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10,369건
프로야구

'불굴의 아이콘' 원종현, 재기 신호탄...중신전 1이닝 2K 쾌투

'불굴의 아이콘' 원종현(38)이 재기 신호탄을 쐈다. 원종현은 지난 20일 대만 가오슝 핑둥 CTBC파크에서 열린 대만 프로야구(CPBL) 중신 브라더스와의 연습 경기에서 키움이 1-7로 지고 있던 8회 말 등판, 1이닝 1볼넷 2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했다. 초반에는 영점이 잡히지 않았다. 원종현은 첫 타자 리우찐웨이를 상대로 불리한 볼카운트(3볼-1스트라이크)에 몰렸고, 5구째도 낮게 들어가며 볼넷을 내줬다. 하지만 후속 타자 마강은 볼카운트 0볼-1스트라이크에서 낮은 코스 슬라이더로 헛스윙을 끌어냈고, 다시 같은 코스 같은 구종을 구사해 허를 찌르며 헛스윙 삼진을 잡았다. 원종현은 쉬사우위도 삼진 처리했다. 볼카운트 2볼-1스트라이크에서 포심 패스트볼(직구)로 파울을 유도했고, 앞서 마강을 삼진 처리한 가운데 슬라이더로 타자를 얼어붙게 만들었다. 8회 대만의 다음 타자는 없었다. 원종현은 이어진 린루이쥔과의 승부에서 파울 유도로 2스트라이크를 만든 뒤 가운데 공으로 2루 땅볼을 유도했다. 이닝 종료. 키움은 이 경기에서 1-8로 졌지만, 올 시즌 허리 강화를 이끌어야 하는 이강준, 주승우가 무실점 투구를 하며 기대감을 줬다. 여기에 '노장' 원종현도 포함됐다. 원종현은 굴곡 많은 야구 인생을 걸었다. 2006 2차 신인 드래프트 2라운드(11순위)에서 LG 트윈스의 지명을 받았던 그는 팔꿈치 부상 탓에 한 번도 1군 경기에 등판하지 못한 채 방출됐다. 입단 테스트를 거쳐 '9구단' NC 다이노스에 합류한 뒤 2014시즌 11홀드를 기록하며 존재감을 드러냈지만, 2015년 1월 대장암 2기 판정을 받고 투병 생활을 했다. 수술과 항암치료를 이겨낸 원종현 2016년 다시 마운드에 오르며 기적을 보여줬고, 이후 7시즌(2016~2022) 동안 81세이브·75홀드를 기록하며 KBO리그 대표 불펜 투수로 거듭났다. 원종현은 2023시즌을 앞두고 외부 자유계약선수(FA) 영입에 적극적이지 않았던 키움과 계약(4년 25억원)에 계약하며 가치를 인정받았다. 하지만 2023년 여름, 오른쪽 팔꿈치 뼛조각 제거술과 내측 측부 인대 재건술을 차례로 받고 1년 넘게 재활 치료로 시간을 보냈다. 지난 시즌(2024) 막판 1군 복귀한 뒤 4경기에 등판했지만, FA 선수에게 기대되는 퍼포먼스를 보여주지 못한 게 사실. 그는 속죄하는 마음으로 2025시즌을 준비 중이다. 키움은 임창민(현 삼성 라이온즈) 김재웅(상무 야구단) 조상우(KIA 타이거즈) 등 불펜 주축 투수들이 차례로 이탈하며 허릿심이 약해졌다. 지난 시즌(2024) 입단 3년 차였던 우완 주승우가 마무리 투수로 자리 잡았고, 병역을 마치고 복귀한 좌완 김성민도 성장한 모습을 보여줬지만 여전히 필승조로 내세울 수 있는 불펜 투수가 부족하다. 원종현이 150㎞/h대 강속구를 뿌렸던 기량을 되찾는다면, 홍원기 키움 감독도 고민을 덜 수 있다. 2025년 첫 대외 실전 경기에서는 노련한 투구를 보여줬다. 안희수 기자 anheesoo@edaily.co.kr 2025.02.21 12:19
프로야구

