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생활/문화

카카오페이지-카카오M 합병…"글로벌 엔터테인먼트 기업 도약"

카카오페이지와 카카오M이 합병해 IP(지식재산권) 경쟁력을 앞세운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도약한다. 카카오페이지와 카카오M은 25일 각 이사회를 열고, 양사 합병을 결의했다고 밝혔다. 합병 비율은 카카오페이지와 카카오M이 각 1대 1.31로, 카카오M의 보통주 1주당 카카오페이지의 보통주 1.31주가 배정된다. 1주당 가액을 표기하는 합병 비율은 양사의 기업 가치와 발행주 수를 반영한 것으로, 카카오페이지와 카카오M의 기업 가치는 1대 0.6으로 책정됐다. 신규 합병법인명은 '카카오엔터테인먼트'다. 양사는 26일 주주총회를 열고 최종 승인을 거친 뒤 3월 1일 합병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번 대규모 합병으로 카카오페이지와 카카오M은 연 매출 1조원을 바라볼 수 있게 됐다. 두 회사는 엔터·콘텐트 산업 내 파트너들과의 네트워크를 구축했으며, 원천 스토리 IP 확보를 위한 CP(콘텐트 제공자)부터 가수와 배우 등 아티스트, 음악·드라마·영화·공연의 기획·제작사에 이르기까지 엔터테인먼트 전 분야를 아우르는 밸류체인을 확보했다. 양사 합병으로 인해 연결되는 자·관계사는 50여 개에 달한다. 이를 바탕으로 투자와 전략적 제휴를 지속 추진해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목표다. 카카오페이지는 2014년 '기다리면 무료'라는 비즈니스 모델(BM)을 만들어 시장 유료화를 이끌어냈으며, 16개의 자회사 및 관계사 네트워크를 구축해 약 8500개의 원천 스토리 IP를 보유한 회사로 자리매김했다. 국내 플랫폼인 '카카오페이지'와 '다음 웹툰'을 비롯해 일본, 북미권, 중화권 및 동남아 지역에 걸친 10개국 진출을 모색해왔다. 카카오M은 국내 배우 매니지먼트 7개사, 레이블 4개사를 비롯해 다수의 드라마·영화·공연 제작사를 산하에 두고 있다. 연간 1200개 이상의 타이틀을 발매하고 있으며, 싱어송라이터와 글로벌 아이돌을 비롯해 프로듀서, 작곡가, 래퍼 등 멀티 장르와 레이블의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또 작가, 감독 등 80여 명의 창작자, 150여 명의 인기 배우를 중심으로 영상 콘텐트 기획, 제작 역량을 갖고 있다. 새로운 합병법인은 양사가 축적한 IP 비즈니스 노하우와 역량을 기반으로, 엔터테인먼트 전 분야에서 콘텐트 IP의 확장과 사업 다각화를 추진한다.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IP의 기획·제작에 역량을 집중하는 동시에, 차별화된 콘텐트 경쟁력 확보를 위해 여러 시너지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카카오페이지는 "양사의 비즈니스 노하우와 역량, 그리고 밸류체인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이끌겠다"고 강조했다. 카카오M은 "콘텐트와 디지털 플랫폼을 결합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고, 콘텐트 비즈니스의 혁신을 가속해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1.01.25 10:16
연예

카카오페이지-카카오M 합쳐 카카오엔터 출범

카카오페이지·카카오M이 합병해 ‘카카오엔터테인먼트’로 출범한다. 카카오페이지와 카카오M은 25일 각 이사회를 열고, 양사 합병을 결의했다고 밝혔다. 합병 비율은 카카오페이지와 카카오M이 각 1대 1.31로, 카카오M의 보통주 1주당 카카오페이지의 보통주 1.31주가 배정된다. 1주당 가액을 표기하는 합병비율은 양사의 기업가치와 발행주수를 반영한 것으로, 카카오페이지와 카카오M의 기업가치는 1:0.6으로 책정됐다. 신규 합병법인명은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이며, 양사는 26일 주주총회를 개최하고 최종 승인을 거친 뒤 3월 1일 합병을 완료할 계획이다. 카카오 자회사간의 대규모 합병은 이번이 처음으로, 카카오페이지와 카카오M이 결합하면 연매출 1조원을 바라볼 수 있게 된다. 엔터테인먼트 업계 초유의 이번 합병은, IT, 유통 대기업들이 콘텐츠 신흥 강자로 도전장을 내미는 등 격전이 펼쳐지고 있는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경쟁 우위를 선점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이다. 카카오페이지와 카카오M은 양사 합병을 통해 글로벌 시장 공략을 더욱 가속화할 계획이다. 관계자는 "이번 카카오페이지와 카카오M의 합병은 그동안 양사가 축적해 온 IP 비즈니스 역량과 플랫폼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강력한 시너지를 창출, 글로벌 사업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원천 스토리 IP 밸류체인’과 ‘글로벌 스토리 IP 플랫폼 네트워크’를 구축한 카카오페이지와 음악, 드라마, 영화, 디지털, 공연 등 ‘콘텐츠 사업의 밸류체인’을 만들어왔던 카카오M이 결합함으로써, 새로운 합병법인은 글로벌 시장에서 독보적 위치를 점할 수 있는 사업 포트폴리오와 밸류체인을 완성하게 됐다. 양사 합병으로 인해 연결되는 자/관계사만 50여개에 달하며, 엔터·콘텐츠 산업내 파트너들과의 강력한 네트워크를 구축한 것은 물론, 원천 스토리 IP 확보를 위한 CP(Contents Provider)부터 가수와 배우 등 아티스트, 음악·드라마·영화·공연의 기획·제작사에 이르기까지 엔터테인먼트 전 분야와 전 장르를 아우르는 밸류체인을 확보했다. 이를 바탕으로 과감한 투자와 전략적 제휴를 지속 추진하며,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춘 리딩 컴퍼니로 성장하겠다는 목표다"라고 설명했다. 새로운 합병법인은 양사가 축적한 IP 비즈니스 노하우와 역량을 기반으로, 엔터테인먼트 전 분야에 걸쳐 콘텐츠 IP의 확장과 사업 다각화를 추진한다.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강력한 슈퍼 IP의 기획´제작에 역량을 집중하는 동시에, 차별화된 콘텐츠 경쟁력 확보를 위해 다양한 시너지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카카오페이지가 국내외에서 구축하고 있는 플랫폼 네트워크와 카카오M의 음악, 영상 등 콘텐츠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기존의 플랫폼과 콘텐츠 사업 경쟁력 또한 더욱 강력해질 전망이다. 톱크리에이터들을 중심으로 한 콘텐츠 기획제작 역량과 콘텐츠 유통에 최적화된 카카오페이지의 국내외 플랫폼이 더해져, 더욱 새롭고 독창적인 콘텐츠를 선보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양사의 시너지를 기반으로 글로벌 사업 추진 속도 역시 더욱 가속화된다. 카카오페이지는 “초경쟁 글로벌 엔터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카카오페이지와 카카오M의 합병을 결정하게 됐다. 양사의 비즈니스 노하우와 역량, 그리고 밸류체인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이끌겠다”고 전했다. 카카오M은 “콘텐츠와 디지털플랫폼을 결합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고 콘텐츠 비즈니스의 혁신을 더욱 가속화하여,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황지영기자 hwang.jeeyoung@jtbc.co.kr 2021.01.25 09:59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