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프로야구

2015년 박병호, 2015년 테임즈 넘었다…'기록 포식자' 다음 목표는 2014년 서건창

'기록 포식자' 김도영(KIA 타이거즈)의 다음 목표는 '최다 득점'이다.김도영은 16일 기준으로 134득점을 기록 중이다. 부문 2위 멜 로하스 주니어(KT 위즈·103득점)에 크게 앞선 단독 선두. 시즌 최연소 100득점 선점(20세 9개월 25일·종전 이승엽 22세 1개월 15일), 최소 경기 100득점(97경기·종전 이승엽·에릭 테임즈 99경기) 기록을 나란히 경신하는 등 순항을 이어가고 있다. 타이틀 획득은 기정사실로 여겨지는데 역대 최다 득점 기록도 가시권이다.1982년 출범한 프로야구 역사상 단일 시즌 최다 득점은 2014년 서건창(당시 넥센 히어로즈)이 기록한 135득점이다. 부문 2·3위는 각각 2015년 테임즈(당시 NC 다이노스·130득점)와 2015년 박병호(당시 넥센·129득점)인데 이미 김도영은 두 선수를 제치고 서건창에 근접한 상황이었다. 지난 12일 광주 롯데 자이언츠전에서 2득점을 추가, 130득점을 넘어섰고 15일 광주 키움 히어로즈전 1득점에 이어 16일 수원 KT 위즈전 3득점을 더해 단일 시즌 최다 득점 기록에 1점 차이로 다가섰다. 참고로 부문 4위는 1999년 이승엽(당시 삼성 라이온즈)이 달성한 129득점이다. 올해 김도영의 득점 능력은 '폭발적'이다. 133경기 중 65.4%인 87경기에서 득점했다. 이 중 36경기에선 최소 2득점, 9경기에선 최소 3득점 이상 해냈다. 지난 4월 17일 인천 SSG 랜더스전과 7월 9일 잠실 LG 트윈스전에선 각각 개인 한 경기 최다 4득점을 기록하기도 했다. 전반기(81경기·78득점)보다 후반기(52경기·56득점) 페이스가 더 가파르다.득점을 가장 손쉽게 하는 방법은 홈런이다. 역대 단일 시즌 최다 득점 기록 상위 4명(서건창·테임즈·박병호·이승엽) 중 서건창을 제외한 세 선수가 모두 홈런 타자. 김도영도 올 시즌 적지 않은 홈런(37개)을 때려내고 있다. 그런데 후방지원도 만만치 않다. 주로 3번 타자로 출전 중인데 최형우(이하 득점권 타율 0.331) 소크라테스 브리토(0.338) 등 중심 타자들이 해결사 역할을 자처하며 김도영의 득점을 돕는다. 역대 두 번째, 국내 타자로는 사상 첫 40(홈런)-40(도루)에 도전 중인 김도영의 '기록 행진'이 어디까지 이어질지 지켜볼 일이다. 배중현 기자 bjh1025@edaily.co.kr 2024.09.17 11:01
프로야구

