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7건
산업

M&A 급감에도 ‘위기는 곧 기회’ 강조하는 기업은

글로벌 시장 불안과 내수 침체 등으로 최근 3년 간 기업들의 인수·합병(M&A)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투자를 지양하고 내실을 다져온 기업들이 내년에는 영토 확장의 기회를 잡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22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3분기 보고서를 제출한 기업 361곳을 대상으로 최근 3년간 M&A 현황을 조사한 결과, 올해 국내 대기업의 M&A 투자 규모가 40% 가까이 급감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13일 기준 올해 M&A 투자 규모는 총 8조5808억원으로 전년(14조1297억원) 대비 39.3% 감소했다.올해 완료된 M&A 건수는 총 50건으로, 전년(87건) 대비 42.5% 급감했다. 2022년 M&A 건수(150건)와 비교하면 3분의 1 수준이다.올해 1조원 이상 대형 M&A는 대한항공의 아시아나 인수가 유일할 정도로 주요 대기업은 M&A 투자에 몸을 사렸다.특히 2022년 15건, 2023년 8건 등 그간 공격적 M&A를 통해 영토를 확장했던 카카오는 올해는 테인스밸리 인수 1건에 그쳤다.2022년 7건, 2023년 6건으로 사업 확장에 주안점을 둬온 SK그룹 역시 올해는 M&A보다 ‘리밸런싱’에 초점을 맞춰 사업을 영위해 왔다. 네이버(2022년 6건, 2023년 3건) 역시 올해는 눈에 띄는 M&A를 추진하지 않았다. 유일한 대규모 M&A는 대한항공의 아시아나 인수였다. 대한항공은 아시아나의 인수 공시 후 4년 만에 기업 결합 최종 승인을 받으면서 지난 11일 신주 인수 대금 잔금 8000억원을 마지막으로 총 1조5000억원을 납입해 지분 63.88%를 확보했다. 총 인수금액은 2020년 매입한 전환사채 3000억원을 포함해 1조8000억원이다.항공업계 관계자는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항공 산업에 새로운 지평을 열 것으로 기대되는 M&A다”라고 말했다.한화그룹의 해양 부문 강화 M&A도 눈에 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한화오션과 손잡고 싱가포르 현지 특수목적법인(SPC)을 통해 부유식 해양 설비 전문업체 다이나맥의 지분 95.15%를 8207억원에 인수했다. 이는 한화그룹이 추진하는 글로벌 해양 에너지 사업 확장의 일환이라는 분석이다.이 밖에도 E1이 에너지 사업 다각화에 박차를 가하는 취지에서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를 운영하는 평택에너지서비스를 5943억원에 인수한 바 있다. 또 금융 부문 강화를 위해 이베스트투자증권(현 LS증권)의 지분 60.98%도 확보했다. 화장품 업계에서는 아모레퍼시픽이 코스알엑스의 보유 지분 39.38%에 더해 24만9500주를 6321억원에 추가 매입했다. 이로써 아모레퍼시픽은 내년 4월까지 잔여 주식도 확보해 완전 계열사화를 위한 스텝을 밟았다. LS일렉트릭은 활발히 M&A 행보를 보였다. 총 5건의 인수를 통해 KOC전기(592억원), 티라유텍(385억원) 등을 품에 안으며 전기·전자 부문 사업 역량을 강화했다.M&A 시장에서는 올해는 미적지근했던 기업들의 투자 행보가 내년에는 역동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현재 예정돼 있는 대형 거래로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의 한온시스템 인수, 우리금융지주의 보험사 인수전, 한화시스템-한화오션의 필리 조선소 인수 등이 눈에 띈다.권지예 기자 kwonjiye@edaily.co.kr 2024.12.23 07:00
산업

