아 필리스전 이후 11일 만이다. 저지는 지난 23일 토론토 블루제이스전에서 오른 팔꿈치 통증을 느겼고, 28일 열흘짜리 부상자 명단(IL)에 등재됐다. 지난 4일부터 타격 연습을 재개, 전날(5일) 팀에 합류했다. 양키스는 팀 창단 후 처음으로 마이애미 말린스에 스윕을 당하는 등 최근 4연패로 부진하다. 현재 아메리칸리그(AL) 동부지구 선두 토론토에 5.5경기 차 뒤진 3위에 처져 있다. 양키스는 저지의 합류로 반등을 희망하고 있다. 저지는 올 시즌 103경기에서 타율 0.342 37홈런 85타점 OPS(출루율+장타율) 1.160으로 맹활약을 선보이고 있다. 저지는 당분간 지명타자로 출전하다가 휴스턴 애스트로스와 주말 홈 경기에를 통해 외야 수비에 나설 전망이다. 한편 저지가 자리를 비운 사이 AL '홈런 1위' 칼 롤리(시애틀 매리너스)는 시즌 42홈런으로 추격권에서 좀 더 달아났다. 이형석 기자 2025.08.06 09:17
메이저리그

'또 ,터졌다' 42호 홈런 롤리, 역대 스위치히터 포수 시즌 기록…2022년 저지도 보인다

메이저리그(MLB) 홈런 1위 칼 롤리(29·시애틀 매리너스)가 시즌 42번째 대포를 터트렸다.롤리는 1일(한국시간) 미국 워싱턴주 T-모바일 파크에서 열린 텍사스 레인저스와의 홈 경기에 2번 타자·포수로 선발 출전, 4타수 1안타(1홈런) 1득점 1타점을 기록했다. 안타 하나가 홈런이었다. 2-0으로 앞선 5회 말 1사 주자 없는 상황에서 타석에 들어선 롤리는 텍사스 오른손 선발 쿠마 로커의 2구째 96.3마일(154.9㎞/h) 포심 패스트볼을 잡아당겨 오른쪽 펜스를 넘겼다. 비거리 364피트(110.9m).4경기 만에 홈런포를 재가동한 롤리는 시즌 홈런은 42개까지 늘려 MLB 홈런 1위(2위 오타니 쇼헤이·38개)를 질주했다. MLB 공식 홈페이지 MLB닷컴은 '롤리가 1996년 토드 헌들리를 넘어서며 MLB 역사상 스위치히터 포수 한 시즌 최다 홈런 기록을 세웠다'라고 전했다. 롤리는 2021년 살바도르 페레스(캔자스시티 로열스)가 세운 포수 한 시즌 최다 홈런인 48개에 근접한 상황. 그뿐만 아니라 2022년 애런 저지(뉴욕 양키스)가 세운 아메리칸리그(AL) 한 시즌 최다 홈런인 62개를 넘어설 수 있을지가 초미의 관심사다. MLB닷컴은 '저지는 그 시즌 롤리와 같은 날짜에 42호 홈런을 쳤다'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한편, 이날 롤리의 활약을 앞세운 시애틀은 6-0으로 승리, AL 서부지구 2위(58승 52패, 승률 0.527)를 기록했다. 지구 선두 휴스턴 애스트로스(62승 47패, 승률 0.569)와의 승차는 4.5경기이다.배중현 기자 bjh1025@edaily.co.kr 2025.08.01 17:36
메이저리그

'통산 312홈런' 수아레스, 시애틀로 트레이드…MLB 홈런 1위 롤리와 만난다

올 시즌 메이저리그(MLB) 이적시장 최대어로 평가받은 거포 내야수 에우제니오 수아레스(34)가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를 떠나 시애틀 매리너스 유니폼을 입는다.31일(한국시간) MLB 공식 홈페이지 MLB닷컴에 따르면 애리조나는 수아레스를 보내고 시애틀 유망주 3명(타일러 로클리어·헌터 크랜턴·후안 부르고스)을 받는 1대3 트레이드에 합의했다. 로클리어는 시애틀 팀 내 유망주 9위, 오른손 투수 크랜턴과 부르고스는 각각 16위와 17위였다. 아메리칸리그(AL) 서부지구 2위 시애틀은 지구 선두 휴스턴 애스트로스를 5경기 차로 추격하는 상황. 타선 보강에 포커스를 맞춰 지난 25일 애리조나에서 내야수 조시 네일러를 트레이드로 영입한 데 이어 다시 한번 애리조나와 빅딜을 단행했다. 내셔널리그(NL) 서부지구 4위 애리조나는 사실상 시즌 포기 모드. 수아레스는 올 시즌 106경기에 출전, 타율 0.248(387타수 96안타) 36홈런 87타점을 기록 중이다. NL 홈런 2위, 타점 1위에 오를 정도로 애리조나의 중심 타자로 맹위를 떨쳤다. 지난 4월 27일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전에서는 MLB 역대 19번째로 '한 경기 4홈런'을 폭발시키기도 했다. 통산 홈런이 무려 312개(현역 12위). 2022~23시즌 시애틀에서 이미 뛰어본 경험이 있는 '매리너스 경력자'이기도 하다.특히 이번 이적이 더욱 눈길을 끄는 건 칼 롤리와의 시너지 효과 때문이다. 시애틀 중심 타자인 롤리는 MLB 홈런 전체 1위를 질주할 정도로 엄청난 파괴력을 자랑한다. 올해 리그 홈런 톱5(롤리·오타니 쇼헤이·애런 저지·카일 슈와버·수아레스) 중 두 명의 선수를 보유하게 되면서 시애틀 타선의 짜임새는 더욱 탄탄해졌다.배중현 기자 bjh1025@edaily.co.kr 2025.07.31 14:32
메이저리그

