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4건
금융·보험·재테크

'한 돈에 100만원?' 금테크 적기 "지금이 제일 싸"

“한 돈에 100만원까지 올라간다는데 지금이라도 사둘까.” 고공행진 중인 금값이 추석 연휴 가족들과의 자리에서도 뜨거운 화제였다. 금 한 돈의 시세가 70만원을 넘어섰지만 글로벌 불확실성에 안전자산 선호도가 커지면서 100만원까지 상승할 것이라는 장밋빛 기대감이 가득하다. 시중은행에서 출시한 골드 상품들에도 투자금이 몰리고 있다. 치솟는 금값, 0.01g이라도 사자 국제 금값이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미국 연방정부의 일시적 업무정지(셧다운) 여파로 안전자산 수요가 지속되면서 금값이 사상 최초로 온스당 4000달러를 돌파했다. 금 선물 가격은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지난 7일 온스당 4000달러선을 돌파한 뒤 8일에는 온스당 4070.5달러로 마무리되며 사상 최고치를 찍었다. 1월 6일 온스당 2647.4달러로 거래됐던 금 시세는 9개월 만에 54% 급등한 셈이다. 각국 중앙은행의 금 매입세가 몰리면서 금값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국내에서도 금값 상승 여파로 시중은행들이 내놓은 금테크가 인기다. 금리인하가 끝날 때까지 금값 상승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에 여전히 금테크의 적기로 평가받고 있다. 한국거래소 기준으로 올해 1g당 12만7850원에 출발한 금값은 8일 기준으로 18만7300원까지 상승했다. 금 한 돈(3.75g) 시세는 70만2375원에 거래되고 있다. 올해 상승률이 46%에 달한다. 특히 은행 계좌를 통해 금 0.01g 단위를 사고 팔 수 있는 상품인 골드뱅킹이 화제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인기를 끌기 시작한 골드뱅킹은 올해 금값 상승으로 불이 붙었다. 국내 4대 은행 중 신한은행과 KB국민은행, 우리은행이 골드뱅킹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연말 7822억원 규모였던 4대 은행의 골드뱅킹 규모는 9월 말 기준으로 1조3293억원까지 불어났다. 골드뱅킹을 가장 먼저 선보인 신한은행이 점유율 60% 이상을 점하며 리딩하고 있다. 금 투자 상품에 자금이 몰리면서 신한은행의 골드뱅킹 계좌 수와 계좌 잔액이 급증하고 있다. 계좌 수가 올해 초 16만5276개에서 17만5941개로 1만개 이상 증가했다. 계좌 잔액은 지난해 연말 5493억원에서 9월 말 8317억원까지 증가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아무래도 금값 시세가 우상향을 그리면서 골드뱅킹에 대한 관심도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올해 가파른 속도로 계좌 잔액이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KB금융 관계자는 “금값 상승으로 골드뱅킹 계좌가 늘 수밖에 없고, 수익률도 좋아서 고객들의 반응도 뜨겁다. 올해 골드뱅킹의 수익률은 9월 기준으로 40% 이상으로 추산되고 있다”고 말했다. 금 신탁 상품 ‘솔드아웃’금값이 치솟으면서 금 투자 상품도 다양하다. 최근 출시된 금 신탁 상품이 인기다. 장롱, 서랍 깊숙이 보관 중인 금을 은행에 맡겨 ‘금값 상승’과 별도로 운용 수익까지 얻을 수 있다. 지난 8월 하나은행에서 선보인 하나골드신탁은 1~3회차가 모두 높은 관심 속에 완판됐다. 최저 가입 중량이 30g(8돈)이고, 회차별 40억원 한도로 모집이 진행됐다. 특히 지난달 15일 진행된 3회차 모집은 3일 만에 완판되는 등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 하나은행은 금 신탁 수요가 높아지자 지난 9월부터 판매 지점을 167개 점포로 늘렸다. 서울, 경기, 부산, 대전, 대구, 광주 등 하나은행 지점에서 쉽게 금 신탁 상품을 접할 수 있다. 맡길 수 있는 품목은 24K 반지, 팔찌, 목걸이, 황금열쇠, 동물형태의 금 제품을 비롯해 프레스 골드바, 주물형 골드바(순도 표기가 되어 있는 제품 한정)가 가능하다. 신탁 만기 시에는 이자(감정가의 1.5% 운용수익)와 함께 금 실물을 돌려받을 수 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금값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는 만큼 추석 연휴 이후에 4, 5회차 모집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두용 기자 2025.10.10 06:30
금융·보험·재테크