올해 M&A 규모 1위 대한항공, 2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경기 침체 장기화에 기업들이 몸을 사리고 있는 가운데 올해 국내 대기업의 인수·합병(M&A) 투자 규모가 대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3분기 보고서를 제출한 기업 361곳을 대상으로 최근 3년간 M&A 현황을 조사한 결과, 지난 13일 기준 올해 M&A 투자 규모는 총 8조5808억원으로 전년(14조1297억원) 대비 39.3% 감소했다.올해 완료된 M&A 건수는 총 50건으로, 전년(87건) 대비 42.5% 급감했다. 2022년 M&A 건수(150건)와 비교하면 3분의 1 수준이다.올해 1조원 이상 대형 M&A는 대한항공의 아시아나 인수가 유일했다. 특히 2022년 15건, 2023년 8건 등 그간 공격적 M&A를 통해 영토를 확장했던 카카오는 올해는 테인스밸리 인수 1건에 그쳤다.SK(2022년 7건, 2023년 6건)와 네이버(2022년 6건, 2023년 3건) 역시 올해는 눈에 띄는 M&A를 하지 않았다.올해 가장 큰 M&A는 대한항공의 아시아나 인수다. 대한항공은 아시아나를 인수하겠다고 공시한 후 4년 만에 기업 결합 최종 승인을 받으면서 지난 11일 신주 인수 대금 잔금 8000억원을 마지막으로 총 1조5000억원을 납입해 지분 63.88%를 인수했다. 총 인수금액은 2020년 매입한 전환사채 3000억원을 포함해 1조8000억원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한화오션과 함께 싱가포르 현지 특수목적법인(SPC)을 통해 부유식 해양 설비 전문업체 다이나맥 지분 95.15%를 8207억원에 인수했다. 추후 잔여 지분 취득을 위한 강제매수 절차가 이어질 예정이다.E1은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를 운영하는 평택에너지서비스(지분 100%)를 종속회사 이원평택에너지를 통해 5943억원에 사들였고, 종속회사 LS네트웍스를 통해 이베스트투자증권(현 LS증권) 지분 60.98%를 1299억원에 인수했다. 다만 이베스트투자증권 인수의 경우 LS네트웍스가 재무적 투자자(LP)로 참여했던 사모펀드 청산에 따른 잔여재산 분배 형태여서 별도의 현금 거래대금 지급은 없었다.사조대림은 인그리디언코리아(현 사조씨피케이) 지분 100%를 3954억원에 인수한 데 이어 종속회사 사조씨피케이와 사조오양을 통해 푸디스트 지분 99.86%를 2520억원에 매입했다.아모레퍼시픽은 지분 39.38%를 이미 보유하고 있는 코스알엑스 주식 24만9500주를 6321억원에 추가 취득했고, 내년 4월 중 잔여 주식 4만8000주를 1471억원에 인수해 완전 계열사로 편입할 계획이다.이어 미래에셋증권(5867억원), 오리온(5485억원), 신세계(4700억원), SK케미칼(3563억원), LIG넥스원(3329억원), 유진기업(3199억원) 순으로 M&A 규모가 컸다.조사 대상 기업 가운데 가장 많은 M&A를 진행한 곳은 LS일렉트릭이었다. LS일렉트릭은 KOC전기(592억원), 티라유텍(385억원), 한국이엔엠(108억원), 씨엑스솔루션(18억원), 엘펨스(2억원) 등 총 5곳을 인수했다.이어 E1, 사조대림, SK케미칼, DB손해보험, LX인터내셔널, 티케이지태광 등 6곳이 각각 2건의 M&A를 진행했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33곳이 올해 1건씩 M&A를 진행했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4.12.18 10:21
산업

