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경제

'배민현대카드' 10만매 돌파…이용자 70%가 배민 VIP

배달앱 전용 신용카드(PLCC)인 '배민현대카드'가 발급 10만 매를 돌파했다. 22일 현대카드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배달의민족(배민)’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과 손잡고 공개한 '배민현대카드'는 ‘배민포인트’ 중심의 특화 혜택과 8종의 독특한 카드 디자인으로 회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어 왔다. 배민현대카드 회원들은 월평균 9.2회로 배민을 이용했다. 이는 일반 현대카드 회원(4.1회)의 두 배다. 또 배민현대카드 회원 중 70%가 배민 VIP 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배민은 월 5회 이상 주문한 고객을 ‘배민 VIP’로 선정해 ‘월간쿠폰북’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8가지 카드 디자인 중 가장 많은 발급량을 기록한 것은 계란프라이를 모티브로 한 ‘프라이’ 디자인으로 전체 회원 중 35%가 이 디자인을 선택했다. 김의 질감을 잘 살려낸 ‘잘생김’ 디자인이 20%, 배민의 대표 캐릭터 ‘독고배달’을 카드 정중앙에 배치한 ‘썬그리’ 디자인이 16%로 뒤를 이었다. 연령별로는 20대(31%)와 30대(36%)가 전체 발급 회원의 절반을 훌쩍 넘는 67%를 차지했으며, 40대가 28%, 50대 이상이 5%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성이 42%, 여성이 58%로 여성 회원의 비중이 더 높았다. 배민현대카드 10만 매 돌파를 기념해 현대카드는 한정판 굿즈 이벤트를 진행한다. 현대카드와 우아한형제들은 코로나19확산세를 고려해 사회적 거리두기를 준수하며 집에서 안전하게 즐길 수 있는 카드게임 세트를 한정판 아이템으로 정했다. 카드게임 세트는 오는 28일까지 배민현대카드로 처음 결제한 회원 중 추첨을 통해 3000명에게 제공된다. 현대카드와 우아한형제들은 추후 쿠폰팩 증정 등 추가적인 이벤트도 진행할 계획이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oongang.co.kr 2021.07.22 11:35
경제