MLB 홈런 1위 롤리 어디까지? 2022년 저지 62홈런 페이스 넘었다

칼 롤리(28·시애틀 매리너스)가 이틀 연속 대포를 가동하며 오타니 쇼헤이(LA 다저스) 애런 저지(뉴욕 양키스) 등 경쟁자와 격차를 벌려가고 있다. 롤리는 28일(한국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 에인절 스타디움에서 열린 미국 메이저리그(MLB) LA 에인절스와 원정 경기에 3번 타자 포수로 선발 출장해 팀이 0-4로 뒤진 7회 초 솔로 홈런을 터뜨렸다. 롤리는 카일 헨드릭스의 싱커를 공략해 가운데 담장을 넘기는 비거리 128.3m의 솔로 홈런을 쳤다. 타구 속도170.2㎞의 빠른 타구였다. 롤리의 홈런으로 시애틀은 1-4로 져 영봉패를 면했다. 롤리는 이날 시즌 41호 홈런으로 MLB 홈런 선두를 질주했다. 홈런 2위 오타니(38개)와 3개 차이다. 특히 아메리칸리그(AL) 홈런 2위이자 AL 가장 가력한 최우수선수(MVP) 후보인 저지(37개)는 팔꿈치 부상으로 열흘짜리 부상자 명단(IL)에 올라 있다. 다행히도 큰 부상을 피했지만 복귀하더라도 당분간 부상 여파를 겪을 수밖에 없다. 롤리가 이 기간에 저지와 격차를 더 벌린다면 홈런왕 경쟁에서 더욱 유리한 고지를 정복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저지가 MVP 경쟁에서 앞섰지만, 롤리가 격차를 좁힌다면 시즌 막판 더욱 뜨거운 경쟁이 점쳐진다. 빅리그 5년 차 롤리는 올해 장타력이 폭발하고 있다. 자신의 한 시즌 최다 홈런(2024년 34개) 기록을 일찌감치 경신했다. 올스타 홈런 더비에선 포수로는 최초로 우승하는 새 역사를 썼다. 포수로는 MLB 역대 7번째 40홈런 고지를 밟았는데, 7월 안에 40홈런을 달성한 포수 및 스위치히터는 그가 처음이다. 롤리는 이런 페이스를 이어가면 2021년 살바도르 페레스가 세운 포수 단일 시즌 홈런 기록(48개) 경신뿐 아니라, 2022년 저지가 달성한 아메리칸리그(AL) 단일 시즌 홈런 기록(62개)도 넘볼 수 있다. 롤리는 산술적으로 62.6개 홈런을 칠 수 있다. 이형석 기자 2025.07.28 14:34
메이저리그

미래 홈런왕 커츠·타격왕 윌슨...애슬레틱스 야구팬 설렘 안기는 '미남 듀오' [AI 스포츠]

메이저리그(MLB) '만년 하위권' 애슬레틱스 팬들은 올 시즌 설렘이 가득하다. 스타성을 갖춘 1·2년 차 제이컵 윌슨(23)과 닉 커츠(22)가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커츠는 지난 26일(한국시간)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 다이킨파크에서 열린 2025 메이저리그(MLB) 휴스턴 애스트로스와의 원정 경기에서 신인 선수 최초로 한 경기 4홈런을 쳤다. 지난해 신인 드래프트에서 전체 4순위로 지명된 그는 불과 1년 만에 빅리그에 올랐고, 올 시즌 주전 1루수로 올라섰다. 25일까지 19홈런을 친 26일 휴스턴전에서 홈런 4개를 추가하며 23홈런을 쌓았다. 이날 남긴 기록은 6타수 6안타 8타점. 루타는 2002년 숀 그린 이후 한 경기 최다 루타 타이기록이었다. 커츠가 등장하기 전 애슬레틱스에서 가장 주목받은 젊은 선수는 윌슨이었다. 그는 6월까지 타율 0.339를 기록하며 '슈퍼스타' 애런 저지(뉴욕 양키스)에 이어 아메리칸리그(AL) 타율 부문 2위를 지켰다. 7월 이후 주춤했지만 여전히 3할 타율을 유지하고 있다. 커츠와 윌슨 모두 20대 초반 1·2년 차 신성이다. 준수한 외모로도 주목받고 있다. 애슬레틱스는 여전히 지구(아메리칸리그 서브) 최하위지만 젊은 선수 성장 보폭이 넓어 팬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안희수 기자 anheesoo@edaily.co.kr 2025.07.28 11:14
메이저리그