150㎞/h 강속구 팡팡...'조상우 대체자' 이강준, 첫 등판부터 구위 증명

키움 히어로즈 사이암스로 파이볼러 이강준(24)이 2025시즌 활약을 예고했다. 이강준은 지난 20일 대만 가오슝 핑둥 CTBC파크에서 열린 대만 프로야구(CPBL) 중신 브라더스와의 연습 경기에서 키움이 0-7로 지고 있던 6회 말 등판, 1이닝 동안 1피안타 2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하며 깔끔한 투구를 보여줬다. 이강준은 첫 타자로 상대한 마강을 2루수 뜬공 처리했다. 150㎞/h 대 강속구를 연달아 뿌려 상대를 압박한 뒤 5구째 몸쪽 공으로 빗맞은 타구를 끌어냈다. 이강준은 후속 타자 쉬사우위를 상대로도 가볍게 삼진을 잡아냈다. 빠른 공만으로 유리한 볼카운트(1볼-2스트라이크)를 만든 뒤 몸쪽(우타자 기준)으로 휘어져 들어가는 공으로 헛스윙을 끌어냈다. 후속 타자 린루이쥔과의 풀카운트 승부에서 직구가 가운데로 몰리며 중전 안타를 맞은 이강준은 이어진 리승유와의 승부에서는 공 3개로 삼진을 솎아냈다. 바깥쪽 속구 2개로 헛스윙과 파울을 끌어냈고, 3구째는 몸쪽(좌타자 기준) 높은 코스로 구사해 다시 헛스윙을 유도했다. 140㎞/h 후반에서 150㎞/h 초반까지 찍히는 공이 마치 춤을 추는 것처럼 미트에 꽂혔다. 그만큼 투심 패스트볼의 움직임이 좋았다. 이강준은 7회 말 시작에 앞서 마운드를 김성민에게 넘기고 이날 투구를 마무리했다. 투구 수는 18개. 이강준은 2023년 1월, 롯데 자이언츠에서 키움으로 이적했다. 자유계약선수(FA)로 이적한 투수 한현희의 보상선수였다. 키움은 5월 상무 야구단 입대가 예정돼 당장 쓸 수 없는 이강준의 장래성을 높이 평가했다. 실제로 이강준은 150㎞/h 대 중반 빠른 공을 던지는 투수였다. 구사 구종이 많지 않고, 제구력도 높은 평가를 받지 못했지만, 상무 소속으로 퓨처스리그 무대를 누비며 한 단계 성장했다는 평가다. 2024시즌 퓨처스리그에서 44경기에 등판해 3승 1패 11세이브, 평균자책점 0.76을 기록했다. 이강준은 지난해 11월 열린 프리미어12 대표팀 대표팀 예비 엔트리에 들었다가, 팔꿈치 통증으로 낙마했다. 당시 사령탑이었던 류중일 감독은 "투구하는 모습을 보니까 손목 스냅 등 정말 공을 예쁘게 던지더라. 앞날이 기대되는 선수다"라고 했다. 키움은 마무리 투수였던 조상우를 KIA 타이거즈로 트레이드했다. 현재 필승조는 젊은 투수들이 대부분이다. 이강준은 불펜 세대교체 핵심 선수로 기대받고 있다. 이날 중신전에서 기대감을 한껏 높였다. 안희수 기자 anheesoo@edaily.co.kr 2025.02.21 11:18
뮤직

