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스포츠일반

강병규, 양준혁 性스캔들 논란에 "양불신, 예상 안 벗어나"

프로야구 선수 출신 강병규(47)가 성 스캔들에 휘말린 양준혁(50)을 저격하는 듯한 글을 올렸다. 강병규는 19일 자신의 트위터에 "양불신(양준혁) 어쩜 이렇게 예상을 벗어나지 않는지"라며 "'잘 좀 하지 그랬냐' 네가 예전에 내게 한 말이다"라고 적었다. 강병규와 양준혁은 지난 2012년 '양준혁 야구재단'을 놓고 설전을 벌인 바 있다. 강병규는 양준혁에게 야구팬들의 후원금 규모와 사용처, 지원 내역 등을 공개하라고 지적하자 양준혁은 운영 계획 등을 설명하며 맞섰다. 이후 양준혁은 강병규의 도박 전력을 언급했고 강병규는 양준혁의 강원랜드 출입설을 제기하면서 두 사람 간 감정싸움이 벌어졌다. 앞서 소셜미디어에는 지난 18일 양준혁으로 추정되는 남성이 자고 있는 사진과 함께 짧은 글이 올라왔다. 익명의 한 여성은 게시물에 "양준혁. 방송에서 보는 모습. 팬 서비스 하는 모습, 어수룩해 보이는 이미지의 이면, 숨겨진 저 사람의 본성"이라고 썼다. 이어 "뭘 잘못한 건지 감이 안 오신다면서요. 계속 업데이트 해드릴게. 잘 봐요"고 덧붙였다. 이 게시물이 온라인상에서 빠르게 퍼지자 원글 게시자는 현재 소셜미디어 계정을 삭제한 상태다. 논란의 글이 게재된 뒤 양준혁은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저는 이번 사건과 관련해 변호사를 통해 법적인 절차로 해결을 하려고 한다. 유명인이라는 이유로, 남자라는 이유로 공격 받고 있는 상황"이라며 "악의적인 허위의 글을 올리는 걸 참을 수 없다. 제 발자취에 대한 모욕이며 이번 사건을 저는 반드시 제거하려고 한다"고 강경대응 입장을 보였다. 양준혁 법률 대리인단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여성분의 악의적인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는 점을 뒷받침하는 정황 증거가 확보됐다"며 "양준혁의 억울함을 밝히기 위해 사건을 빠르게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온라인 일간스포츠 2019.09.19 17:23
야구