코로나19 확산세에 또 집콕…이번엔 '배달앱 카드' 써볼까

올해 예상치 못한 코로나19 사태로 배달 앱을 이용하는 횟수가 잦아졌다. 대표 배달 앱 ‘배달의민족’의 일반 회원 등급인 ‘고마운분’에서 벗어나지 못하던 과거와는 다르게 그다음 등급인 ‘귀한분’을 수월하게 유지하고 있는 요즘이다. 앱 분석업체 와이즈앱이 우아한형제들과 딜리버리히어로가 운영하는 배달 앱을 분석한 결과, 배달 앱에서 이뤄지는 월 결제액은 코로나19 확진자가 늘어나던 3월 1조82억원을 기록하며 1조원을 넘더니 4월 9830억원으로, 5월 8740억원으로 줄어드는 모습이었다. 그러더니 다시 상황이 심각해진 8월 급격히 늘어 1조2050억원까지 치솟으며, 배달 앱 이용이 코로나19 상황과 함께 움직이는 모습이었다. 최근 코로나19의 재확산으로 정부가 모임과 외출 자제를 당부하고 나서면서 배달 앱 이용이 더 많아질 것으로 풀이된다. 그렇다면 조금 더 저렴하게, 할인받으며 배달음식을 주문할 수는 없을까. 배달시장이 커지면서 국내 카드사들이 배달 앱을 이용할수록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카드를 속속 내놓기 시작했다. 최대 20% 할인받을 수 있는 카드부터, 캐시백이나 적립 혜택을 주는 카드 등 특화카드별 누릴 수 혜택이 다르니 비교해보는 것이 좋다. 내가 ‘배민’ VIP라면, 캐시백 높은 ‘우리카드’ 항공·쇼핑 등 다양한 영역에서 PLCC(사업자 표시 신용카드) 선두주자라 할 수 있는 현대카드는 배달 앱 특화 카드를 업계에서는 처음으로 내놨다. PLCC란 신용카드사와 유통업체의 협업 모델로 실제 혜택을 쓸 수 있는 유통업체의 자체 브랜드를 사용하는 카드를 의미한다. 지난 19일 출시한 '배민현대카드'는 모든 결제 금액을 배민 포인트로 적립 가능한 카드다. 배민 앱에서 결제하면 3%를 적립해주고, 온라인 쇼핑몰·디지털 콘텐트 서비스 2%, 일반 가맹점 0.5% 등 결제한 금액의 일정 비율을 배민 포인트로 적립해준다. 기존 배민 앱 적립 포인트는 0.5% 수준이었는데, 3%가 추가로 적립되도록 혜택을 키운 것이다. 적립이 가능한 결제 금액은 배민 앱과 온라인 쇼핑몰·디지털 콘텐트 서비스에서 각각 20만원 한도 내로 제한된다. 즉 배민현대카드로 최대 수령할 수 있는 포인트는 배민에서 6000포인트, 온라인 쇼핑몰·디지털 콘텐트 서비스 영역 4000포인트 등 1만 포인트다. 배민현대카드의 연회비는 국내·외 모두 1만원으로 배민페이로 연간 10만원 이상 결제 시 다음 해 연회비는 면제된다. 우리카드에서도 기존 배민과 제휴해 선보였던 '비장의카드'를 리뉴얼해 ‘배달의민족비장의카드 V.2(이하 배민비장의카드)’를 출시했다. 배민비장의카드는 체크카드로 배민에서 5000원 이상 소액 결제할 때 캐시백 환급을 해주는 것이 특징이다. 즉, 배민에서 5000원 이상 결제하면 일 1회, 월 10회까지 1100원을 캐시백 해준다. 이렇게 되면 한 달에 최대 1만1000원의 캐시백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현재 우리카드는 배민비장의카드 출시를 기념해 연회비를 전액 캐시백으로 지급하는 이벤트를 12월 말까지 진행하고 있다. 해당 카드를 발급받아 배달의민족에서 1회 이상 주문하면 연회비 3000원이 캐시백 된다. 이외에 G마켓·옥션 등 온라인몰에서 건당 2만원 이상 결제 시 월 2회 6000원 한도까지 10% 캐시백 혜택을 준다. 두 카드 모두 배달 앱에서 혜택을 누리려면 전월 실적 30만원 이상을 채워야 하는 제한조건이 있다. 요기요, 문턱 높은 신한카드 대신 삼성카드 배달 앱 중 요기요를 배달의민족보다 많이 이용하는 고객을 위해 삼성카드와 신한카드가 할인 혜택을 담은 카드를 출시했다. 두 카드는 전월 이용금액과 연회비부터 차이가 명확하다. ‘요기요 신한카드’는 전월 이용금액이 50만원 이상 돼야 혜택을 누릴 수 있어 문턱이 높다. 대신 요기요 신한카드는 20% 할인 서비스를 제공, 건당 최대 2000원, 월 최대 2만원까지 할인받을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반면 삼성카드는 전월 실적을 30만원을 기준으로 나눠 혜택을 적용했다. 전월 이용 금액이 30만원 미만인 경우 1% 결제일 할인 월 최대 5000원을, 30만원 이상이면 10% 결제일 할인 월 최대 2만원까지다. 연회비에서도 삼성카드가 문턱이 낮다. 삼성카드는 국내·외 모두 1만원이지만 신한카드는 국내 전용 2만4000원, 해외겸용(마스터)은 2만7000원이다. 두 카드는 집콕 트렌드에 맞게 비슷하게 디지털 서비스나 온라인 쇼핑 혜택도 추가했다. 여기에서도 신한카드가 연회비와 전월 실적 조건이 높은 만큼 혜택이 강하지만, 삼성카드는 전월 실적 30만원을 채우지 않으면 혜택을 받을 수 없다. 삼성카드는 커피전문점·편의점·다이소 등에서 5%,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료 정기결제 시 10% 결제일 할인을 제공한다. 할인 혜택은 통합 월 최대 3000원까지이고, 전월 이용금액이 30만원 이상일 경우에만 해당하도록 제한했다. 삼성카드 관계자는 “요기요 결제 시 최대 10% 할인은 물론 스트리밍 할인 등 언택트 혜택과 일상생활에서도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상품을 구성했다”고 말했다. 신한카드는 넷플릭스·유튜브 프리미엄·왓챠플레이 중 1곳을 선택해 추가 10% 캐시백을 월 5000원 환급해주며 정기구독할 경우 월 통합 5000원 한도 내에서 15%를 할인해 준다. 또 쿠팡·G마켓·11번가 등 온라인 쇼핑몰에서 5만원 이상 이용 시 통합 일 1회, 월 5회까지 건당 2000원 할인을 제공한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상황에도 온라인에서는 소비심리가 줄어들지 않고 있음이 확인됐다"며 “카드사들은 이를 중심으로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카드 상품을 내놓고 있다”고 말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oongang.co.kr 2020.12.02 07:00
경제