제니, 오늘(21일) ‘엑스트라L’ 선공개…컴백 예열

블랙핑크 제니(JENNIE)가 선공개곡 ‘엑스트라L’(ExtraL (feat. Doechii)’을 발표한다.21일 오후 2시(한국시간) 제니는 각종 음원 사이트를 통해 오는 3월 7일 발매되는 첫 번째 솔로 정규 앨범 ‘루비’의 수록곡 ‘엑스트라L’을 선공개한다. 제니는 음원 공개에 앞서 뮤직비디오 티저 영상을 공개해 신곡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공개된 티저 영상은 귀에 강하게 꽂히는 트렌디한 비트에 제니와 도이치의 유니크한 래핑이 어우러져 단번에 이목을 사로잡았다. 제니와 도이치는 노래를 부르며 리듬을 타는 등 음악을 온전히 즐기는 모습으로 보는 이들마저 즐겁게 만들었다.‘엑스트라L’은 ‘제67회 그래미 어워드’에서 ‘베스트 랩 앨범’(Best Rap Album) 부문 수상의 영예를 안으며 현재 힙합 씬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미국 래퍼 도이치(Doechii)가 피처링에 참여했다.‘엑스트라L’은 순간을 온전히 만끽하며 나만의 방식으로 당당하게 삶을 살아가는 아름다움을 담아낸 곡이다. 담담한 자신감으로 역경을 이겨내고, 내가 선택한 길을 흔들림 없이 나아가며 어디에서든 존재감을 드러내겠다는 강렬한 선언을 담았다. 스스로 개척한 모든 여정을 즐기며 매순간을 내 것으로 만들어내겠다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제니의 무한한 음악적 가능성이 담긴 ‘Ruby’에는 ‘Intro : JANE with FKJ’, ‘라이크 제니’, ‘스타 어 워’, ‘핸들바(feat. Dua Lipa)’, ‘위드 더 아이이 (웨이 업)’, ‘엑스트라L (feat. Doechii)’, ‘만트라’, ‘러브 행오버 (feat. Dominic Fike)’, ‘젠’, ‘댐 라이트 (feat. Childish Gambino, Kali Uchis)’, ‘F.T.S.’, ‘필터’, ‘서울 시티’, ‘스타라이트’, ‘트윈’ 등 총 15곡이 수록됐다.제니는 정규 앨범 발매를 앞두고 ‘젠’ 뮤직비디오와 ‘러브 행오버 (feat. Dominic Fike)’, ‘울트라L (feat. Doechii)’ 음원을 선공개하는 과감한 프로모션으로 연일 주목받고 있다. 특히 ‘러브 행오버 (feat. Dominic Fike)’로 빌보드 메인 싱글차트 ‘핫 100’에 96위로 진입하며 자체 최고 순위를 새로 썼고, 지난 20일 방송된 Mnet ‘엠카운트다운’에서 1위를 차지하는 등 호성적을 이어가고 있다.강주희 기자 kjh818@edaily.co.kr 2025.02.21 07:10
프로야구

"매우 만족스러운 캠프" 이숭용 감독 흡족, 이제 오키나와로 떠나는 SSG

프로야구 SSG 랜더스 선수단이 미국 플로리다주 베로비치에서 진행된 1차 스프링캠프를 마치고 21일 귀국한다.SSG 구단은 '팀의 새로운 전력이 되어줄 유망주들의 성장을 위해 이번 캠프에 젊은 선수들을 대거 포함했다, 강도 높은 훈련과 치열한 경쟁을 통해 기량 발전을 이뤄내며 1차 캠프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라고 20일 밝혔다. 이숭용 SSG 감독은 "매우 만족스러운 캠프였다. 코칭스태프에서 준비를 잘 해줬다"며 "선수들도 주장 김광현을 비롯한 베테랑, 어린 선수들 너나 할 것 없이 힘든 훈련을 잘 소화해 줬다. 모두에게 고맙다는 말을 먼저 전하고 싶다"라고 총평했다. 이어 이 감독은 "전반적으로 눈에 띄게 좋아진 모습들이 보여서 올 시즌이 기대된다. 젊은 선수들이 선의의 경쟁을 펼치면서 캠프에 긍정적인 에너지와 활력이 넘쳤고, 성장했다. 고참들도 솔선수범하며 좋은 분위기를 이끌었다"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캠프 최우수선수(MVP)는 투수 한두솔과 야수 하재훈이 선정됐다. 더불어 선수들이 직접 뽑은 선수 MVP는 최준우가 뽑혔다. 한두솔은 "모든 선수가 함께 열심히 했고, 캠프 MVP에 선정돼 기분이 좋다. 지난 시즌 스트라이크 비율이 낮았다. 이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투구 방향성과 이미지 트레이닝에 집중했다"며 "생각한 대로 잘 진행됐던 것 같다. 잘 준비한 만큼 시즌 중에 좋은 모습 보여드리고 싶고 작년보다 많은 이닝을 소화하고 싶다. 믿고 기용할 수 있는 선수가 되도록 하겠다"라며 포부를 밝혔다. 하재훈은 "우선 캠프 MVP에 뽑아 주셔서 감사드린다. 비시즌에 몸을 빠르게 만들었다. 잘 준비해서 온 만큼 더 열정적으로 캠프에 임했던 것 같다. 캠프 기간 스윙 메커니즘과 타이밍을 중점적으로 준비했고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며 "지금의 모습을 유지해서 정규시즌에도 좋은 모습을 보여드릴 수 있게 하겠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선수 MVP로 노력을 인정받은 최준우는 "선수들이 직접 뽑아 주신 상이라 더 뜻깊다. 선배님들이 더 잘하라고 주는 상인 것 같고, 팀에 공백이 생겼을 때 완벽하게 공백을 메울 수 있는 선수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감사함을 전했다. SSG 선수단은 22일 하루 휴식한 뒤 23일부터 3월 5일까지 일본 오키나와에서 2차 스프링캠프를 진행한다.배중현 기자 bjh1025@edaily.co.kr 2025.02.20 16:54
프로야구