트럼프가 끌어올린 ‘골드바‘…시중은행 판매 중단사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전쟁'으로 인해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고조되면서 '금'에 대한 관심도가 하늘을 찌르고 있다. 최근 시중은행의 대표적 금 투자 상품인 골드바와 골드뱅킹 판매가 사상 최대를 기록했고, '골드바 판매 중단 사태'까지 이어졌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2월 1~13일 골드바 판매액은 총 406억345만원으로 집계됐다.이는 전월 동기 판매액(135억4867만원)의 3배, 전년 동기 판매액(20억1823만원)의 20배에 달하는 유례 없는 규모다.5대 은행의 하루 골드바 판매액은 이달 3일만 해도 20억원 수준이었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 등에 관세 인상을 예고하면서 5일 40억원에 육박했고, 7일 50억원을 돌파하는 등 판매액이 치솟았다.특히 골드바 주요 공급처인 한국조폐공사가 은행들에 골드바 공급을 잠정 중단하기로 한 사실이 알려진 지난 12일 이후 판매액은 더욱 늘었다.5대 은행 판매액은 지난 11일 49억8007만원에서 12일 57억4101만원으로 늘었고, 13일에는 108억3217만원으로 뛰어 100억원을 넘겼다.국내 골드바 판매량의 70%를 점유하고 있는 신한은행은 다른 골드바 공급처인 LS MnM에서 확보한 재고로 10g, 100g, 1kg 세 종류의 골드바를 지속적으로 판매하고 있다. 하지만 신한은행도 10g과 100g 골드바에 수요가 몰리면서 실물 골드바 배송까지는 2주 이상 소요될 예정이다.농협은행의 경우 한국금거래소와 삼성금거래소에서 골드바를 받아 판매하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지난 12일부터 골드바 판매를 아예 중단했다. 우리은행도 지난 14일부터 모든 골드바 판매를 중단했고, 하나은행은 한국금거래소의 1kg짜리 골드바만 판매한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영업점에 골드바 구매 문의가 빗발치고 있다"면서도 "조폐공사의 골드바 공급 중단으로 다른 공급처에서도 수급이 원활하지 않다"고 말했다. 골드바에 대한 관심은 골드뱅킹으로도 확대됐다. 골드뱅킹은 통장 계좌를 통해 금을 사고팔 수 있는 상품이다.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은행의 지난 13일 기준 골드뱅킹 잔액은 총 8969억원으로 집계돼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하나·NH농협은행은 골드뱅킹을 취급하지 않는다. 3개 은행 잔액이 9000억원에 육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3개 은행 골드뱅킹 잔액은 지난해 말 7822억원에서 지난달 말 8353억원으로 6.8% 증가한 데 이어 이달 들어 13일까지 다시 7.4% 늘었다.'금'에 대한 투자 열기는 '은'으로도 번지고 있다. 지난해 10월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던 은 가격은 이후 횡보 흐름을 지속했지만 최근 금 가격 상승과 함께 우상향 조짐을 보이고 있다. KB국민·신한·우리·NH농협은행의 2월 1~13일 실버바 판매액은 5억2889만원으로, 지난달 같은 기간(3422만원)의 15배를 넘겼다. 하나은행은 실버바를 판매하지 않고 있다. 4개 은행의 실버바 판매액은 골드바보다 훨씬 적은 수준이지만, 전년 동기 판매액이 0원으로 수요가 전무했던 점을 고려하면 인기가 폭발적이다. 실버바 또한 공급량이 수요를 못 따라가면서 신한은행과 NH농협은행도 지난 14일 실버바 판매를 중단했다. KB국민은행은 17일부터 실버바 판매를 중단한다고 밝혔다.권지예 기자 kwonjiye@edaily.co.kr 2025.02.17 07:00
경제

