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5건
부동산

규제 풀어도 소용없다…서울 매매수급지수 10년 5개월 만에 최저치

정부가 각종 부동산 규제를 풀고 있지만 극심한 거래 침체는 여전한 모습이다. 지난주(11월 28일 기준) 서울 및 수도권 아파트 매매수급지수가 2012년 7월 한국부동산원 조사를 시작한 이후 약 10년 5개월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4일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지난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66.8로 전주(67.9)보다 하락했다. 수급지수는 조사 기간 내 상대비교지만 단순 수치로만 볼 때 2012년 7월 첫 주(58.3) 조사 시작 이후 약 10년 5개월 만에 가장 낮은 것이다. 매매수급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이보다 낮을수록 시장에 집을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울 아파트 수급지수는 지난해 11월 셋째 주 조사에서 99.6을 기록하며 기준선 밑으로 떨어진 뒤 1년이 넘도록(55주 연속) 살 사람보다 팔 사람이 많은 매수우위 시장이 이어졌다. 지난달에도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지면서 좀처럼 매수심리가 회복되지 않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10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계약일 기준)은 총 555건으로 2006년 실거래가 조사를 시작한 이후 월별 거래량으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사실상 매매 계약서 자체를 안 쓴다고 봐야 할 상황이다. 종로구의 아파트 거래량은 10월 한 달간 4건에 그쳤고 용산구(8건), 광진구(9건), 강북구(10건), 금천구(10건) 등은 거래량이 10건 이하에 그칠 정도로 극심한 거래 절벽이 이어지고 있다. 구별 매매수급지수는 노원·도봉·강북구 등의 동북권이 64.5에서 지난주 63.9로 떨어졌다. 한국부동산원 조사에서 도봉구 아파트값은 지난주 서울에서 가장 큰 폭인 0.99% 내리며 주간 낙폭이 1%에 달했고, 노원구도 -0.88%에서 지난 -0.95%로 하락 폭이 확대되는 등 '노도강' 지역의 하락세가 컸다. 은평·마포·서대문구 등이 있는 서북권의 지수는 63.8에서 62.4로 떨어지며 지난주에도 서울 5대 권역 중 최저를 기록했다. 용산·종로·중구가 포함된 도심권은 66.3에서 65.8로 내려왔고, 영등포·양천·동작·강서구 등이 있는 서남권은 68.0에서 지난주 66.0으로 하락했다. 강남·서초·송파·강동구의 동남권은 아파트값 하락 폭은둔화했지만, 매수심리는 74.1을 기록하며 전주(75.0)보다 더 떨어졌다. 경기도는 72.0에서 70.8로 떨어졌고, 인천은 70.8에서 69.5로 하락하며 지수 70선이 무너졌다. 이에 따라 수도권 전체 매매수급지수 역시 70.5에서 지난주 69.4로 떨어지며 지수 70선이 깨졌다. 2012년 7월 첫 주(61.5) 이후 10년 4개월 만에 최저다. 지방은 더 극심하다. 지방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도 79.1로 지수 80이 무너졌다. 윤석열 정부는 지난 10월 말 비상경제민생회의 이후 본격적으로 부동산 규제 완화를 추진하고 있다. 경기도를 중심으로 규제 지역을 해제했고, 15억원 초과 주택담보 대출 허용 등 시장 연착륙을 위한 조치를 내놨다. 또 1주택자와 무주택자의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을 50%로 일괄 완화했다. 그러나 전국 아파트 매매수급지수(74.4)는 2012년 7월 부동산원이 매매수급지수를 조사하기 시작한 이래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서지영 기자 seojy@edaily.co.kr 2022.12.05 07:37
경제일반

새 정부 출범 앞두고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다시 회복

주춤했던 아파트 매수심리가 소폭 회복했다. 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91.1로 지난주(90.5)보다 0.6포인트(p) 올랐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대선 이후 새 정부의 재건축·세제 등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으로 7주 연속 상승했으나 지난주 하락 전환했다. 그러나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다시 상승했다. 다만 매매수급지수가 여전히 기준선(100)보다 낮아 시장에는 여전히 집을 살 사람보다 팔 사람이 많은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권역별로는 강남 4구가 있는 동남권이 97.0으로 지난해 12월 6일(97.2) 이후 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고, 대통령 집무실 이전 재료가 있는 용산·종로구 등 도심권이 91.9로 그 뒤를 이었다. 목동·여의도 등지가 포함된 서남권도 재건축 기대감으로 지난주 91.5에서 금주 91.8로 소폭 상승했다. 서북권(87.3)과 동북권(87.5)은 지난주보다 지수가 상승했으나 아직 90을 밑도는 수준이다. 경기도 역시 1기 신도시 재건축 등에 대한 기대감으로 지난주 91.0에서 금주 92.4로 다시 지수가 상승했고 인천도 지난주 94.0에서 이번주 95.0으로 매수세가 늘어난 모습이다. 한국부동산원 조사에서 이번주 서울 아파트값(0.01%)이 15주 만에 상승 전환됐고, 경기·인천은 하락세를 멈추는 등 가격 변화로 이어졌다. 수도권의 매수심리 회복을 바탕으로 전국 아파트 수급지수도 지난주 93.6에서 94.1로 한 주 만에 다시 상승 전환됐다. 서지영 기자 seo.jiyeong@joongang.co.kr 2022.05.06 10:50
생활/문화

대선이 도화선…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뜨겁네'