'야생마' 푸이그, 키움 복귀전 안타...카디네스도 '손맛'

돌아온 야시엘 푸이그(35)와 루벤 카디네스(28)가 키움 히어로즈 유니폼을 입고 첫 실전 경기를 소화했다. 깔끔한 안타를 신고했다. 푸이그는 20일 대만 가오슝에서 열린 대만 프로야구(CPBL) 중신 브라더스와의 연습경기에 3번 타자·좌익수, 카디네스는 2번 타자·우익수로 선발 출전했다. 두 선수는 1회와 3회, 각각 두 타석씩 소화하며 2타수 1안타를 기록했다. 카디네스는 1회 초 첫 타석에서 중신 투수 쭝카이원을 상대로 볼카운트 1볼-0스트라이크에서 바깥쪽(우타자 기준)으로 빠지는 슬라이더를 잡아당겨 깔끔한 좌전 안타를 기록했다. 하지만 이어 나선 푸이그는 초구 가운데 높은 코스 포심 패스트볼(직구)에 스윙 타이밍이 늦어 평범한 우익수 뜬공으로 물러났다. 카디네스는 3회 두 번째 타석에서는 바뀐 투수 우리천을 상대했다. 볼카운트 2볼-1스트라이크에서 몸쪽 직구를 공략해 총알 같은 타구를 생산했지만, 왼쪽 파울선 밖으로 벗어났고 이어진 승부에서 낮은 공에 타이밍을 빼앗기며 유격수 땅볼로 물러났다. 푸이그는 두 번째 타석에서 자존심을 지켰다. 초구 가운데 직구를 지켜본 2구째 바깥쪽으로 살짝 빠지는 126㎞/h 슬라이더를 툭 밀어 쳐 중전 안타로 연결했다. 키움은 1회에 이어 이어진 상황에서 득점을 올리지 못했다. 푸이그는 2022시즌 키움 소속으로 126경기에 뛰며 21홈런을 기록했다. 키움이 한국시리즈에 진출하는 데 기여했다. 하지만 시즌이 끝난 뒤 도박·위증 등 혐의로 재계약이 불발됐다. 하지만 키움은 법적으로 문제될 일이 없어졌다고 판단한 뒤 그와 다시 계약했다. 카디네스는 지난 시즌(2024) 삼성 라이온즈의 대체 선수로 입성해 7경기에 뛰었던 선수다. 부상 탓에 제 실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키움은 '태업' 논란까지 있었던 카디네스의 기량을 면밀히 살폈고, 그와의 동행을 결정했다. 키움은 장타력과 득점력을 팀 약점으로 판단, 외국인 선수 3명 중 2명을 타자로 구성했다. 선발 투수 2명을 영입하는 '정석'을 따르지 않았다. 두 선수는 2시즌 연속 최하위에 그치며 암흑기에 빠진 키움의 도약을 이끌어야 한다. 이날 첫 실전에서 기분 좋은 출발을 보여줬다. 안희수 기자 anheesoo@edaily.co.kr 2025.02.20 16:49
프로야구