'은퇴 시즌' 이대호 득점권 포식자로, 4번 타자도 찾다

이대호(40·롯데 자이언츠)의 방망이가 득점권에서 폭발하고 있다. 이대호는 최근 12경기(8월 10일~24일)에서 타율 0.465(43타수 20안타)를 기록, 후반기 개막 후 15경기(7월 22~8월 9일)에서 타율 0.196에 그친 부진을 만회했다. 시즌 타율을 0.334까지 끌어올려 키움 히어로즈 이정후(0.333)를 끌어내리고 타격 2위로 올라섰다. 타율 1위 호세 피렐라(0.348·삼성 라이온즈)를 바짝 쫓고 있다. 그 외에도 최다 안타 공동 3위(139개) 타점 공동 11위(68개) 홈런 공동 11위(15개)에 올랐다. 이대호는 은퇴 시즌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대단한 활약을 이어가고 있다. 전반기를 타격 1위로 마무리했다. 하지만 아쉬움도 있었다. 전반기 득점권 타율은 0.267에 그쳤다. 일본과 미국 생활을 정리하고 복귀한 뒤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그의 타율은 0.304였다. 득점권 타율은 0.307로 조금 더 높았다. 후반기 들어 이대호의 해결사 본능이 살아났다. 득점권 타율 0.444(4위). 특히 8월 득점권 타율은 0.500으로 껑충 뛰어올랐다. 줄곧 2할대에 머무른 시즌 득점권 타율은 8월 21일 한화 이글스전에서 3할대에 진입했다. '빅보이'는 득점권 포식자로 군림하고 있다. 지난 21일 한화전에서는 5타수 3안타를 기록했는데, 안타 3개 모두 득점권에서 터졌다. 1회 1사 1·2루에서 결승 1타점 적시타를, 2회 2사 1·2루와 6회 2사 3루에서도 각각 1타점 적시타를 쳤다. 덩달아 결승타도 늘어나고 있다. 전반기 85경기에서 결승타는 3개였다. 이대호의 이름값을 고려하면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하지만 최근 8경기에서만 결승타 3개를 집중했다. 지난 14일 KIA 타이거즈전(5-1 승)과 1-0으로 승리한 18일 KT 위즈전 3회 결승타를 터뜨렸다. 24일 NC 다이노스전 옆구리에 불편함을 느껴 선발 명단에서 제외됐다가, 1-0으로 아슬하게 앞선 9회 상대 추격 의지를 꺾는 대타 솔로 홈런을 쳤다. 이대호의 활약 속에 롯데는 최근 2주 연속 주간 승률 5할 이상을 기록하며 5강 진출 희망을 이어 나가고 있다. 8월 둘째 주 4승 1패, 지난주 3승 2패를 기록했다. 6위 싸움 중인 NC와의 2연전도 모두 이겼다. 롯데와 이대호의 상승세가 궤를 같이하고 있다. 후반기 롯데가 승리한 경기에서 이대호의 타율은 0.408(49타수 20안타, 1무승부 포함) 높다. 반면 롯데가 후반기 패한 날(14패) 이대호의 타율은 0.220으로 낮다. 이대호에 대한 높은 의존도가 엿보인다. 최근에는 주장 전준우를 비롯해 정훈·안치홍이 베테랑이 코로나19 확진으로 이탈했다. 위기 상황에서 이대호가 변함없이 타선을 지켰다. 그리고 명예를 회복했다. 이대호는 2000년대 중반부터 부동의 4번 타자였다. '조선의 4번 타자' '거인 군단의 중심'이라는 수식어도 달고 있다. 하지만 허문회 감독이 경질되고, 래리 서튼 감독이 지난해 5월 중순부터 지휘봉을 잡은 후엔 타순이 앞뒤로 밀려났다. 서튼 감독 체제에선 전준우(395타석)-정훈(214타석)이 이대호(115타석)보다 더 많이 4번 타순에 포진했다. 이대호는 옆구리 통증으로 선발 명단에서 빠진 24일 경기에 앞서 7경기 연속 4번 타자로 선발 출장했다. 올 시즌 4번 타석에서 타율은 0.410으로 높고, OPS(장타율+출루율)도 1.051로 좋다. 최근 들어 서튼 감독은 "이대호가 타점을 올려줘 승리를 가져올 수 있었다"는 말을 자주 한다. 부산=이형석 기자 2022.08.26 06:10
프로야구

[IS 인터뷰]'5월 타점 1위' 황대인 "나는 바닥, 올라갈 일만 남았다"