저지 부상, 오타니 맹추격...롤리 40호 홈런 포수·스위치히터 새 역사

시애틀 매리너스 포수 칼 롤리(28)가 올 시즌 가장 먼저 시즌 40호 홈런 고지를 밟았다.롤리는 27일(한국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 에인절 스타디움에서 열린 LA 에인절스와 원정 경기에 3번 지명타자로 출전해 6회 초 결승 솔로 홈런을 터뜨렸다.롤리는 바뀐 투수 호세 페르민의 시속 156.1㎞ 포심 패스트볼을 잡아당겨 우측 담장을 넘기는 비거리 126.8m의 솔로 홈런을 만들었다. 타구 속도가 무려 182.7㎞였다. 롤리는 시즌 40호 홈런으로 MLB 홈런 선두를 유지했다. 최근 7경기에서 홈런 6개를 몰아친 부문 2위 오타니 쇼헤이(LA 다저스·38개)와 2개 차이다. 롤리는 포수로는 MLB 역대 7번째 40홈런 고지를 밟은 선수가 됐다. 특히 7월 내에 40홈런을 달성한 포수 및 스위치히터로는 그가 처음이다. 롤리는 켄 그리피 주니어, 알렉스 로드리게스등에 이어 시애틀 선수로는 역대 5번째로 40홈런을 달성한 것에 대해 "정말 훌륭한 최괴의 선수들이다. 나도 같은 그룹에 이름을 올려 정말 멋지고 영광스럽다"며 "내가 어디까지 갈 수있을 지 노력하겠다"라고 다짐했다. 롤리는 일찌감치 자신의 한 시즌 최다 홈런(2024년 34개) 기록을 경신했고 올스타 홈런 더비에선 포수로는 최초로 우승하는 새 역사를 썼다. 이런 페이스를 이어가면 2021년 살바도르 페레스가 세운 포수 단일 시즌 홈런 기록(48개) 경신뿐 아니라, 2022년 저지가 달성한 아메리칸리그(AL) 단일 시즌 홈런 기록(62개)도 넘볼 수 있다. 반면 MLB 홈런 3위 뉴욕 양키스의 애런 저지(37개)는 팔꿈치 부상으로 열흘짜리 부상자 명단(IL)에 올라 홈런 레이스에서 잠시 자리를 비우게 됐다. 이형석 기자 2025.07.27 16:21
메이저리그

'UCL 파열 피했다' 최악은 아닌 저지의 팔꿈치, 타이틀 경쟁은 지각변동 불가피…양키스도 초비상

홈런왕 애런 저지(33·뉴욕 양키스)가 최악의 부상은 피한 것으로 알려졌다.메이저리그(MLB) 공식 홈페이지 MLB닷컴에 따르면 애런 분 양키스 감독은 이날 필라델피아 필리스에 4-9로 패한 뒤 저지의 부상 소식을 전했다. 현지 매체를 종합하면 저지는 현재 오른 팔꿈치 염좌로 10일짜리 부상자명단(IL)에 오를 예정이다. 타율 0.342(129안타) 37홈런 85타점을 기록 중인 저지의 이탈은 작지 않은 변수. 관심이 쏠리는 건 '복귀 시점'이다.불행 중 다행인 건 팔꿈치 인대 파열을 비롯한 심각한 부상 징후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만약 척골 측부 인대(UCL) 손상이라도 확인되면 수술과 장기 공백을 피하기 어렵다. 저지는 일단 휴식에 집중하고 복귀한 뒤에는 지명타자로 뛸 계획. 야후스포츠는 '저지의 문제가 되는 부위는 팔꿈치 안쪽의 굴곡근으로 척골 측부 인대에 대한 일종의 쿠션 역할을 한다. 휴식과 재활 없는 굴곡근 손상은 UCL 파열로 이어질 수 있다. 최근 몇 년간 제이콥 디그롬, 워커 뷸러 같은 여러 투수가 이 같은 상황을 겪었다'며 '저지가 야수라는 걸 고려하면 수술 위험은 전반적으로 다소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전망했다. 양키스는 3연패 포함 최근 10경기 성적이 3승 7패에 머문다. 아메리칸리그 동부지구 2위(56승 48패)로 선두 토론토 블루제이스(63승 42패)와의 승차가 6.5경기까지 벌어졌다. 아울러 저지의 부상으로 MLB 개인 타이틀 경에도 지각변동이 불가피해졌다. 저지는 최다안타 1위, 홈런 3위, 타점 2위, 득점 2위, 타율·출루율·장타율 1위. 오타니 쇼헤이(LA 다저스) 칼 롤리(시애틀 매리너스) 등과 함께 치열하게 경합 중이었는데 갑작스러운 부상에 발목이 잡혔다.배중현 기자 bjh1025@edaily.co.kr 2025.07.27 14:09
메이저리그