토끼띠 오너가 주식부호 1위 서경배, 2위 정몽준

토끼띠 최고 주식 부호는 1963년생인 서경배 아모레퍼시픽그룹 회장인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28일 국내 상장사 주식평가액(12월 23일 기준)이 100억원 이상인 토끼띠 주주가 주요 기업 오너가 등을 포함해 60명이라고 밝혔다. 이중 서경배 회장은 아모레퍼시픽 등의 주식 평가 가치가 2조3836억원에 달했다. 1951년생 정몽준 아산재단 이사장은 1조3594억원어치 주식을 보유해 이 부문 2위에 올랐다. 정 이사장은 HD현대 주식을 2101만1330주 갖고 있다. 3위는 1963년생인 김남구 한국투자금융그룹 회장으로 6643억원 가량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 1951년생 구본준 LX그룹 회장이 4012억원으로 4위에 이름을 올렸다. 구본준 회장은 LX홀딩스와 LG 두 곳의 주식을 보유 중이다. 또 김상헌 DN오토모티브 부회장(2216억원), 권원강 교촌그룹 회장(1669억원), 이효근 에스디바이오센서 대표(1447억원), 정기로 APS홀딩스 대표(1424억원), 배종식 월덱스 대표(1048억원) 등이 보유 주식가치가 1000억원 이상을 기록했다. 또 한국CXO연구소가 국내 매출 1000대 상장사의 반기보고서 등을 조사한 결과, 대표이사 직함을 단 최고경영자(CEO) 1350명 중 토끼띠 경영자는 모두 131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 공시 자료에서 밝힌 출생연도를 기준으로 토끼띠 CEO 중에는 내년에 환갑을 맞이하는 1963년생이 103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1975년생 15명, 1951년생 8명, 1939년생 5명 순이었다. 대표적인 1963년생 토끼띠 CEO로는 '반도체 양대산맥' 두 회사를 이끄는 경계현 삼성전자 DS부문장(사장)과 박정호 SK하이닉스 부회장이 있다. 또 1963년생으로 최준영 기아 대표이사, 장석훈 삼성증권 사장, 백정완 대우건설 대표이사, 천정식 E1 대표이사, 정성권 아시아나항공 대표이사, 강계웅 LX하우시스 대표이사, 장동현 SK 부회장, 홍은택 카카오 대표이사 등이 있다. 손연호 경동나비엔 회장, 권오갑 HD현대 회장, 하희조 토비스 대표이사 등은 1951년생, 허준홍 삼양통상 사장, 전승호 대웅제약 사장, 장선우 극동유화 대표이사 등은 1975년생이다. 내년에 만 84세인 1939년생은 손경식 CJ제일제당 대표이사 겸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이 있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2.12.28 14:26
산업

아모레퍼시픽, 아시아나항공과 공동 이벤트 진행

아모레퍼시픽은 휴가철을 맞아 아시아나항공과 함께 공동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25일 밝혔다. '어 모어 뷰티풀 플라이트'라는 콘셉트의 이번 이벤트는 이날부터 다음달 7일까지 2주간 진행된다. 아모레퍼시픽 온라인 공식몰인 '아모레몰'과 오프라인 뷰티라운지인 '아모레성수'를 이용하는 아시아나클럽 회원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아모레몰과 아모레 성수에서 7만원 이상 결제 시 트래블 키트 및 100마일 적립, 유럽노선 할인쿠폰을 증정하며, 12만원 이상 구매 고객에게는 여행용 캐빈파우치와 설화수 베스트 5종 샘플을 비롯 200마일 적립, 유럽노선 할인쿠폰을 제공한다. 이번 이벤트를 위해 별도 제작한 트래블 키트는 설화수, 라네즈, 헤라, 프리메라, 마몽드 등 아모레퍼시픽 대표 브랜드에서 여행에 필요한 모든 아이템을 샘플 크기로 골라 담았다. 아모레퍼시픽과 아시아나항공은 '여행회복 캠페인'도 함께 진행한다. 아모레몰 댓글 이벤트를 통해 여행 재개를 기다리며 보낸 지난 2년간의 이야기를 남긴 고객 중 5명을 추첨해 2만 마일리지를 제공한다. 서지영 기자 seojy@edaily.co.kr 2022.07.25 16:06
경제

