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74건
스포츠일반

알파인스키 간판 정동현, 3위에서 2차 시기 반등…남자 회전 은메달 [하얼빈 AG]

한국 알파인스키의 간판 정동현(37·하이원리조트)이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AG) 회전 종목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정동현은 9일 중국 야부리 스키리조트에서 열린 대회 남자 회전에서 1·2차 시기 합계 1분 29초 09를 기록, 일본의 고야마 다카유키(1분 28초 12)에 이어 2위에 올랐다. 이로써 2017년 삿포로 대회 남자 회전 우승자인 정동현의 AG 통산 메달은 4개(금2·은1·동1)로 늘어났다.정동현은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남자 회전 21위를 차지하며 1994년 릴레함메르 대회에서 허승욱이 달성한 동계올림픽 알파인 스키 한국 선수 최고 순위와 동률을 이뤘다. 이번 시즌 국제스키연맹(FIS) 극동컵 회전 종목 3승을 거두며 이번 대회 강력한 금메달 후보로 꼽혔다.이날 정동현은 1차 시기에서 45초 01의 기록으로 가마다 네오(일본·44초 74) 고야마(44초 83)에 이어 3위에 자리했다. 이어 2차 시기에서 전체 2위에 해당하는 44초 08을 기록, 합계 2위로 올라서며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고야마는 2차 시기에서 출전 선수 중 가장 좋은 43초 29로 역전 우승의 발판을 마련했다. 동메달은 합계 1분 29초 25를 기록한 가마다의 몫이었다. 배중현 기자 bjh1025@edaily.co.kr 2025.02.09 14:47
스포츠일반

‘팀 코리아’ 선수단 본진, 하얼빈 입성 [하얼빈 AG]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AG)에 나서는 한국 선수단이 중국 하얼빈 땅을 밟았다.4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최홍훈 선수단장(대한스키·스노보드협회장)이 이끄는 우리나라 선수단 본진은 4일 오후 타이핑 국제공항을 통해 하얼빈에 도착했다.이날 하얼빈에 입성한 본진은 대한체육회 본부 임원 16명과 크로스컨트리 대표팀 13명을 합한 29명이다.제9회 하얼빈 대회는 지난 2017년 일본 삿포로 대회 이후 8년 만에 열린다. 오는 7일 오후 9시(한국시간) 하얼빈 국제 컨벤션 전시 스포츠센터에서 열리는 개회식을 시작으로 14일까지 진행된다.한국 선수단은 지난 1일 아이스하키를 시작으로 2일 쇼트트랙과 컬링 믹스더블, 3일엔 스피드스케이팅 등이 먼저 하얼빈에 들어왔다. 4일 오전 필리핀과의 컬링 믹스더블 라운드로빈 1차전으로 경기 일정을 시작했다.오는 5일에는 알파인스키, 스노보드, 프리스타일 스키 대표팀이 차례로 입국할 예정이다.하얼빈 AG에는 34개국 1천300여명의 선수가 참가한다. 빙상, 스키, 컬링, 아이스하키, 바이애슬론, 산악스키 6개 종목의 11개 세부 종목에 총 64개의 금메달이 달려 있다.한국은 지난 2017 삿포로 대회 때 금메달 16개, 은메달 18개, 동메달 16개로 종합 2위에 오른 바 있다. 이번 대회에는 6개 종목 222명(선수 148명·경기 임원 52명·본부 임원 22명)의 선수단을 꾸렸다. 개회식에선 아이스하키의 이총민(블루밍턴 바이슨스)과 컬링의 김은지(경기도청)가 기수를 맡는다.오는 5∼6일엔 컬링 믹스더블 라운드로빈과 아이스하키 조별리그 경기가 이어진다. 개막일인 7일부터 쇼트트랙 경기가 펼쳐진다. 본격적인 메달 경쟁은 8일부터 시작된다.김우중 기자 2025.02.04 15:27
스포츠일반

아이스하키 이총민·컬링 김은지, 하얼빈 AG 개회식 기수로

아이스하키 국가대표 이총민(블루밍턴 바이슨스)과 컬링 국가대표 김은지(경기도청)가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AG) 한국 선수단 기수로 나선다.4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대한체육회는 선수단 본단이 결전지인 중국 하얼빈으로 향한 이들을 개회식 선수단 기수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이총민은 지난 시즌 신인으로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 최우수선수에 오른 한국 남자 대표팀 공격 간판이다.김은지는 이번 대회 금메달 후보로 꼽히는 컬링 여자 대표팀의 스킵을 맡고 있다. 팀의 맏언니이자 주장이다.지난 2017년 삿포로 AG 때는 알파인스키 간판 정동현, 2011년 알마티 AG 땐 아이스하키 박우상이 기수를 맡은 바 있다.2017년 일본 삿포로 대회 이후 8년 만에 열리는 동계 아시안게임인 제9회 하얼빈 대회는 오는 7일 하얼빈 국제 컨벤션 전시 스포츠센터에서 열리는 개회식을 통해 막을 올린다.김우중 기자 2025.02.04 12:30
스포츠일반