저지 팔꿈치 통증 IL행, 애런 분 감독 "복귀 시 당분간 지명타자로만"

뉴욕 양키스(33)의 애런 저지가 오른 팔꿈치 통증으로 잠시 쉬어 간다. 애런 분 양키스 감독은 27일(한국시간) "애런 저지(33)가 오른 팔꿈치 부상으로 10일간 부상자 명단(IL)에 오를 것"이라고 밝혔다. 저지는 이날 홈에서 열린 필라델피아 필리스전에 결장했다. 저지는 지난 23일 토론토 블루제이스전에서 7회 말 수비 도중 타구를 처리한 뒤 내야로 송구하는 과정에서 통증을 느낀 것으로 전해진다. 이후 24일 경기에는 나온 저지는 25일 경기에 출장하지 않았지만 팔꿈치 상태는 나아지지 않았다. 분 감독은 "다행히도 검사 결과 측부인대(UCL)에는 이상이 없다"라고 밝혔다. 이어 "저지가 열흘 뒤 돌아오면 팔꿈치의 부담을 고려해 당분간 지명타자로 기용할 방침을 밝혔다. 저지는 올 시즌 103경기에 출장해 타율 0.342 37홈런 85타점 OPS(출루율+장타율) 1.160을 기록하고 있다. 한편 아마리칸리그(AL) 동부지구 2위 양키스는 이날 4-9로 졌고, 최근 10경기에서 3승 7패로 부진하다. 이형석 기자 2025.07.27 08:07
메이저리그

롤리, 4년 만에 '포수 홈런왕' 겨냥...오타니는 투타니 모드로 2년 연속 50홈런 도전 [AI 스포츠]

슈퍼스타 오타니 쇼헤이(LA 다저스) 애런 저지(뉴욕 양키스) 그리고 '거포 포수' 칼 롤리(시애틀 매리너스)가 메이저리그(MLB) 홈런왕 경쟁을 달구고 있다. 24일 기준으로 MLB 홈런 1위는 39개를 기록한 칼 롤리다. 2023시즌 30홈런을 치며 장타력을 인정받은 롤리는 2024시즌 34홈런을 기록했고, 올 시즌은 99경기 만에 39개를 채웠다. 2021시즌 48홈런을 기록한 살바로르 페레즈(캔자스시티 로열스)에 이어 4년 만에 '포수 홈런왕'을 노린다. 지난 시즌 내셔널리그 홈런왕 오타니(54개), 아메리칸리그 홈런왕 저지(58개)는 나란히 37개를 기록했다. 저지는 5월 11개, 6월 9개, 7월 7개를 기록하며 꾸준한 생산 페이스를 보여줬다. 7월에는 홈런 침묵이 4경기 이상 벌어지지 않았다. 오타니는 '몰아치기'가 돋보인다. 투수로 복귀한 6월 중순 이후 타격감이 크게 떨어졌다는 평가가 있었다. 7월 2일 시카고 화이트삭스전 홈런 이후 6경기 연속 침묵하기도 했다. 하지만 오타니는 20일 밀워키 브루어스전부터 24일 미네소타 트윈스전까지 5경기 연속 홈런을 치며 '연속 경기 홈런' 부문 커리어하이, 다저스 소속 선수 역대 타이기록을 세웠다. 이 부문 MLB 기록은 8경기다. 오타니는 26일 보스턴 레드삭스와의 인터리그 경기에서 6경기 연속 홈런을 노린다. '각성' 모드를 켠 롤리와 현역 최고 거포인 오타니·저지의 MLB 전체 홈런왕 경쟁은 이제부터 시작이다. 여기에 에우제니오 수아레즈(36개·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카일 슈와버(34개·필라델피아 필리스)도 최상위 그룹과 엎치락뒤치락 하고 있다. 롤리가 페이스대로 가장 먼저 40홈런 고지에 오를까. 오타니가 투수를 겸업하면서도 50홈런 고지를 정복할 수 있을까. 저지가 2022시즌에 이어 두 번째로 60홈런 고지를 밟을 수 있을까. MLB팬 시선이 모인다. 안희수 기자 2025.07.25 09:38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