대학생 '취업선호 1위' 기업은 CJ…2·3위는 네이버와 삼성전자

올해 대학생들이 가장 취업하고 싶어 하는 기업은 CJ로 나타났다.25일 취업 포털 인크루트에 따르면 최근 구직을 준비하고 있는 전국 대학생 1100명을 대상으로 취업 선호 기업에 관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총 170개 대상 기업 가운데 CJ가 6.2%의 득표율로 1위에 올랐다.네이버(5.7%)가 그 뒤를 이었고 삼성전자·한국전력공사(각 4.6%), 인천국제공항공사(4.4%), 아모레퍼시픽(3.3%), LG·신세계·한국공항공사(각 2.4%), 아시아나항공(2.2%) 등이 '톱10'에 포함됐다.지난해 조사에서 1위였던 포스코는 올해 10위 안에 들지 못했고, 2015·2016년에 선두였던 네이버는 2위를 차지하며 높은 인기를 이어 갔다.2014년 1위였던 대한항공은 2015년 아시아나항공에 밀리더니 지난해에 이어 올해는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인크루트는 조양호 회장 일가 파문 영향이 작용된 것으로 분석했다.인크루트 관계자는 "올해 조사 결과에서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그룹사와 공기업의 도약"이라면서 "CJ그룹의 경우 CJ E&M과 CJ제일제당 등 주요 계열사들이 꾸준히 상위권에 있었으나 CJ가 톱10에 포함된 것은 8년 만에 처음"이라고 설명했다.또 "LG가 처음으로 10위 안에 든 것은 최근 타계한 총수 고 구본무 회장의 생전 일대기와 미담이 전해지면서 그룹사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인크루트는 2004년 이후 15년째 대학생들의 취업 선호 기업에 관한 설문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역대 1위 자리에 가장 많이 선발된 기업은 삼성전자로 2004~2013년 연속 10차례였다. 안민구 기자 an.mingu@jtbc.co.kr 2018.06.25 13:34
경제

대학생 가장 취업하고 싶은 기업 1위 ‘CJ제일제당’

올해 남녀 대학생이 가장 취업하고 싶은 기업을 조사한 결과 ‘CJ제일제당’이 1위를 차지했다.취업포털 잡코리아는 전국 4년제 대학(원)에 재학 및 휴학 중인 남녀 대학생 100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CJ제일제당(13.7%·이하 복수응답)이 가장 취업하고 싶은 기업 1위를 차지했다고 29일 밝혔다.삼성전자는 이 조사를 처음 시작한 2004년 이후 처음 2위로 내려앉았다. 3위는 한국전력공사(12.5%)가 차지했다. 성별에 따라 취업 희망 기업이 크게 달랐다. 남학생이 가장 취업하고 싶은 기업(복수응답)으로는 ‘삼성전자’가 응답률 15.3%로 1위에 올랐다.다음으로 ‘한국전력공사’가 14.9%로 2위를 차지했다. 이외에는 3위 KT (10.1%), 4위 SK텔레콤 (9.7%), 5위 CJ제일제당 (9.0%) 순으로 집계됐다.반면 여학생이 가장 취업하고 싶은 기업 1위는 ‘CJ제일제당’으로 응답률 17.8%로 1위에 올랐다. 작년 조사(여학생 1위)에 이어 2년 연속으로 여학생이 가장 취업하고 싶은 기업 1위를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는 ‘아모레퍼시픽’이 응답률 15.9%로 2위에 올랐다. 이어 3위 아시아나항공 (14.0%), 4위 대한항공(12.3%), 5위 삼성전자 (12.0%) 순으로 집계됐다.올해 여학생 취업 선호 기업 3위, 4위, 5위를 차지한 아사아나항공, 대한항공, 삼성전자는 여전히 여학생들에게 높은 취업선호도를 보였지만 작년보다는 한 단계씩 밀려났고(작년 2위, 3위, 4위), 아모레퍼시픽이 새롭게 순위권에 들면서 취업선호 기업 2위로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전공계열별로도 취업하고 싶은 기업이 다소 차이를 보였다.인문계 대학생들은 가장 취업하고 싶은 기업으로 CJ제일제당(20.4%)을 꼽았고, 이어 아시아나항공(17.6%) 아모레퍼시픽(14.5%) 순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이공계 대학생들은 취업하고 싶은 기업 1위로 한국전력공사(14.9%)를 꼽았고, 이어 삼성전자(14.6%), SK텔레콤(10.4%) 현대자동차(8.5%)에 취업하고 싶다는 대학생이 많았다. 경상계열 대학생들 중에는 ‘삼성전자’과 ‘한국전력공사’에 취업하고 싶다는 대학생이 가 12.6%로 가장 많았고, 이어 아모레퍼시픽(12.1%)과 한국토지주택공사(12.1%)에 취업하고 싶다고 답했다. 예체능계 대학생들은 아모레퍼시픽에 취업하고 싶다는 대학생이 22.3%로 가장 많았고,이어 CJ제일제당(20.4%) 삼성전자(13.6%) 순으로 답했다.안민구 기자 an.mingu@joins.com 2016.07.29 23:00
경제