‘40세’ 린지 본, 6년 만의 월드컵 복귀전 ‘14위’…“긴장감 느껴 좋았다”

린지 본(40·미국)이 6년 만에 출전한 국제스키연맹(FIS) 월드컵 복귀전을 14위로 마무리했다.본은 21일(현지시간) 스위스 생모리츠에서 열린 2024~25 FIS 월드컵 알파인 여자 슈퍼대회전에서 1분16초36을 기록, 출전 선수 57명 중 14위에 올랐다. 1위 코넬리아 휘터(오스트리아·1분15초18)과 1.18초 차이가 났다.월드컵 통산 82승을 수확한 본은 2019년 2월 은퇴했다가 올해 현역 복귀를 선언했다. FIS 월드컵은 2019년 1월 이후 5년 11개월 만의 출전이었다.본은 “오랜만에 산에 맞서는 긴장감을 느껴 좋았다. 출발이 아주 좋았고, 오늘 긴장을 한 번 했기에 내일은 더 좋아질 것”이라고 소감을 전했다.본은 22일 같은 장소에서 열리는 슈퍼대회전 월드컵에도 나설 예정이다.김희웅 기자 2024.12.22 05:33
스포츠일반

‘1984년생’ 스키 여제 본, 알파인 스키 월드컵 나선다

‘스키 여제’ 린지 본(미국)이 국제스키연맹(FIS) 월드컵 무대에 선다.AP통신은 “본이 21일 스위스에서 열리는 FIS 알파인 월드컵 여자 슈퍼 대회전 경기에 출전한다”고 14일 보도했다.살아있는 전설인 본은 2019년 초 은퇴했다. 올해 4월 무릎 수술을 받은 그는 현역 복귀를 준비, 이달 초 미국 콜로라도주 코퍼 마운틴에서 열린 FIS컵 대회를 통해 6년 만에 공식 대회에 나섰다.현역 시절 월드컵 대회에서 82차례 우승을 차지한 본은 21일 스위스 생모리츠에서 열리는 FIS 월드컵 여자 슈퍼 대회전 경기에 나설 전망이다.본은 월드컵 대회에서 수확한 82승 중 5승을 생모리츠에서 챙겼다.그가 월드컵 대회에 출전한 것은 2019년 1월 이탈리아 코르티나담페초 대회가 마지막이다.김희웅 기자 2024.12.14 15:15
스포츠일반

‘스키 여제’ 본, 은퇴 후 5년 만에 복귀전 “꽤 괜찮은 시작”

미국의 '스키 여제' 린지 본(40)이 5년 만의 복귀전에서 20위권 성적을 기록했다.본은 8일(한국시간) 미국 콜로라도주 코퍼 마운틴에서 열린 2024~25 국제스키연맹(FIS)컵 알파인 여자 활강 경기에서 복귀전을 소화했다.본은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활강 금메달리스트다. 지난 2019년 은퇴했는데, 이날 공식전에 나섰다. 이날 전까지 그의 마지막 공식전은 2019년 2월 월드컵이었다. FIS컵은 월드컵, 대륙컵 다음에 해당하는 등급의 무대다.본은 월드컵에서만 통산 82회 우승을 기록했다. 월드컵에 비해 2계단 낮은 등급의 FIS컵에선 20위권 성적에 머물렀다.다만 다음 주 월드컵 활강 개막전을 앞두고 있어, 상위권 선수들이 실전 감각을 올리려는 차원에서 이 대회에 대거 출전한 것으로 알려졌다.본은 1차 대회에서 1분07초23로 공동 24위에 올랐다. 2차 대회에선 1분07초52로 공동 27위. 선두와 격차는 1차 대회 1.44초, 2차 대회 1.53초가 났다. 본은 지난 4월 무릎 수술 후 마침내 공식전 복귀에 성공했다. 본은 “결과 때문에 주위에서 제 몸 상태가 아직 좋지 않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동의하지 않는다. 장비도 아직 테스트 중인 가운데 훈련 과정의 일환이었다. 꽤 괜찮은 시작이라고 본다”라고 자평했다.김우중 기자 2024.12.08 09:25
스포츠일반

