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경제

네이버·신세계 연합군 등판? 소용돌이 치는 이베이 인수전

올해 인수·합병(M&A) 최대어 이베이코리아 매각전이 소용돌이치고 있다. 시장 가격에 대한 시각차로 본입찰이 연기된 가운데 네이버와 신세계그룹의 이베이코리아 공동 인수설이 다시 불거졌다. 유력 적격인수 후보(숏리스트)로 꼽혔던 롯데그룹은 여전히 이베이코리아 인수 의지를 보이지만 내부적으로는 미묘한 기류도 감지된다. 다시 불거진 네이버·신세계 인수설 20일 유통업계와 IT 업계에 따르면 신세계와 네이버는 각각 최대주주와 2대 주주로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는 이커머스 업계 '공룡' 네이버와 유통 강자 신세계가 이베이코리아를 인수할 경우 2위 쿠팡이 따라올 수 없는 '초격차'를 벌릴 것으로 전망한다. 지난해 네이버의 이커머스 점유율은 17%로, 2위 쿠팡(13%)보다 4% 앞섰다. 신세계는 3%로 업계 6위였다. 네이버와 신세계가 3위 이베이코리아(12%)를 품을 경우 이커머스 시장의 30%를 장악할 수 있다는 단순 계산이 가능하다. 네이버와 신세계의 협업설은 과거에도 불거진 적이 있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은 지난 1월 네이버 본사를 방문해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를 만났다. 이 자리에는 강희석 이마트·SSG닷컴 대표와 한성숙 네이버 대표도 함께했다. 당시 양사는 이커머스 분야 협력 방안부터 신사업에 대한 의견을 나눈 것으로 전해졌다. 이마트는 이 시기 즈음에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에 직영 채널을 열고 지분 교환을 하는 등 협업에 시동을 걸었다. 신세계가 이베이코리아 인수전에 뛰어들자 업계 안팎에서는 "네이버가 신세계와 함께 이베이코리아 인수를 통해 본격적인 사업 제휴를 하려는 것 아니냐"는 말이 흘러나왔다. 네이버의 참전설은 카카오가 M&A에서 일찌감치 발을 빼면서 잦아들었다. 업계 관계자는 본지에 "카카오가 이베이코리아 인수전에 관심을 보이면서 네이버도 경각심을 가진 것으로 안다. 네이버가 내부적으로 이베이코리아 인수를 검토한 배경"이라면서 "하지만 카카오가 이베이코리아 대신 쇼핑 앱 '지그재그' 인수로 급선회하자, 네이버도 이베이코리아를 향한 관심을 접었다는 말이 돌았다"고 말했다. 현재 네이버와 신세계 측은 다시 부상한 컨소시엄 설에 대해 함구하고 있다. 여러 방안 중 하나일 뿐이라는 것이다. 롯데 내 미묘한 기류 변화도 롯데그룹은 숏리스트 중에서도 이베이코리아 인수에 가장 적극적인 기업으로 꼽혀왔다. 롯데그룹은 지난 2월 롯데온을 이끌던 조영제 대표를 끌어내리고 나영호 전 이베이코리아 본부장을 신임 이커머스 사업본부 대표로 영입했다. 롯데그룹은 나 신임 대표를 부사장급으로 예우하며 그룹 전반을 이커머스에 초점을 맞추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실탄도 준비했다. 롯데쇼핑은 최근 롯데월드타워·몰 지분 15% 전량을 롯데물산에 매각해 8300억원의 현금을 추가로 마련했다. 업계는 롯데그룹의 나 신임 대표의 영입과 현금 자산 확보가 이베이코리아 인수와 무관하지 않다고 보고 있다. 그런데 최근 롯데 내부에서 이베이코리아 인수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이 감지되고 있다. 롯데그룹 관계자는 "최근 고위 임원들 사이에 '우리가 왜 5조원을 주고 이베이코리아를 사들여야 하는가'라는 회의론이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이베이코리아가 실속이 없다고 보는 눈치다. 너무 비쌀뿐더러 성장세도 더딘 편이다"고 했다. G마켓·옥션을 거느린 이베이코리아 사업이 오픈마켓에 치중돼 있고, 성장 폭도 둔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커머스 업계 관계자는 "이베이코리아 주 고객 대부분이 30대 이상이다. 몸집이 크고 비싼데, 대기업들의 고민거리인 10~20대 고객은 적다는 약점이 뚜렷하다"며 "당장 거래액 1위를 해보겠다고 이베이코리아에 베팅할지 여부는 결국 롯데그룹의 몫이다"고 말했다. 이베이코리아 매각 본입찰은 내달로 연기됐다. 이베이코리아의 지분 100%를 보유한 이베이 본사가 5조원을 매각가로 제시했지만, 업계는 3조~4조원이 적당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본지에 "이미 시장에서는 4조원 안팎으로 매각이 이뤄지지 않겠느냐는 중론이 나온다. 하지만 M&A는 막판까지 모른다. SK텔레콤과 MBK파트너스 간 막판 제휴 가능성도 있어서 본입찰에 가봐야 알게 될 것이다"고 말했다. 서지영 기자 seo.jiyeong@joongang.co.kr 2021.05.21 07:01
경제