'전체 1순위 신인' 정현우, 중신전 ⅔이닝 2실점...야수진 실책에 고전

'전체 1순위' 신인 정현우(19·키움 히어로즈)가 첫 실전 투구를 소화했다. 정현우는 20일 대만 프로야구(CPBL) 중신 브라더스와의 연습경기에 선발 등판해 3분의 2이닝 동안 2피안타 2볼넷 2실점을 기록했다. 미국 애리조나 1군 캠프 대신 퓨처스팀 전지훈련에서 몸을 만든 그는 이날 홍원기 감독 앞에서 자신의 공을 어필해야 했다. 하지만 악재가 이어지며 깔끔한 이닝 마무리는 하지 못했다.정현우는 1번 타자 쟝쿤유를 상대로 초구 몸쪽(우타자 기준) 143㎞/h 꽉 찬 포심 패스트볼(직구)을 구사해 스트라이크를 잡아냈다. 묵직한 공이 인상적이었다. 하지만 정현우는 볼카운트 1볼-1스트라이크에서 내야 빗맞은 타구가 2-3루 사이로 향하며 안타를 내줬다. 정현우는 후속 타자 왕웨이츤과의 승부에서 쟝쿤유에게 도루를 허용했다. 포수 김건희의 송구가 조금 늦었다. 이어진 타자 승부에서 불리한 볼카운트(3-1)에 놓인 뒤 볼넷까지 내주며 흔들렸다. 정현우는 3번 타자 천진슈에게 적시타를 맞고 첫 실점을 기록했다. 풀카운트에서 몸쪽(우타자 기준) 높은 코스에 142㎞/h 직구를 뿌렸는데, 타구가 다시 왼쪽 외야로 향했다. 피안타 2개 모두 정타를 허용한 건 아니었다. 하지만 세 타자 연속 아웃카운트를 잡지 못하며 흔들렸다. 하지만 정현우는 이어진 4번 타자 장쯔하우와의 승부에서 내야 뜬공을 유도했다. 이어진 5번 잔스센을 상대로도 2루수 정면으로 향하는 내야 땅볼을 유도했다. 이 상황에서 야수 실책이 나왔다. 주 포지션이 3루수인 송성문이 선발 2루수로 나섰지만, 포구 과정에서 실책을 범했다. 앞선 상황에서 3루 도루에 성공했던 왕웨이츤이 홈을 밟았고, 1루 주자였던 천진슈는 3루를 밟았다. 정현우는 6번 타자 황웨이씅과의 승부에서 다시 불리한 볼카운트(3-1)에 놓인 뒤 낮은 코스 직구가 다시 스트라이크존을 벗어나며 이 경기 두 번째 볼넷을 내줬다. 결국 정현우는 아웃카운트 3개를 채우지 못하고 캠프 첫 실전 투구를 마무리 했다. 만루 위기에서 장런웨이를 상대로 중견수 뜬공을 유도했고, 두 번째 아웃카운트를 잡았지만, 투구 수가 27개가 됐고, 결국 선수 보호 차원에서 이닝 자체가 끝났다. 정현우는 지난해 9월 열린 2025 신인 드래프트에서 정우주(한화 이글스)를 제치고 전체 1순위로 키움 지명을 받았다. 140㎞/h 대 후반까지 찍히는 직구에 완성도 높은 변화구 구사 능력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았다. 마운드 세대 교체가 절실한 키움은 정현우를 즉시 전력감으로 봤고, 계약금 5억원을 안겼다. 이날 정현우는 평가대로 좋은 제구력을 보여줬다. 피안타 2개 모두 가운데로 몰린 공을 던져 허용한 건 아니었다. 쟝쿤유에게 내준 첫 피안타도 야수가 잡을 수 있었다. 잔스센을 상대한 상황에선 더블플레이 기회에서 야수진 실책이 나오는 불운도 겪었다. 다만 왕웨이츤, 황웨이씅과의 승부에서 먼저 볼 3개를 던져 불리한 볼카운트에 놓인 점은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직구는 146㎞/h까지 찍혔다. 안희수 기자 anheesoo@edaily.co.kr 2025.02.20 16:09
메이저리그