사라진 ‘고금리 특판’…떠오르는 ‘안전자산’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고 한국은행이 내달 또 한 번 기준금리를 하향 조정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은행권에서는 2~3% 이상 고금리 특별판매 예·적금 상품이 자취를 감췄다. 반면 안전자산인 금과 은이 주목받고 있다. 1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금리 2~3% 미만 구간 정기예금’의 비중은 7월 말 기준 5.7% 수준이었다. 같은 기간 ‘2% 미만 구간 예금’ 비중은 94.3%로 대부분을 차지, 은행권 예금상품 대부분이 2%가 되지 않는 금리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언젠가부터 2~3%대 상품을 찾기 힘들어졌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지난 8월말을 기준으로 봐도 세전이자율 기준 2%가 넘는 정기예금 상품(1년 만기 기준)은 광주은행의 ‘쏠쏠한마이쿨예금(2.05%)’뿐이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만 하더라도 수협은행 외화정기예금 특판(2.81%), 제주은행 사이버우대정기예금(2.40%), SC제일은행 e-그린세이브예금(2.30%) 등 상품을 볼 수 있었던 것과 상반된다.정기적금 역시 상황은 비슷하다. 금융감독원 금융상품통합공시에 따르면 올 8월말 기준 광주은행의 ‘해피라이프여행스케치적금3(3년 만기 세전이자율)’가 2.40%로 최고금리 적금상품으로 등록돼 있다. 지난해 8월에만 해도 전북은행의 직장인목돈마련 적금(3.50%)이나 SC제일은행 퍼스트가계적금(3.10%), 부산은행 아동대상적금(3.00%) 등 3%대 금리의 적금이 특판 상품으로 나왔다.한국은행이 지난 7월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내리면서 은행들이 수신금리를 내린 탓이다. 이처럼 저금리 기조의 지속 전망이 나오고 ‘고금리 특판’을 찾아보기 힘든 상황에서 미·중 무역분쟁과 경기침체 등 불확실성이 커지자 고객들은 ‘안전자산’으로 눈을 돌리는 분위기다. 가장 주목받는 상품은 역시 금이다. 은행에서 취급하는 ‘금 통장(골드뱅킹)’은 특정은행에서 금통장을 만들어 입금하면 예금액만큼 금을 0.01g 단위로 적립해주는 상품으로, 신한은행의 ‘골드리슈 골드테크’, KB국민은행의 ‘KB골드투자통장’, 우리은행의 ‘우리골드투자’ 등이 대표적이다. 금에 이어 투자자들의 관심은 은으로도 이어지며, 지난달 말 기준 KB국민·우리은행에서는 실버바 판매 누적액이 9억3657만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전체 판매액인 7억1580만원을 넘어선 수치다.실버바를 찾는 이들이 많아지자 NH농협은행도 2일부터 판매를 시작했다. 10일까지 1㎏짜리 실버바 88개가 판매됐으며, 영업일 기준 일주일 새 8500만원어치가 팔렸다.하지만 전문가들은 실버바를 안전자산으로만 생각하고 매입에 나서는 안된다고 조언한다.은값은 가격 등락폭이 큰 편이고, 언제라도 현금화할 수 있는 금과는 성격이 다르기 때문이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tbc.co.kr 2019.09.16 07:00
경제

P2G ‘도깨비’, 금시세와 연동한 서비스 선보여

P2G 플랫폼 ‘도깨비’가 오는 9월 정식으로 출범한다. 도깨비 측은 최근 자체 개발한 금(金)시세 연동 가상화폐 ‘디코인(Dcoin)’의 국내 특허를 출원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152개국 국제특허 출원도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도깨비 플랫폼이 지향하는 P2G(Peer to Gold)는 기존의 P2P(Peer to Peer)와 달리 사람과 금을 이어주는 서비스를 목표로 한다. 소액대출∙투자 외에 금시세 가상화폐 디코인의 판매∙매입∙거래∙전용샵 등의 서비스로 업계의 주목을 끌 것으로 보인다. 도깨비는 국내 금 유통시장의 거래단위(최소 1g)가 높고 사고팔 때의 수수료 부담도 커서 일반 소비자들의 거래가 활성화 되지 않는 점에 주목했다. 이에 금을 1원(KRW) 단위로 사고팔 수 있는 가상화폐 디코인을 개발하고 매매 수수료를 1~3% 선으로 책정했다. 현재 제일 작은 거래단위로 거래할 수 있는 골드뱅킹은 0.1g단위로 지난 8월 7일 신한은행 13회차 금시세 기준에 따르면 4,555원이다. 도깨비 플랫폼에서는 0.1g의 약 1/5000의 거래단위로도 거래가 가능하다. 시스템상으로는 0.1원 단위 이하로도 거래가 가능하지만 소비자들이 거래하기 적절한 수준으로 거래단위를 조절한다는 방침이다. 도깨비 플랫폼 한선우 대표는 “도깨비는 디코인을 통해 소비자가 도매가격으로 실물 금을 구매할 수 있는 신개념 금 전문 서비스를 구현하고 있다”며 “디코인은 기존 금 거래시장의 양성화에 기여하고 유통구조를 개선하는 것은 물론 고객들에게 금을 구매하는 쉽고 새로운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안정적인 투자 수단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밝혔다.[김정한기자] 2017.08.10 12:1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