딜리버리히어로 코리아, 이베이코리아 출신 김소정 신사업 본부장 영입

배달앱 ‘요기요’를 운영하는 딜리버리히어로 코리아가 미래성장을 주도할 신사업 분야 확대를 위해 이베이코리아 출신 김소정 신임 신사업 본부장을 영입했다고 13일 밝혔다. 김소정 신사업 본부장은 이랜드리테일을 시작으로 삼성물산, 이베이코리아까지 온·오프라인 유통을 넘나들며 활약해온 이커머스 전문가다. 빠르게 변화하고 성장하는 유통업 유수의 기업에서 오랜 기간 중대한 비즈니스와 신사업 업무를 총괄해 전략적으로 이끌어왔다. 특히 이베이코리아에서 2003년 입사해 영업과 브랜드 실장을 역임했고, 지마켓 인수 후 통합 시너지를 위한 다양한 비즈니스를 리드하며 마케팅과 광고사업 및 신규사업 본부장으로 탁월한 성과를 창출했다. 김 신임 본부장은 이베이코리아 최초의 여성임원이자 최고위급 리더로, 현재의 이베이코리아의 성장에 크게 기여한 주역 중 한 명이다. 김소정 신임 신사업 본부장은 앞으로 현재 딜리버리 서비스와의 시너지를 통해 고객들에게 다양하고 의미 있는 주문 경험을 선사할 수 있도록 딜리버리히어로 코리아의 차세대 성장 동력이 될 다양한 신규 비즈니스를 이끌어 나갈 예정이다. 딜리버리히어로 코리아는 김 신임 본부장 영입을 계기로 키친과 마트 신사업도 확대해 나간다. 특히 요기요 소비자들의 주문 경험 확대를 위한 마트 신사업 확장을 통해 딜리버리 서비스 영역 발굴에도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해당 사업은 올 하반기 론칭 예정이다. 김소정 신임 본부장은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푸드테크 기업인 딜리버리히어로 코리아에서 일하게 되어 매우 기대가 크다”면서 “앞으로 고객들의 다양한 니즈를 기반으로 음식 배달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다양한 비즈니스를 만들고 이끌면서 딜리버리히어로 코리아의 미래 성장에 기여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딜리버리히어로 코리아 강신봉 대표는 “정통 유통 분야부터 이커머스까지 다양한 영역에서의 역량을 발휘해온 김소정 본부장의 활약이 기대된다”면서 “그 동안의 풍부한 경험과 사업을 보는 다각화된 시각으로 앞으로 딜리버리히어로 코리아의 차세대 성장 동력이 될 다양한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해 우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에게 더욱 다양한 주문 경험을 선사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oongang.co.kr 2020.02.13 14:56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