286일 만에 타석 선 이정후, 딱 '1번' 스윙했다

이정후(27·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가 드디어 타석에 섰다. 286일 만이다.이정후는 19일(한국시간) 미국 애리조나주 스코츠데일의 스코츠데일 스타디움에서 진행 중인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2025 스프링캠프에서 올해 두 번째 라이브 배팅을 소화했다.연합뉴스에 따르면 이정후가 이날 타석에서 단 한 번만 방망이를 휘둘렀다. 샌프란시스코 오른손 투수 헤이든 버드송이 던진 공 중 3개가 연달아 스트라이크존을 벗어나자 그대로 지켜만 봤고, 4구째도 벗어나는 공이 오자 이는 억지로 방망이에 맞혔다. 결과는 파울. 이후 그는 수비 훈련을 마친 뒤 왼손 투수 엘크리스 올리바레스의 투구 때 스윙 없이 공을 지켜보고 훈련을 마무리했다.이정후가 투수를 상대한 건 286일 만의 일이다. 마지막으로 섰던 게 지난해 5월 9일 콜로라도 로키스전이었다. 당시 제이크 버드를 상대로 8회 좌익수 뜬공을 기록하며 경기를 마쳤다. 이후 5월 13일 신시내티 레즈전에 출전했지만, 1회 초 수비 도중 어깨를 다쳤다. 당연히 그날은 한 타석도 들어서지 못했고, 시즌도 조기 마감했다. 이후 스프링캠프 등 훈련에서 배팅볼은 쳤으나 실제 투구를 상대한 건 이날이 처음이었다.이정후는 훈련 뒤 연합뉴스와 인터뷰를 통해 "칠 생각이었는데 공 3개가 모두 볼로 빠져서 못 쳤다. 마지막 공은 무조건 쳐야겠다고 생각하고 배트를 돌렸는데 그것도 볼이었다"며 "앞으로 라이브 타격 기회가 더 있으니 그때 준비하면 된다"고 전했다.차승윤 기자 chasy99@edaily.co.kr 2025.02.19 08:46
프로야구

전민재, 롯데 1차 캠프 신스틸러...내야 경쟁 구도 흔든다

사실 메인 카드가 따로 있었을까. 롯데 자이언츠 1차 스프링캠프 실전 경기에서 가장 돋보인 선수는 전민재(26)였다. 대만 타이난에서 1차 스프링캠프를 진행 중인 롯데는 18일까지 총 네 차례 실전 경기를 치렀다. 지난 12·13일엔 대만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대표팀과 친선 경기, 16일에는 청백전, 18일에는 지난 시즌 대만 프로야구(CPBL) 챔피언 중신 브라더스와 연습 경기를 소화했다. 롯데는 대만 WBC 대표팀 1·2차전 모두 불펜이 흔들리며 역전했다. 스코어는 각각 3-4, 3-6이었다. 하지만 중신전은 7-6으로 역전승을 거뒀다. 9회 승부를 결정짓는 내야 타구를 생산한 전민재가 수훈 선수였다. 전민재가 연일 눈에 띠는 활약을 이어가고 있다. 12일 대만 WBC 대표팀과의 1차전에선 선발 9번 타자·2루수로 선발 출전, 5회 타석에서 대만 투수 천위홍의 바깥쪽(우타자 기준) 공을 툭 밀어 쳐 우전 안타로 연결했다. 13일 2차전은 8번·2루수로 선발 출전, 2회 말 대만 투수 리동밍을 상대로 내야 안타로 출루했다. 16일 열린 청백전에서는 선공팀 6번·지명타자로 선발 출전, 2회 초 롯데 새 외국인 투수 터커 데이비슨을 상대로 첫 출루를 해냈다. 3볼 상황에서 바깥쪽 낮은 코스에 꽉 찬 포심 패스트볼(직구)을 골라냈다. 스트라이크 판정을 받았어도 전혀 문제가 없는 공이었다. 전민재의 선구안이 돋보였다. 전민재는 지난해 11월 롯데와 두산 베어스 사이 트레이드로 이적했다. 롯데는 '외야 기대주' 김민석을 포함해 선수 3명을 보냈고, 2022시즌 신인왕 수상자 셋업맨 정철원과 전민재를 받았다. 정철원은 필승조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전민재는 현시점에서는 내야 백업이다. 주 포지션 2루수에 지난 시즌 3할 타율(0.308)을 기록한 고승민이 있다. 하지만 성장 속도는 가늠하기 어려운 선수다. 지난 시즌(2024) 두산에서 처음으로 세 자릿수 경기(100) 출전을 해내며 경험을 쌓았고, 자신을 발굴해 1군에 기용했던 '전' 두산 사령탑이자 현 롯데 현장 수장인 김태형 감독과 다시 만나는 기회를 얻기도 했다. 김 감독은 1차 스프링캠프 출발을 앞두고 "지난해 기량이 정말 많이 좋아졌다. 이젠 그라운드에서 여유가 생긴 것 같다"라며 전민재의 성장을 칭찬한 바 있다. 좋은 기운 속에 맞이한 이적 첫 스프링캠프. 전민재는 가장 돋보이는 경기력을 보여주며 자신을 어필했다. 안희수 기자 anheesoo@edaily.co.kr 2025.02.19 08:14
프로야구