KIA 타이거즈 황대인(26)이 주전 도약 2년 차에 '타점 머신'으로 거듭났다. 황대인은 5월 출전한 25경기에서 31타점을 기록했다. 리그 타자 중 월간(5월) 타점 1위에 올랐다. 득점권 39타석에서 타율 0.361를 기록하며 강한 모습을 보여줬다. 특히 5월 셋째 주 주말 3연전 첫 경기(20일)부터 출전한 10경기에선 5홈런 17타점을 몰아쳤다. 26일 삼성 라이온즈전에서는 6회 초 결승 3점 홈런을 쳤고, 31일 두산 베어스전에서는 4타점을 몰아치며 역전승(스코어 10-13)을 이끌었다. 황대인은 지난 시즌(2021) 팀 내 최다 홈런(13개)을 기록하며 '거포 유망주'로 인정받았다. 올 시즌 초반에는 득점권에서 부진하며 '2년 차 징크스'에 시달렸지만, 4월 마지막 주 KT 위즈와의 원정 3연전을 기점으로 달라졌다. 타격감이 점차 좋아졌고, 클러치 능력도 증명했다. '타점 포식자'라는 별칭까지 얻은 그는 최형우, 박동원이 맡았던 KIA 타선의 4번 타자까지 꿰찼다. - 뜨거운 5월을 보냈다. "앞·뒤 타자들이 모두 잘 치고 있다. 동료들의 모습에 동화된 것 같다. 일종의 시너지 효과다." - 전환점은 있었나. "4월 말(26~28일) 나선 KT 위즈 원정 3연전이다. 득점권 타석 6번에서 무안타에 그쳤다. 너무 부진해 마음고생이 컸는데, 선배들이 '결국 이겨낼 것'이라며 응원과 조언을 줬다. 이후 '어차피 내 앞에 기회가 놓일 것'이라는 마음가짐이 생겼다. 너무 콘택트 위주의 스윙을 했던 점도 바꿔보려고 했다." - 지금은 득점권에서 어떤가. "지난달까지는 내 타석에 (득점) 기회가 오지 않길 바라기도 했다. 너무 부정적이었다. 그러나 생각을 조금만 바꿨더니 결과가 바뀌더라. 이제는 즐기려고 노력한다. 속으로 '(내 앞에) 기회가 와라'라고 외친다. 최근에는 앞 타자(3번)인 나성범 선배를 고의4구로 거르고 나와 승부하는 상대 배터리가 많다. 그러면 오히려 반갑더라." - 김종국이 감독이 '가장 자신 있게 스윙하는 선수'로 꼽더라. "감독님 덕분이다. 솔직히 나는 단타를 치고 누상에 나가도 (발이 느리기 때문에) 큰 도움이 안 된다. 그래서 장타를 쳐야 한다. 감독님이 내게 원하는 것도 장타라고 생각한다. 팀과 나의 목표가 일치하면서 더 자신 있게 스윙을 할 수 있게 된 것 같다." - 120타점을 기록할 페이스다. "나는 아직 커리어 애버리지(average)가 없는 타자다. 1군에서 검증된 타자들도 타격 사이클이 떨어지는 시기가 온다. 나라고 다를까. 일단 2022시즌 타점 목표는 80개다. 과욕을 부리다가 타격 밸런스가 흔들리는 일은 없도록 할 것이다." - 데뷔 처음으로 20홈런(단일시즌 기준)도 달성할 기회다. "홈런 욕심은 정말 없다. 기록 목표는 타점이 유일하다. 득점권 타석에서 집중하다 보면 타율·홈런·타점 모두 따라올 것이라고 생각한다." - 2021시즌보다 나아진 점을 꼽는다면. "'내 것'이 생기고 있다. 루틴·훈련 방식·타격 전략 등 말이다. 작년에는 스트라이크존(S존) 안에 들어오는 공이면 그저 '돌리자(스윙하자)'고 생각하며 승부했다. 그러니 타율과 출루율이 낮았다. 올 시즌에는 내가 더 잘 칠 수 있는 공을 기다릴 줄 안다. 스프링캠프 기간 최형우 선배님께 정말 많은 조언을 받았다. 좋은 결과가 나오면서, 심적으로 여유가 생기고 선배들의 조언을 돌아볼 줄 알게 된 것도 큰 힘이 됐다." - 타이거즈 구단 4번 타자 계보를 이어줄 선수로 기대받고 있다. "아직 멀었다. 왼손 투수가 선발로 나서면 다른 타순에 나설 수도 있다. 지금은 그저 '네 번째로 나서는 타자'라고 생각한다. 그래도 명문 구단 타선에 4번 타자를 나선 것은 자부심이 생긴다. 몇 경기에 불과해도 말이다. 나는 바닥에 있는 선수다. 올라갈 일만 남았기 때문에 부담도 크지 않다. 그저 자신 있게, 후회 없이 매 경기 치르고 싶다." 안희수 기자 2022.06.02 06:59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