현금같은 포인트 팍팍 쌓이는 ‘배민현대카드’ 나왔다

배달의민족(이하 배민)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이 현대카드와 손잡고 국내 최초로 배민 맞춤형 카드인 ‘배민현대카드’를 선보인다고 19일 밝혔다. 배민현대카드는 배민 애플리케이션(앱)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배민포인트 혜택을 집중적으로 제공하는 PLCC(상업자 표시 신용카드)다. PLCC는 전용 신용카드를 보유하고자 하는 기업이 카드사와 함께 공동으로 설계∙운영하는 카드로, 배민은 지난 7월 현대카드와 PLCC 출시 협약을 맺은 바 있다. 배민현대카드는 배민 앱에서 배민페이 등록 후 결제하면 결제금액의 3%가 배민포인트로 적립된다. 배민페이 이용 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0.5% 배민포인트는 별도로 쌓인다. 예를 들어 2만원짜리 치킨을 배민현대카드로 주문할 경우 600원이 배민포인트로 적립(3%)되고, 배민페이 기본 적립 포인트(0.5%) 100원까지 총 700원의 포인트가 쌓인다. 특히 첫 6개월간은 프로모션 포인트 2%(400원)도 추가로 받을 수 있어 2만원짜리 치킨 주문 시 최대 1100원의 포인트가 적립돼 배민 앱에서 현금처럼 쓸 수 있다. 카드 이용의 편의성과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국내 13개 주요 온라인 쇼핑몰과 6개 디지털 콘텐트 서비스 이용 시에도 결제금액의 2%가 배민포인트로 적립된다. 그 외 일반 가맹점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결제금액의 0.5%가 배민포인트로 적립된다. 특히 첫 6개월간은 온라인 쇼핑몰과 일반 가맹점 사용시 각각 1%, 0.5%의 프로모션 포인트도 추가 적립된다. 배민 특유의 톡톡 튀는 감성을 담은 카드 디자인도 눈길을 끈다. 총 8종으로 구성된 카드 디자인은 떡볶이, 계란 프라이, 고등어, 김 등의 음식 이미지를 파격적으로 적용했으며, 배민을 상징하는 ‘배달이’ 캐릭터를 재치 있게 활용했다. 배민과 현대카드는 배민현대카드 회원을 대상으로 추가 혜택도 마련했다. 올해 12월 31일까지 배민현대카드를 보유한 모든 회원에게 배민 쿠폰 1만원 권 2장을 증정하며, 카드를 삼성페이에 등록하고 전기요금, 통신비 등 정기결제를 한 고객에게는 최대 4만5000원을 청구 할인해준다. 배민현대카드는 배민 앱에서 신청 가능하며 연회비는 국내전용과 국내외 겸용(마스터카드) 모두 1만 원이다. 배민페이로 연간 10만 원 이상 결제하면 다음 해 연회비는 면제된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oongang.co.kr 2020.11.19 16:52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