대선 후 서울 아파트 매수 심리가 살아나고 있다. '반짝' 상승이 아닌 7주 연속 회복세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및 대출 규제 완화 기대감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24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4월 셋째 주(18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가 91.4로 올해 1월 10일(92.0) 이후 석 달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매매수급지수가 기준선인 100을 밑돌면 시장에 집을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이 더 많다는 뜻이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지난 2월 말 조사에서 86.8까지 하락했다. 그러나 대선을 이틀 앞둔 3월 7일 조사 때 87.0으로 오른 뒤 7주 연속 상승했다. 새 정부의 규제 완화 기대감에 2월까지 꽉 막혔던 거래가 3월 들어 다소 늘기 시작하면서 지수도 상승세를 이어간 것으로 분석된다. 4월 둘째 주 96.5까지 올랐던 동남권(강남4구)은 지난 주 96.1로 소폭 하락했으나 여전히 5대 권역 중 가장 높았다. 나머지 4개 권역은 모두 전주보다 지수가 상승했다. 목동과 여의도동 등의 재건축 호재가 있는 서남권(양천·강서·구로·영등포·동작·관악구)은 91.0에서 지난주 91.5로 상승했고, 대통령 집무실 이전으로 개발 기대감이 커진 용산·종로구 등 도심권도 89.1에서 91.3으로 올라서며 90선을 회복했다. 경기도는 재건축 기대감이 커진 분당·일산신도시 아파트 가격이 강세였다. 그러나 그 외 지역은 약세가 많았다. 경기도의 지난주 매매수급지수는 92.5로 전주(92.3)보다 상승했다. 지방도 96.0에서 지난주 96.2로 오르면서 전국 기준 매매수급지수(94.4) 역시 개선된 모습이다. 대선 이후 전세자금대출 문턱이 낮아지면서 서울 아파트 전세수급지수도 93.5를 기록하며 7주째 상승했다. 이중 서북권이 95.0으로 가장 높았고 동북권이 93.7로 그 뒤를 이었다. 전국 매매수급지수는 94.2에서 94.4로 올랐다. 지방은 96.2로 전주 대비 0.2p 올랐다. 전세자금대출 재개와 이사철이 겹쳐 신규 수요가 늘고 매물이 소진되면서 전세수급지수 상승 추세도 계속됐다. 전국은 96.3에서 96.8로 오른 가운데 서울 아파트 전세는 91.9에서 93.5로 7주 연속 올랐다. 수도권은 93.7에서 94.8로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방은 98.8에서 98.6으로 소폭 하락했다. 서지영 기자 seo.jiyeong@joongang.co.kr 2022.04.25 07:00
부동산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6주째 회복…규제 완화 기대감

서울 남산에서 내려본 아파트. 연합뉴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가 6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15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91.0을 기록하며 6주 연속(86.8→87.0→87.5→87.8→89.1→90.8→91.0) 상승세를 나타냈다. 매매수급지수가 기준선인 100을 밑돌면 시장에 집을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이 더 많다는 의미로, 지난 2월 말 이 지수는 86.8까지 떨어졌었다. 그러나 대선을 계기로 부동산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구체적인 규제 완화 계획을 잇달아 공개하며 매수 심리가 회복되는 모양새다. 강남권 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가 있는 동남권은 지난주(96.0)보다 0.5포인트(p) 오른 96.5로, 서울 5개 권역 가운데 가장 높았다. 또 목동 재건축 호재 등이 있는 양천구가 포함된 서남권은 91.0으로 지난주보다 0.4p 상승했다. 이 밖에 도심권 89.1, 서북권 89.0, 동북권 88.4를 기록했다. 도심권은 서울 5개 권역에서 유일하게 매매수급지수가 하락(89.6→89.1)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2.04.15 10:57
부동산

규제완화 기대감…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4주 연속 회복

서울 여의도 63스퀘어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대선 이후 부동산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가 4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1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89.1을 기록하며 4주 연속 상승세를 나타냈다. 매매수급지수가 기준선인 100을 밑돌면 시장에 집을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이 더 많다는 의미다. 한동안 거래 가뭄에 시달리던 부동산 시장은 대선을 계기로 4주 연속 상승하며 매수자들이 조금씩 늘어나는 모습이다. 강남4구가 있는 동남권은 지난주(88.4)보다 2.2포인트(p) 오른 90.6으로, 서울 5개 권역 가운데 가장 높은 지수를 기록했다. 또 목동 재건축 호재 등의 영향으로 양천구가 있는 서남권은 90.3으로 지난주보다 0.2p 상승했다. 도심권은 대통령 집무실이 이전해 오는 용산구를 중심으로 매도자들이 그간 내놨던 매물을 거둬들이고 호가를 올리면서 지난주 87.1에서 금주 88.9로 올랐다. 서울 아파트 시장은 안전진단 기준 변경·용적률 상향 등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규제 완화 공약에 대한 기대감으로 매수 문의가 증가한 가운데 일부 집주인들은 매물을 거둬들이거나 호가를 올리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다만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한시 배제 등 추가 대책을 지켜보자는 심리도 많아 실제 거래는 여전히 뜸한 편이다. 다만 전반적으로 심리는 회복됐지만, 매수자들이 적극적으로 매수에 나서지 않으면서 수급지수는 여전히 100을 밑돌았다. 경기도의 매매수급지수는 지난주 91.7에서 금주 92.5로, 인천은 92.1에서 92.3으로 상승했다. 전국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도 93.6으로 지난주보다 0.5p 상승했다. 최근 전세자금대출 재개로 전세수급지수 역시 상승세다. 서울 아파트 전세수급지수는 90.6으로 지난주(90.0)에 이어 2주 연속 90선을 회복했고, 전국은 95.3으로 지난주보다 0.6p 올랐다. 서지영 기자 seo.jiyeong@joongang.co.kr 2022.04.01 10:15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