'국민타자' 이승엽 최다루타·최초 450홈런 기록 도전

'국민타자' 삼성 이승엽(41)의 기록 도전이 연일 계속된다. KBO리그 역대 최다루타와 최초 450홈런 기록 작성의 초읽기에 돌입했다. 이승엽은 지난 2일 대구 두산전 9회말 2-5로 뒤진 상황에서 득점을 올리며 양준혁(1299개)을 제치고 역대 최다 득점 신기록을 작성했다. 이어 3일 경기에선 5회말 3루타를 치고 나가 양준혁이 갖고 있던 역대 최다루타(3879루타) 기록과 나란히 했다. 4일 두산전에서 안타 1개만 추가하면 새 기록의 주인공이 된다. 이승엽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게 '홈런'이다. 그는 KBO리그 최다 홈런 기록을 연일 갱신하고 있다. 이승엽은 3일까지 15시즌 동안 통산 447개의 홈런을 쳤다. 개인 450홈런에 3개만을 남겨두고 있다.450홈런은 고졸 신인이 입단 첫 해부터 매년 홈런 20개씩을 기록하더라도 평균 22.5시즌이 걸린다. 최소 41세가 되어서야 달성할 수 있는 대기록이다. 이승엽은 2004~11년까지 일본 무대에서 활약하고 2012년 삼성에 복귀했다. 이승엽은 일본에서 활약했던 8시즌 동안 통산 159개의 홈런을 기록했다. 한·일 통산 홈런은 606개로 미국·일본의 거포들과 비교해도 뒤지지 않는다. 미국 메이저리그에서 통산 600홈런 이상은 배리 본즈를 포함해 모두 8명이 기록했는데, 현역 선수 중에는 알렉스 로드리게스가 698개로 유일하다. 일본은 오 사다하루, 노무라 카쓰야 2명만이 600홈런을 넘어섰다. 현역선수 중에는 378개를 기록 중인 아베 신노스케가 최다로 600홈런 이상을 치고 있는 선수는 없다.KBO리그 현역 가운데는 이승엽 다음으로 홈런을 많이 기록 중인 선수가 NC 이호준(330개)이다. 뒤를 이어 이범호(KIA)가 283개로 3위, 김태균(한화)이 278개로 4위다. KIA 최형우(240개) SK 최정(237개), 롯데 이대호(232개)가 5~7위다. 이승엽의 450홈런은 1982년 백인천의 타율 0.412, 1983년 장명부의 한 시즌 30승과 같은 KBO 리그 불멸의 대기록으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이승엽의 홈런 기록에는 늘 ‘최연소, 최소경기’라는 수식어가 따라붙는다. 1999년 5월 5일 대구 현대전에서 22세 8개월 17일의 나이로 최연소 100홈런을 기록했고, 이후 2000년 150홈런과 2001년 200홈런, 2002년 250홈런 그리고 2003년 300홈런까지 매년 최연소 기록을 갈아치웠다. 200홈런부터는 최소경기 기록까지 이승엽의 차지였다.특히 이승엽이 2003년 300홈런을 기록할 당시의 나이는 26세 10개월 4일로, 일본 프로야구에서 오 사다하루가 1967년 기록했던 27세 3개월 11일을 무려 5개월 이상 앞당기며 세계 최연소 300홈런 신기록을 작성한 바 있다.일본 진출 후 복귀한 2012년에도 21홈런을 기록하며 녹슬지 않은 저력을 보여준 이승엽은 2013년 6월 20일 문학구장에서 SK를 상대로 KBO 리그 개인통산 352홈런을 터뜨리면서 종전 최다인 양준혁의 351홈런을 넘어섰다. 2015년 6월 3일 포항에서 열린 롯데와의 경기에서 400홈런을 달성했다.또한 이승엽은 1999년에 54홈런으로 KBO 리그의 한 시즌 50홈런 시대를 열었다.2003년 팀의 시즌 마지막 경기인 10월 2일 대구 롯데전에서는 시즌 56호 홈런으로 당시 한 시즌 최다 홈런 아시아 신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시즌 50홈런 이상은 이승엽 외에 2003년 심정수(당시 현대, 53홈런), 그리고 박병호(전 넥센)가 2014년(52홈런)과 2015년(53홈런)에 연이어 달성했으나 이승엽의 56홈런은 14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한 시즌 최다 홈런 기록으로 남아있다.이승엽은 3일까지 1799경기 중 401경기에서 홈런을 기록했다. KIA를 상대로 전 구단 중 가장 많은 71홈런(해태 포함)을 터뜨렸다. 롯데와 한화를 상대로는 각각 70개, 63개로 뒤를 이었다. 구장별로는 삼성의 전 홈구장인 시민구장에서 가장 많은 225홈런을 기록했다.이닝별로는 1회에 기록한 홈런이 75개로 가장 많았고, 볼카운트 역시 초구에 가장 많은 86홈런을 기록하는 등 경기 초반에 강했다. 그리고 시즌 개막 직후 보다는 본격적인 승부가 펼쳐지는 5월부터 홈런포가 가동돼, 전체 홈런 중 43.6%를 5월(93개)과 6월(102개)에 쏘아 올렸다. 방향 별로는 우측 담장을 넘긴 횟수가 206개로 가장 많았으며, 주자상황별로는 솔로 홈런이 233개로 최다이다.이승엽은 데뷔 후 총 10개의 만루홈런을 기록했으며 연타석 홈런은 총 26차례로 이 부문 2위인 심정수, 이호준(NC)이 16차례 기록한 것과 비교해 월등한 차이로 1위를 기록 중이다.이승엽에게 가장 많은 홈런을 내준 투수는 최상덕으로 총 7개를 허용했으며, 그 외 강병규, 김수경, 오철민, 정민철, 주형광이 각각 6개 등 총 233명의 투수들에게서 447개의 홈런을 뽑아냈다.또한 이승엽은 처음 국가대표로 선발된 1999년 아시아선수권대회부터 2013년 WBC까지 48경기에 출장해서 11개의 홈런을 때려내기도 했다. 이형석 기자 2017.05.04 09:23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