홈플러스, 동반성장 3년 연속 꼴찌…유통업계 상생경영 ‘빨간불’

홈플러스가 동반성장 평가에서 3년 연속 '꼴찌'를 기록했다. 대상·동원F&B·이랜드 등 다수의 유통 기업도 하위권에 이름을 올려 유통업계의 상생 경영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다는 비판을 면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동반성장위원회가 11일 발표한 '2013년 동반성장지수'에 따르면 총 100개사 가운데 '최우수'가 14개사, '우수'가 36개사, '양호'가 36개사, '보통'이 14개사로 분류됐다. 올해부터 평가등급은 기존 우수-양호-보통-개선에서 최우수-우수-양호-보통으로 변경됐다. 최하위인 '보통' 등급을 받은 기업은 농협유통·대상·동원F&B·르노삼성자동차·오뚜기·이랜드리테일·코리아세븐·한국미니스톱·STX중공업 등 14곳이다. 이랜드리테일은 협약을 체결 이후 이행실적을 제출하지 않았고, 동원F&B와 이랜드월드는 협력중소기업과 협약을 체결하지 않았다. 홈플러스는 3년 연속 최하위 등급을 받았다. 반면 '최우수' 등급을 받은 곳은 기아자동차·삼성SDS·삼성전기·삼성전자·코웨이·포스코·현대미포조선·현대삼호중공업·현대자동차·현대제철·KT·SK C&C·SK종합화학·SK텔레콤 등 14개사다. 삼성전기·삼성전자 2곳은 3년 연속, 삼성SDS·포스코·현대미포조선·SK C&C·SK종합화학·SK텔레콤 6곳은 2년 연속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 기아자동차·현대자동차·현대삼호중공업·현대제철·KT 5개사는 지난해 '양호'에서 올해 '최우수' 등급으로 개선됐고 코웨이는 유일하게 신규로 '최우수' 등급에 진입했다.'우수' 등급을 받은 기업은 대림산업·대우조선해양·두산중공업·롯데마트·삼성SDI·삼성디스플레이·삼성물산·코닝정밀소재(舊삼성코닝정밀)·LG전자·LG화학·SK건설 등 36개사다. '양호' 등급을 받은 곳은 36곳으로 계룡건설·농심·대우건설·대한항공·동부건설·롯데건설·롯데백화점·롯데제과·만도·신세계백화점·아모레퍼시픽·아시아나항공·이마트·코오롱글로벌·현대백화점 등 36곳이다.동반성장지수 평가는 공표대상 100개 기업 중 98개 대기업이 체결한 공정거래 및 동반성장 협약에 대한 평가와 1만3784개 중소기업 체감도조사 점수를 합산한 결과다. 우수 등급 이상으로 평가된 기업에 대해서는 정부 차원의 각종 혜택이 주어지며 보통 등급에 포함된 대기업에는 동반위 및 공정위의 자문이 제공될 예정이다. 이소은 기자 luckysso@joongang.co.kr 2014.06.12 07: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