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4건
경제일반

미국 연준발 쇼크에 환율 1450원 돌파…2009년 세계금융위기 수준

원/달러 환율이 19일 장 초반 1450원을 돌파했다. 미국 기준금리 인하 지연 전망에 따른 달러 강세 때문이다. 이는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이날 오전 9시 10분 현재 전날 주간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보다 16.6원 치솟은 1452.1원에 거래되고 있다.환율은 전날보다 17.5원 상승한 1453.0원으로 출발해 비슷한 수준을 유지 중이다.장중 환율이 1450원선을 웃돌기는 지난 2009년 3월 16일 장중 최고 1488.0원을 기록한 뒤 15년 9개월 만에 처음이다.환율은 비상계엄 사태 직후인 지난 4일 새벽 야간거래에서 일시적으로 1440원을 넘었다가 최근엔 1430원대에서 움직였다. 불안한 분위기였지만 2022년 10월 25일 레고사태 당시 기록한 고점(1444.2)원을 넘지는 않았다. 하지만 미국발 충격이 겹치면서 심리적 마지노선을 거듭 돌파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 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어 기준금리를 0.25%p 인하를 결정했다.연준의 금리 인하는 시장 전망에 부합했다, 그러나 앞으로 금리 인하 속도를 늦출 것이라는 예고에 달러가 강세를 보이고 뉴욕 증시에서 주요 지수가 일제히 급락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04% 오른 108.17을 기록하고 있다. 이 지수도 2022년 11월 10일(110.99) 이후 2년 1개월 만에 최고 수준.이민혁 KB국민은행 연구원은 “연준의 12월 FOMC 결과가 상당히 매파적으로 해석된다”며 “달러가 초강세를 보임에 따라 환율도 연고점을 경신했다”고 말했다.박형중 우리은행 투자전략팀장은 “연준의 통화정책이 전환점을 맞이하면서 달러 강세 압력 커질 전망”이라고 했다.외환당국은 즉각 시장 안정화 메시지를 내놨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오전 거시경제금융회의(F4 회의)를 열어 “24시간 금융·외환시장 점검체계를 지속 가동하면서 과도한 변동성에는 추가적인 시장 안정 조치를 과감하고 신속하게 시행하겠다”고 말했다.유상대 한국은행 부총재도 이날 오전 시장상황 점검회의에서 “대외 불확실성이 국내 정치 상황과 결합하면서 금융·외환시장 변동성이 과도하게 확대될 경우 신속하게 시장 안정화 조치를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39.35원에 거래되고 있다. 전날 오후 3시 30분 기준가(935.73원)보다 3.62원 오른 수준이다.이현아 기자 lalalast@edaily.co.kr 2024.12.19 10:10
경제일반

[비상계엄] 윤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 원/달러 야간 거래 중 1430원까지 상승

원/달러 환율이 3일 야간 거래 중 1430.0원까지 치솟았다. 이는 윤석열 대통령의 이날 밤 비상계엄 선포가 내려지자 환율 시장이 즉각 반응한 것으로 풀이된다.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이날 오후 11시 3분 기준 전날보다 18.7원 급등한 1420.0원을 기록하고 있다.이날 주간거래 종가는 1402.9원을 기록했으나,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소식이 전해진 오후 10시 30분부터 급상승, 오후 10시 53분에는 전날보다 28.7원 뛴 1430.0원까지 뛰었다.원/달러 환율이 1430원대까지 뛴 것은 달러가 초강세를 나타냈던 지난 2022년 10월 26일(장 중 고가 1432.4원) 이후 약 2년 1개월 만에 처음이다.이현아 기자 lalalast@edaily.co.kr 2024.12.03 23:48
경제일반

'킹달러'된 달러 초강세…고물가 계속되나

달러화 초강세에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국의 물가 걱정도 한층 커지고 있다. 고공 행진하는 자국 물가를 잡기 위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큰 폭의 기준금리 인상 행보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작년 동월 대비 8.3%로 시장 전망치 8.0%를 웃돌면서 고물가 고착화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연준이 이달 20~21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한 번에 1%포인트 올리는 '울트라 스텝'을 밟을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연준은 지난 7월과 8월 기준금리를 각각 0.75%포인트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을 밟는 등 강력한 통화 긴축 정책을 펴고 있다. 여기에 미국을 비롯한 세계적인 경기 침체 우려까지 더해지면서 안전자산인 달러화 가치가 급등하고 있다. 유로화, 일본 엔화 등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DXY)는 지난 15일 109선으로 한 달 사이에 3%, 올해 초보다 14% 정도 올랐다.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올해 들어 17%가량 상승(통화가치 하락)하며 1400원에 육박했다. 달러화 강세는 미국의 물가를 끌어내리고 구매력을 키울 수 있지만 다른 나라에는 그렇지 못하다. 달러화로 거래하는 물품과 서비스의 수입 비용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의 8월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9.1% 상승하며 10개월 연속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일본의 7월 소비자물가는 7년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인 2.4% 올랐다. 모두 달러화 강세가 일정 부분 영향을 끼쳤다.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8월 5.7%를 기록해 외환위기 이후 거의 2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7월 6.3%보다 낮아졌지만 상당 기간 5~6%대의 높은 수준을 이어갈 것으로 한국은행은 예상한다. 여기에는 원유 등 수입 에너지 가격과 원/달러 환율 상승이 작용했다. 한은은 지난 8일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올해 들어 달러화 대비 주요국의 통화가치가 큰 폭으로 떨어지면서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이 각국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증대되고 있다고 밝혔다.우리 정부는 국내 물가가 10월께 정점을 찍을 것으로 조심스럽게 전망하지만,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다. 대한상공회의소 싱크탱크인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의 민경희 연구위원은 지난 4일 '최근 환율 상승 현황 및 평가' 보고서에서 "환율 상승으로 기업의 중간재 수입비용 부담이 커지고 소비자물가가 상승하는 영향이 확대됐다"며 "환율이 상당 기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는 "한은이 연준의 금리 인상을 감안하면서 국내 물가를 잡는 데 초점을 맞춰 통화정책을 펴면 경기 활성화에 제동이 걸릴 수밖에 없다"며 "취약 계층 지원을 늘릴 필요가 있지만 물가 때문에 정부의 재정 확대도 쉽지 않은 만큼 적절한 대응책을 모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서지영 기자 seojy@edaily.co.kr 2022.09.17 08:48
경제

환율 1070원 급등, 국내 기업 수출 경쟁력에 '적신호'

환율 1070원 급등, 국내 기업 수출 경쟁력에 '적신호'최근 환율이 6개월 만에 장중 1,070원으로 급등했다. 이는 미국의 고용지표 호조로 글로벌 외환시장에서 달러화가 초강세를 보였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전 세계 큰 손들이 달러 사재기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덩달아 유로, 일본 엔화 등 주요 통화가격이 최근 한 달 여 사이 하락세를 타면서 한동안 우리 경제 전망을 더욱 어둡게 만들고 있는 실정이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른바 슈퍼 달러의 위력이 당분간 이어지면서 환율 1,080원대까지 도달할 전망이다. 환율 급등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환율 급등, 하루이틀일도 아니잖아” “환율 급등, 이럴 때 엔화를 사놔야한다” 등의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온라인 일간스포츠(사진출처 YTN 뉴스 방송 )[김영아,류현진 중계,류현진,압구정 백야,김정주,유나의 거리,노블레스,한국제약,김혜경,김영아,류현진 경기일정] 2014.10.07 10:15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