'스키 여제' 시프린, 통산 99번째 우승...역대 최초 100승 눈앞

'스키 여제' 시프린(29·미국)이 스키 역사의 새 이정표를 눈앞에 뒀다. 통산 99번째 우승을 거두면서 사상 첫 100승 고지까지 한 걸음만 남겼다.시프린은 23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구르글에서 열린 2024~25 국제스키연맹(FIS) 알파인 월드컵 여자 회전 경기에서 1·2차 시기 합계 1분 40초 22의 기록으로 1위를 차지했다. 2위 라라 콜투리(알바니아·1분 40초 77)와는 0.55초 차이였다. 지난 16일 핀란드 레비에서 회전 경기 시즌 첫 승을 이뤘던 시프린은 이로써 알파인 스키 월드컵 여자부 2개 대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주목할 건 누적 성적이다. 시프린은 이번 우승으로 월드컵 통산 우승을 99회로 늘렸다. 사상 첫 100승까진 단 1승만을 남겼다.100승의 숫자만 남았을 뿐 시프린은 이미 역대 최고의 우승 커리어를 쌓고 있다. 그는 지난해 3월 잉에마르 스텐마르크(은퇴·스웨덴)의 86승을 뛰어넘은 87번째 우승을 기록, 남녀 통틀어 알파인 스키 월드컵 사상 가장 많은 우승을 기록한 선수가 됐다. 이후에도 빠르게 우승을 쌓아온 덕에 시프린 외엔 90승을 달성한 선수조차 없다. 현역 2위 기록은 스텐마르크와 린지 본 등이 기록한 82승이다.100승 도전은 곧바로 이뤄진다. 시프린은 30일과 다음 달 1일 미국 버몬트주 킬링턴에서 열리는 대회에서 100승에 도전한다. 기록 도전에 대해 시프린은 "압박감은 좀 느끼겠지만, 신경 쓰지 않으려고 노력하겠다. (자국인 미국의) 홈 관중 앞에서 좋은 성적을 낼 수 내기를 바란다"고 기대를 전했다.차승윤 기자 chasy99@edaily.co.kr 2024.11.24 10:30
스포츠일반

알파인 스키 시프린, 월드컵서 통산 98승째

미케일라 시프린(미국)이 국제스키연맹(FIS) 알파인 월드컵에서 통산 98승에 성공했다.시프린은 16일(한국시간) 핀란드 레비에서 열린 2024~25 FIS 알파인 월드컵 여자 회전 경기에서 1, 2차 시기 합계 1분47초20으로 우승했다. 2위 오스트리아의 카타리나 린스베르거(1분47초99)와는 0.79초 차이다.시프린이 이번 시즌 월드컵에서 우승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동시에 자신의 알파인 월드컵 통산 우승 횟수를 98회로 늘렸다. 이는 남녀 선수를 통틀어 최다 우승 기록이다.90승 이상을 거둔 선수는 시프린이 유일하다. 은퇴한 남자 선수 잉에마르 스텐마르크(스웨덴)가 86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 2위다. 최근 현역 복귀를 선언한 린지 본(미국)이 82승으로 뒤를 잇는다.시프린은 이르면 30일과 12월 1일 미국 버몬트주 킬링턴에서 열리는 대회에서 100승을 채울 수 있다.김우중 기자 2024.11.17 08:28
스포츠일반

대한스키협회, 올림픽회관 내 뉴질랜드 사고 추모 공간 설치

대한스키협회가 지난주 뉴질랜드에서 스키 훈련 도중 교통사고로 숨진 국가대표 후보 선수 등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공간을 서울 송파구 올림픽회관 내에 설치했다.대한스키협회는 26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회관 내 3곳에 '온 마음을 다해 애도의 뜻을 전합니다'라는 제목의 추모의 글을 게시하고 고인들의 명복을 기원했다.지난 21일 뉴질랜드 아오라키 지역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로 모 레이싱스쿨 소속 조 모(23) 코치와 알파인 스키 국가대표 후보인 박 모(20·한국체대), 김 모(16·광성고) 선수가 아까운 생명을 잃었다.또 함께 타고 있던 한 모(17·광동고) 선수와 사고 상대 차량 운전자는 의식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이들은 뉴질랜드 현지 훈련을 마치고 산에서 내려오다가 사고를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대한스키협회는 김인호 회장 및 임직원 일동 명의로 된 추모의 글을 통해 "청년의 큰 꿈을 미처 다 피우지도 못한 채 타지에서 사고를 당한 고인들의 명복을 빌며 중상을 입은 선수의 빠른 회복을 간절히 기원합니다"라며 "협회 임직원들과 모든 스키인은 사태가 수습되도록 힘을 모을 것이며 깊은 애도의 마음을 전합니다"라고 밝혔다.안희수 기자 2024.08.26 15:59
프로야구

[포토] '롯데팬' 알파인스키 국가대표 김소희, 투구판 뒤에서 노바운드 시구

알파인스키 국가대표 김소희(28·하이원 스포츠단)가 영호대제전 3차전에 시구자로 나서 시원한 투구를 보여줬다. 롯데 자이언츠팬으로 알려진 김소희는 27일 부산 사직구장에서 열린 2024 KBO리그 롯데와 KIA 타이거즈의 주중 3연전 3차전에 시구자로 나서 마운드에 올랐다. 그는 "시구자로 나서게 돼 영광이다. 선수들이 다치지 않고, 롯데가 꼭 승리하길 바란다"라고 했다. 마운드에 오른 그는 투구판보다 뒤에서 공을 던졌고, 바운드 없이 포수 미트에 보내 박수를 받았다. 김소희는 국가대표로 2014 소치 동계 올림픽, 2017 삿포로 동계 아시안게임,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2022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 국가대표 나선 바 있다. 안희수 기자 anheesoo@edaily.co.kr 2024.06.27 19:47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