‘탭댄스 전쟁’ 롯데 자이언츠 피치클록 적응기 [IS 포커스]

롯데 자이언츠 마무리 투수 김원중에겐 두 가지 트레이드 마크가 있었다. 어깨까지 내려오는 장발, 그리고 '탭댄스 피칭'이다. 김원중은 투수판(pitcher's plate)을 밟은 오른발과 앞으로 뺀 왼발을 마치 춤을 추는 것처럼 수 차례 구른 뒤 공을 던진다. 이 과정에서 멈추는 동작이 짧아 보크로 의심받을 때도 있다. 하지만 이런 독특한 메커니즘이 상대 타자의 타이밍을 빼앗는 데 도움이 됐다. 김원중도 "처음에는 투수판에 발을 걸치려고 한 동작인데, 의외의 효과가 나왔다"라고 얘기한 바 있다. 올 시즌 김원중의 루틴에 변화가 필요해 보인다. 2024년 시범적으로 운영했던 피치클록(Pitch Clock, 투수가 제한 시간 내 투구하는 규칙)이 2025시즌 정식으로 도입하기 때문이다. 한국야구위원회(KBO)는 투수의 투구 간격을 주자가 없을 때 20초, 주자 있을 때 25초로 확정하는 등 세부 규정도 이미 발표했다. 룰을 위반하면 투수는 볼, 타자는 스트라이크 판정을 받는다. 김원중의 투구 간격은 긴 편이다. 2024시즌 154번이나 피치클록 규정을 위반했다. 4월 17일 잠실 LG 트윈스전에서는 신민재 타석에서만 룰 위반을 6번 하기도 했다. KBO는 올 시즌부터 연장전 운영을 종전 12회에서 11회로 축소한다고 발표하며 "피치클록이 시행되면서 특히 투수들의 체력 소모가 가중될 수 있음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한 수도권 팀 단장은 "경기 시간 단축이라는 대의를 위해서 제도 도입 필요성에 공감하지만, 투수가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 될 게 분명하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만큼 피치클록 도입은 마운드 운영에 큰 영향을 미칠 변수다. 김원중뿐 아니라 롯데의 다른 투수들도 피치클록 적응이 시급한 상황이다. 2024시즌 롯데 선수들은 10개 팀 중 가장 많은 1247번이나 피치클록을 위반했다. 투수 위반이 831번으로 가장 많았다. 특히 주자가 있는 상황에서 673번이나 기록했다. 그러다 보니 롯데의 평균 경기 시간도 3시간 16분으로 가장 길었다. 롯데는 코칭스태프뿐 아니라 선수 개별적으로도 피치클록 정식 도입을 대비하고 있다. 주형광 롯데 1군 메인 투수 코치는 "일단 선수들의 루틴을 체크하고, 불펜 피칭을 소화할 때부터 조바심을 갖지 않도록 유도하고 있다"라고 했다. 이어 주 코치는 "제한 시간이 있다는 강박이 투수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건 사실이다. 그러나 야구는 투수가 공을 던져야 진행이 되기 때문에 타이밍 싸움에서 유리한 상황을 만들 수 있도록 연구하려 한다. (피치클록 도입이) 단점만 있는 건 아니다"라고 전했다. 김원중도 피치클록 적응에 자신감을 드러냈다. 그는 "티 나진 않았겠지만, 지난해 마지막 등판(10월 1일 NC 다이노스전)에서 피치클록을 대비해 의식적으로 투구 간격을 줄여 봤다. 당시에 나쁘지 않은 느낌을 받았다. 잘 적응할 수 있으니 (롯데팬이) 걱정하지 않으셨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국내 에이스' 박세웅은 "나는 지난해부터 피치클록이 시행됐다고 해도 문제가 없었을 것 같다. 위반도 거의 하지 않았다"라면서도 "포수와 사인이 길어진다거나, 타자의 준비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흐를 수도 있다. 다방면으로 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투수와 호흡하는 포수의 역할도 더 커졌다. 롯데의 주전 포수 유강남은 "지난해는 (피치클록이) 시범 운영 기간이었기 때문에 투수들 루틴이 흔들리지 않도록 했다. 우리 팀(롯데) 위반 횟수가 많았던 만큼 철저히 준비하겠다"라고 했다. 부상으로 2024시즌을 완주하지 못했던 그는 지난해 후반기 도입된 피치컴(Pitchcom·투수와 포수의 사인 교환 기기) 사용법도 습득하고 있다. 최근 7시즌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한 롯데는 재도약 의지를 높이고 있다. 피치클록 적응은 무시할 수 없는 숙제다. 현장에선 한목소리로 "문제없다"라고 자신했다. 안희수 기자 anheesoo@edaily.co.kr 2025.02.19 06:00
프로야구

현란한 CU·SL 무브먼트...베일 벗은 롯데 터커 데이비슨, 윌커슨 대체자 그 이상

롯데 자이언츠 새 외국인 투수 터커 데이비슨(29)이 자체 청백전에서 첫 실전 등판을 소화하며 베일을 벗었다. 롯데팬 기대감이 커진다. 데이비슨은 지난 16일 대만 타이난에서 진행 중인 롯데의 1차 스프링캠프 청백전에서 후공팀(홈팀) 선발 투수로 등판, 2이닝 동안 8타자를 상대해 1피안타 1볼넷 4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했다. 1회는 한태양·장두성·김민성을 상대해 연속 삼진과 좌익수 뜬공으로 돌려세웠고, 2회는 1군에서 잔뼈가 굵은 베테랑 정훈과 노진혁을 각각 삼진과 유격수 땅볼로 잡아낸 뒤 전민재와 조세진에게 볼넷과 중전 안타를 맞았지만, 후속 이호준을 삼진 처리하며 무실점을 이어갔다. 총 투구 수는 39개. 포심 패스트볼(직구) 최고 구속은 147㎞/h까지 찍혔다. 커브·슬라이더·포크볼·스위퍼 등 변화구도 다양하게 구사했다. 상대가 2군 선수 위주로 구성됐다. 아직 진짜 실력을 평가하기엔 이른 시점이기도 하다. 하지만 유연한 투구 메커니즘, 묵직한 구위, 보더라인에 꽂는 제구를 차례로 보여주며 기대감을 높였다. 1회 첫 타자 한태양을 상대로 삼진을 잡은 공은 바깥쪽(우타자 기준) 낮은 코스 직구였다. 후속 장두성을 상대로는 체인지업으로 보이는 오프-스피드 계열 변화구 3개로 스트라이크 2개와 헛스윙을 끌어냈다. 이날 롯데 관계자가 보낸 구종 기록에 체인지업 구사는 0개였다. 중계 화면으로는 궤적 변화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없었지만, 상하 변화가 있는 공이었기에 포크볼이었던 것 같다. 데이비슨은 김민성을 상대로는 몸쪽(우타자 기준) 꽉 찬 직구로 좌익수 뜬공을 유도했다. 2회 첫 타자 정훈을 상대로도 구위가 돋보였다. 가운데 높은 공이 빗맞아 백네트로 향했고, 2스트라이크 이후 바깥쪽(우타자 기준) 직구로 헛스윙을 유도했다. 데이비슨은 이어진 노진혁과의 승부에선 포크볼로 보이는 공으로 내야 땅볼을 유도했다. 후속 전민재에게 볼넷을 내줄 때 구사한 4번째 '볼' 역시 우타자 기준 낮은 바깥쪽 스트라이크존에 걸친 공이었다. 이어 데이비슨은 이호준을 상대로 스위퍼 또는 슬라이더(SL)로 보이는 공을 구사해 헛스윙을 유도했다. 무브먼트가 돋보였다. 앞서 정훈과의 승부에서 구사했던 커브(CU) 역시 현란하다는 표현이 과하지 않을 많큼 낙폭이 매우 컸다. 롯데는 2024시즌 이닝 1위(196과 3분의 2)에 12승까지 거둔 애런 윌커슨과 재계약 대신 데이비슨을 선택했다. 비록 '장밋빛' 전망이 쏟아지는 시기에 표본도 적지만, 데이비슨은 높은 평가를 받기 충분했다. 투구 레퍼토리, 커멘드만큼은 확실히 전임보다 우위로 보인다. 안희수 기자 anheesoo@edaily.co.kr 2025.02.18 19:47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